View : 977 Download: 0

재취업 중·고령임금근로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재취업 중·고령임금근로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Job Maintenance of Reemployed Middle and Old-aged Workers
Authors
원보람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중·고령자는 자녀와 부모를 부양해야하고 자신의 노후까지 스스로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삼중고를 겪고 있다. 중·고령자는 노화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차별을 받는 등 노동취약계층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취업을 하더라도 일자리에서 퇴출될 위험이 비교적 높은 세대이기에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미성숙하지만, 따로 노후준비를 하지 않은 자들에게는 중요한 소득원이 되는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는 조기퇴직 인구의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연금 수급기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재정건전성에 위협을 받고 있다. 때문에 거시적 차원에서도 중·고령자들의 고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취업 중·고령임금근로자의 고용이탈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고령자의 고용유지를 위한 고령자 고용정책에 시사점 및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재취업 중·고령임금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인적자본 특성, 일자리 특성이 고용유지여부, 고용유지기간으로 구성된 고용이탈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원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제12차 년도부터 제17차 년도까지의 자료이며, 분석대상은 임금근로에 재취업한 45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고령자이다. 분석에는 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생명표 분석과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용유지율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체 분석대상 중에서 42.3%가 고용상태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고용유지기간은 41.41개월로 나타났다. 고용유지 패턴은 급감구간, 안정구간, 완만한 감소를 보이는 구간으로 구분된다. 재취업 후 22개월 시점에서 전체의 약 40%가 고용상태에서 이탈하였으나, 23개월부터 32개월까지는 고용유지율 약 59%를 유지하였다. 안정구간 직후부터 71개월까지는 완만한 감소구간으로 17% 정도가 이탈하였는데, 이를 다시 보면 5년이 지난 시점인 61개월부터 조사종료시점까지 고용이탈이 일어나지 않았다. 고용이탈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콕스비례위험생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취업가구원의 유무, 인적자본 특성에서 학력, 일자리 특성에서 직종이 고용유지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가구원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고용유지율이 높았으며, 학력은 초졸이하의 자가 대학이상인 경우보다 고용유지율이 높았다. 직종의 경우 기술 및 기능직, 서비스 및 판매직, 사무직 및 전문·관리직에 종사할 경우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보다 고용유지율이 높았다. 이 같은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로는 첫째, 고용유지 변화 양상에 따라 중·고령 인력이 유출되는 시기에 고용상태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같은 일자리에서 재고용 또는 1개월 내에 재취업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둘째, 가구 내 본인 외의 소득원 없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취업가구원이 있는 경우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생계를 위해 일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의존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지원보다는 노동시장에서 보다 더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인적자본 수준이 비교적 높아야 종사할 수 있는 직종의 고용유지율은 높았으나, 학력은 초졸이하인 경우가 대학이상보다 고용유지율이 높았다. 이는 재취업한 중·고령임금근로자가 인적자본에 맞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미스매칭을 해결하기 위해 퇴직한 중·고령자의 특성에 맞는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강구해야 할 것이며, 이들의 고용유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The middle and old-aged are struggling because they have to support their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prepare themselves to their old age. The middle and old-aged are recognized as labor-vulnerable by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due to aging. Even if they are reemployed, they are at a higher risk of being removed from their jobs.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is immature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but it i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ose who are not prepared for retirement. However, this social security system is threatened by its fiscal soundnes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arly retirees and the longer period of pension due to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aintai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iddle and old-aged on the macroscopic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turnover rate of employment of reemployed middle and old-aged workers, and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middle and old-aged. For this purpos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of reemployed middle and old-aged workers were analyzed how the impact on job maintenance if the employment turnover rate consists of status of employment maintenance, job maintenance period.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he data from the 12th year’s data(2009) to 17th year’s data(2014)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more than 45-year-old less than 65-year-old who reemployed middle and old-aged workers. SPSS 18.0 was used for this analysis and analyzed using the life table analysis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maintenance rate, 42.3% of the total subject of analysis maintained employment and the average employment maintenance period was 41.41 months. The employment maintenance pattern is divided into a rapid decrease period, a stable period, and a gentle decrease period. Approximately 40% of the total disappeared from the employment status at 22 months after the re-employment, but maintained the employment maintenance rate of about 59% from 23 months to 32 months. From the time immediately after the stable period to the 71st month, the gentle decline took about 17%. Five years later, from the 61st month until the end of the survey, the job release did not occur.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turnover rate. As a result, the presence of employe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maintenance rate. The job maintenance rate was higher when there were no employment household members than when there were working household members. Also, those who have education level below elementary school graduate level have higher job maintenance rate than those with university degree or higher. In the case of occupations, people engaged in technical and functional jobs, services and sales, office workers, and professional and managerial jobs had a higher job maintenance rate than those engaged in simple lab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employment retention rate changes, we have to encourage middle and older workers to continue working in the same job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or encourage re-employment in another job within a month. Second, when there is no income source outside the household, it is more likely to suffer economic difficulties than when there are relatively few employees. However, financial support for these can increase dependency, and institution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longer stay in the labor market than indiscreet support. Third, in case of occupation, the employment maintenance rate of the occupations that can be engaged is high when the human capital i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employment maintenance rate of those with more than college education was lower than the employment maintenance rate of those with education below the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employed middle-aged and older workers are engaged in jobs that do not fit the human capital. To solve these mismatching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senior retirees who are retired,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