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olescents's Sense of Community among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uthors
염혜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via mediation of ego-resili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For the study,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existence of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in adolescents was verified. Accordingly, a research model with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as potential variables was proposed and the direct effect between potential variables and ego-resilience verified.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was verified in th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fourth-year data of the fourth-grade panel in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for a second data analysi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2,092 seventh-grade students in 201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SPSS 18.0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PSS 18.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AMOS 21.0 in order to verify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fter investigating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basic model was verified. And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asic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hen, a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all of the four potential variables – negative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ego-resilience, sense of community – were measur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basic model,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friendship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Third, the structural model showed a statistically high level of goodness of fit, suggesting that the structural model effectively reflects the study data.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ego-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had effects on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via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parents has an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In other words, abuse and maltreatment in parenting decreases a sense of community in the children,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d expand programs that allow the parents to show more interest in and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relationship with friends has an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when adolescents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strong trust with their friends, the sense of community impro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in which adolescents can participate with other adolescents in the local community, so that they can build strong relationship with peers and, simultaneously, improve a sense of community. Third, considering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was proven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ego and provide a program for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ego-resilience. Although it is a personal mechanism, it is hardly an innate trait and can be improved by environment. Therefore, verified programs for improving ego-resilience and, thereby,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at youth training centers, local community,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schools.;본 연구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부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를 잠재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잠재변인들과 자아탄력성 간의 직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연구모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가 시행된 2013년 당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9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21.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기본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기본모형 검증을 통해 변수 간의 인과관계의 영향력을 파악한 후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4가지 잠재변인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자아탄력성, 공동체의식 측정변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측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본모형 검증결과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친구관계는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이 연구 자료를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은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공동체의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부모가 방임과 학대로 자녀를 양육할수록 공동체의식은 감소되므로 가정 내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확대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또래 친구들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고 서로 간의 신뢰가 강할수록 공동체의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또래 친구들과 더욱 깊이 있는 관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공동체의식을 폭 넓게 함양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또래관계 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 또래들, 동네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자아에 대한 개념을 확대하여 검증된 청소년기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아탄력성은 내부 개인 기제이기는 하지만, 타고난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고 환경의 영향을 받을수록 더 향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증된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청소년에게 제공하고 이를 확대하여 공동체의식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수련관이나 지역사회, 복지관, 학교 등에서 자아탄력성과 관련된 심리발달 프로그램이 시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