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41 Download: 0

청소년을 위한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효과성

Title
청소년을 위한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효과성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ng the impact of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
Authors
양지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prejudices and attitude toward mental disorder through a program on improving the adolescence's awareness of mental disorder. The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of this study has modified a program developed by Pinfold et al. (2003) in England to fit the circumstances of Korea and included five session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mental illness and face-to-face discussions with the instructor who has experienced a mental illness. Also, it focused on the social prejudice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tal diseases rather than psychiatric pathology or medical inform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wo groups were organiz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the participating clubs of a general high school in Suwon, Gyeonggi-do. There were 43 subjects: 17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my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the ordinary club activities. For the measuring tools, this study modified the tools of Hyung-Joo Nam (2002) who reconfigured Community Attitude toward the Mental Illness (CAMI) developed by Taylor and Dear(1981) as a scale of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es and another scale of prejudice developed by Ok-Kyung Yang (1998).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mental diseases, the 'social will' items were excerpted from the 'Social Distance Questionnaire'(SDQ) developed by Haring, Breen, Pitts-Conway, Wilson & Gaylord-Ross and modified by Kyung-Ae Choi and Seung Hee Park. This study applied the Mann-Whitney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method, along with chi-square test and ANC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eviating the adolescence's prejudices against mental illnesses. The experiment group's prejudices were lower after the program for all subfactors of prejudice, including appearance, symptoms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marriage・child rearing, work life and co-workers, everyday life, social rights, neighbors and the NIMBY syndrome, social services and government support. Also, the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olescence's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es. The experiment group's scores for the attitude toward mental disorder saw a positive change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scores were compared for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program with the pre-test scores controll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develop a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evidence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to conduct multiple sessions of the mental disorder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adolescence. Also, the major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alleviate their prejudices toward mental disorder and change their attitud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is meaningful that an instructor who has experienced a mental illness participated in training the adolescenc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alleviate the prejudices toward mental disorder and to change the attitude as a fundamental program for improving the adolescence's awareness of mental disorder.;정신장애의 경우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편견 중에서 가장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걸림돌이 되어 입원치료 이후 사회에 복귀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편견에 따른 차별적 태도로 인해 인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는 그들에게 사회적 경험의 기회를 박탈하여 사회적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것은 다시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중의 편견과 차별을 강화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러한 활동이 실제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및 태도를 변화시키는지 그 효과성 검증하기 위한 평가연구는 현재까지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UN의 장애인권리협약에서는 장애인식의 제고를 위해 모든 교육과정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과 권리 및 존엄성 존중을 목적으로 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였고, 학교에서는 비장애인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교기반 정신장애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인 행태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을 통해 편견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효과성이 검증된 외국의 프로그램을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정신보건 영역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 및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1.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청소년의 정시장애에 대한 태도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은 Pinfold et al.(2003)가 개발한 영국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 한 것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신장애를 경험한 강사와의 직접적인 대면을 포함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5회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정신병리나 의료적인 내용보다는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정신장애인에 대해 갖는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구성 시 지도교수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1인, 정신보건분야 인권강사 1인, 아동청소년 정신보건 영역에 종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인의 조언을 받았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경기도 수원 소재의 인문계고등학교 1곳의 교내동아리 중 연구에 참여하는 2개 그룹을 편의표집하였다. 실험집단은 17명, 비교집단은 26명 총 43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정신건강인식개선교육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담당교사에 의해 일반적인 동아리 활동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측정도구는 우선, 정신장애 편견 측정을 위해 Taylor와 Dear(1981)이 개발한 Community Attitude toward the mental illness(CAMI)와 양옥경(1998)이 개발한 정신장애인 편견 척도를 남형주(2002)가 재구성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정신장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Haring, Breen, Pitts-Conway, Wilson & Gaylord-Ross가 개발하고, 최경애·박승희가 수정보완한 '사회적 거리감 설문지(social distance questionnaire: SDQ)'중 '사회적 의지'문항을 발췌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맨-휘트니검정(Mann-Whitney test), 카이제곱검정,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편견의 하위요인인 외모, 정신질환의 증상 및 치료, 결혼・아동양육, 직장생활 및 동료, 일상생활 수행정도, 사회적 권리인정, 이웃과 님비현상, 사회적 서비스와 정부지원의 전 영역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편견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후 실험집단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 점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점수 비교 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근거에 기반 한 정신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것과, 처음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회기의 정신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해소 및 태도변화를 주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한 국내 처음의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그리고 국내 처음으로 정신장애인 당사자 강사가 비장애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식개선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시도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정신보건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청소년대상의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기초로서, 추후 개발될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해소와 태도변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