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예비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비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re-Elderly's Old Age preparation on Life Satisfaction : Centered on With and Without Abilities
Authors
김빛여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밝혀내고,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노후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각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노후준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민노후보장패널(KRelS)의 3차 본조사 자료와 3차 부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5세 이상 64세 미만의 예비노인 대상자 1,890명을 선별하여 장애유무를 기준으로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으로 분류하였다.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 157명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 1,733명 중 157명을 랜덤 샘플링 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이고, 독립변수는 “노후준비”로 경제적 노후준비, 신체적 노후준비, 심리. 사회적 노후준비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T-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검증한 결과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 노인의 성비는 비슷했으며, 연령의 경우에도 각각 59.55세와 59.13세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교육수준에서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이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에 비해 무학, 초등 졸업 비율이 높고, 고등 졸업 이상의 비율이 낮아 전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의 장애등급은 중증보다 경증에 해당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배우자와 자녀 유무의 경우에는 두 대상 모두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상태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보다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경우 취업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연금 가입 유무에서는 두 대상 모두 공적연금에 가입하지 않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에 비해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긍정적 답변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심리적 건강상태의 경우에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 보다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이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심리, 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보다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이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의 경우에는 심리적 건강상태, 경제 활동상태, 연령, 심리. 사회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은 심리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심리. 사회적 노후준비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경우에는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신체적 노후준비, 심리사회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경우에는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심리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신체적 노후준비 정도가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노후준비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무에 따라 두 집단을 비교한 연구는 상당히 적은데 본 연구에서는 장애를 갖은 예비노인과 장애를 갖지 않은 예비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Centered on comparative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pre-elderly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life satisfaction and suggest measures for preparing old ag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pre-elderly with and without disorders through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old age. 1,890 pre-elderly was selected aged between 55 and 64 based on the 3rd main survey and the 3rd additional survey data of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KRelS) and classified into thos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for 157 from 157 with disorder and 1,733 pre-elderly without disorders for research. Dependent variable was 'life satisfaction"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areas were classified into economic,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 showed a similar sex ratio between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age, 59.55 and 59.13 each. As for an educational level, pre-elderly with disabilities showed a lower academic level compared with those without disabilities, with higher uneducated and elementary school diploma and lower more than high school diploma. As for the degree of disability for the pre-elderly with disorders, it showed a higher response rate for mild rather than for serious. As for spouse and child with and without,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y had in a higher ratio and as for economic activities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showed a higher employment ratio than those with. However, as for public pension, both groups replied that they were not public pension holders in a higher ratio. As for physical fitness,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gave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ose with but as for psychological health both group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gave positive responses in a higher ratio.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inter-group difference in main variables,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Besides, analysis showed that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had more psychological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than those wi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irdly,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varied as groups. For pre-elderly with disabilities, psychological health, economic activity, age,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nalysis showed that pre-elderly with disabilitie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as they had better psychological health, less economic activity, younger age and higher psychological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On the other hand, for the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physical and psychological-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t is, pre-elderly without disabilitie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as they had better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highe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There are few comparative studies on both group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by pre-elderly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