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중고령 경증 신체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Title
중고령 경증 신체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iddle and Old Aged with Mild Physical People with Disabilities : Comparison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Authors
김나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ffective factors for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double torture of age and disability and to find ways to participate in employment that can prepare them for living and retirement as means of solving poverty. In analyzing this, it is evid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receiving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negatively affects employment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mployment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identifi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factors, disability and health related factors, and human capital factor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group and the non - recipient group.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or less on the employment status is divided into two group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group and the non-recipient group. The original data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the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015)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1,037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mild physical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45 to 6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receiv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or not ,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spouse, whether or not they are a head of a household, the existence of family member employed , current health status, the degree of help of others in everyday life, level of education, the existence of certificate, two group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employment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atio of the employment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group was only 19.5%, whereas the ratio of the non-recipient group was 67.6%. These results show that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are less likely to work than non-recipient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betwee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group and the non-recipient group. In the group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only the age and the existence of the spouse of the individu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status. In the group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non-recipientas, the individual factors(age, gender, whether or not they are a head of a household), and the human capital factors(level of education, the existence of certificate) affected employment statu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employed workers in the national basic recipients is very low (19.5%), so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them to work.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take into account the working ability, disability level, and health status of the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rather than measures to prevent dependency o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Second, Regardles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group and the non-recipient group, the lower the age of the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needed among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need for a suitable employment strategy is rais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of all middle and old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recipient and non-recipient groups are found to be different. Fourth, gender is a factor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i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enefits non-recipient group,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women are more difficult to find employment than men.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middle and old aged wom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age, women, and disability.;본 연구는 연령과 장애라는 이중고를 경험하는 중고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에게 빈곤 해결수단으로서 생계유지와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취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함에 있어 국민기초생활수급을 받는 것이 중고령 장애인들의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발전하여 국기초 수급여부에 따른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기초 수급자 집단과 비수급자 집단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성과 개인적 요인,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 인적자본요인으로 취업영향요인을 구분하여 각 요인별로 취업여부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어떤 요인이 상대적으로 취업여부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기초 수급자 집단과 비수급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원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제8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5)이며, 분석대상은 45~64세의 중고령 경증 신체장애인 1,037명이다.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기초 수급에 따른 중고령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비교를 통해 배우자 유무, 가구주 여부, 취업가구원 유무, 현재 건강상태, 일상생할 타인의 도움정도, 학력, 자격증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상황을 비교한 결과 국기초 수급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상태인 비율은 19.5%에 불과하였고 그에 반해 비수급자 집단의 취업 비율은 67.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기초 수급을 받는 중고령 장애인들은 비수급자 집단에 비해 취업할 확률이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국기초 수급자 집단과 비수급자 집단 간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기초 수급자 집단에서는 개인적 요인의 연령, 배우자 유무만 취업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기초 비수급자 집단에서는 국기초 수급자 집단과 달리 개인적 요인(연령, 성별, 가구주 여부),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현재 건강상태, 일상생활 타인의 도움여부), 인적자본요인(학력, 자격증 유무)이 모두 취업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기초 수급자 중 취업자의 비율은 19.5%로 매우 낮게 나타나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무조건적으로 취업을 통해 국기초 수급에 의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보다는 중고령 장애인의 근로능력, 장애정도, 건강상태 등이 감안된 대책이 강구되어야한다. 둘째, 국기초 수급 여부와 관계없이 중고령 장애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중고령 장애인들 중에서도 고령 장애인을 위한 고용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전체 중고령 장애인 및 국기초 수급자, 비수급자 집단 간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취업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국기초 비수급자 집단에서 성별은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남성에 비해 여성이 상대적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고령 여성 장애인들을 위한 직업훈련프로그램과 취업지원서비스가 연령, 여성, 장애를 모두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검토되어야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