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규성-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creat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9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9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50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Ming(命) played a role in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Confucianism[王道政治]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omyeong(造命) theory by Seongho Yi-ik(1681〜1763) and his institutional reform theory. Confucianism regarded morality as an ideology shared by human beings, society, and the state, and aimed to realize it politically.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ideological world and its realization is a separate matter, because in reality, there are a variety of elements that cannot be controlled by righteousness. Ming(命) i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transcendental point that human beings face. This may manifest itself as an imperative[使命] that must be followed in accordance with a given command from the outside even though it is inside the human being, or may appear as an external limit[運命] that human power cannot reach. Confucian scholars contemplated which roles human beings should play between the ideology and its realization in which the ideology has not yet been realized through the concept of Ming. Confucius argued that, by using both of these concepts, human beings have a mission to realize Tao(道)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the situation in which Tao is not executed. When this mission appears as Virtue Politics(王道政治), the concept of Ming is revealed as a political theory. Seongho was a philosopher who emphasized human roles more than anyone else. He thought that Virtue Politics was not realized naturally but could only be realized through active human practices. However, Seongho clearly recognized that human beings had realistic constraints. Nevertheless, his belief that human beings can embody Virtue Politics did not change, since he believed that human beings had the ability of Jomyeong to change a part of their fates, even though they were subject to realistic constraints. What is notable is that the Seongho did not confine this ability to a small number of people with actual power or wealth, but to all human beings, including slaves. Seongho argued that human beings can not only overcome the natural environments through practices but also change social conditions such as economic settings. However, the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had a lot of difficulties for people to expand the ability of Jomyeong due to structural contradictions. Seongho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for all people to correct the institutional problems because the exercise of the ability of Jomyeong is the beginning of the Virtue Politics. In other words, the Jomyeong theory by Seongho wa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his institutional reform theory. The institutional reform theory based on Jomyeong theory appeared as a form of guaranteeing ‘process fairness.’ He thought of a society in which all societal members can obtain result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Of course, he did not assume the inevitable structure between one’s effort and social result. However, at least, he thought that the outcome of the practices should not be distorted by social structures, nor the consequences of unjust exploitation should not be enjoyed. From his point of view valuing agriculture, commerce seemed to enjoy profit without labor, which made him regarded as a feudal thinker against the era of commercial development through capital.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regardless of what significance or limitations his institutional reform theory, it eventually came from his belief in the human nature. The world of ideology has always been far away to thinkers regardles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reality was like a solid wall blocking the front. Between the two worlds that seem incompatible, Seongho still referred to human beings as the subject of social transformation. His argument is significant in that the creation of a better world is not only by the divine law but also by human beings, and the claim that human beings have a dynamic ability to change the reality toward ideology posit human beings as active political subjects.;본 논문은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조명론(造命論)과 제도개혁론의 관계를 통해 명(命) 개념이 유학의 정치적 이념[王道政治]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 맥락에서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학은 도덕성을 인간과 사회, 국가가 공유하는 이념으로 간주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실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념의 세계가 있다는 것과 그것을 실현한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였다. 현실에는 당위성만으로는 조절할 수 없는 우연적인 요소들이 산재해있기 때문이다. 명(命)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인간을 초월한 지점에 대해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인간 내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외부에서 주어진 명령마냥 따라야만 하는 당위성[使命]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인간의 힘이 미칠 수 없는 외부적 한계[運命]로 나타날 수도 있다. 유학자들은 ‘명(命)’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통해 보편타당한 이념과 이념이 아직 실현되지 않은 현실 사이에서 인간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해왔다. 공자는 이 두 개념을 모두 활용해 ‘도(道)가 실행되지 않는 상황적 한계[運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道)를 실현해야 하는 사명이 인간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이 사명이 왕도정치로 나타날 때, 명(命) 개념은 정치사상으로 드러난다. 성호는 그 누구보다도 인간의 역할을 강조한 사상가였다. 그가 생각하기에 왕도정치란 자연적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인간의 적극적인 실천을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성호는 인간에게 현실적인 제약이 존재한다는 것도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왕도정치를 구현할 수 있을 거라는 성호의 믿음은 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호는 인간이 비록 현실적인 제약을 받지만, 운명의 일부분을 바꿀 수 있는 조명(造命) 능력 또한 가지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성호가 이 능력을 실질적인 권력이나 부(富)을 가진 소수에게 한정시키지 않고, 노비를 포함한 모든 인간에게 적용했단 점이다. 성호는 인간이 실천을 통해 자연적 환경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귀(富貴)같은 사회적 조건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18세기 조선 사회는 구조적 모순 때문에 조명(造命) 능력을 펼치기 힘든 사회였다. 성호는 모든 사람이 조명(造命)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왕도정치의 시작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왕도정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명을 막는 제도적 모순을 고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성호의 조명론은 제도개혁론의 사상적 근거가 되는 것이다. 조명론(造命論)을 근거로 한 성호의 제도개혁론은 ‘과정의 공정성’ 보장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능력에 따라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사회를 구상한 것이다. 성호는 현실에 존재하는 우연성을 여전히 인정하고 있으므로 인간의 노력이 반드시 원하는 결과로 이어질 거라고 확신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적어도 사회구조에 의해서 실천의 결과가 왜곡되면 안 되며, 부당한 착취를 통해 결과를 누리는 일 또한 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농업을 중시하는 그의 관점에서 상업은 노동 없이 이익을 누리는 것처럼 보였고, 이 때문에 성호는 실학자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화폐를 통한 상업발전을 반대하는, 시대를 역행하는 봉건적 사상가로 비치기도 한다. 그러나 주목해야할 점은 성호의 제도개혁론이 어떤 의의나 한계를 지니든 간에 이것은 결국 인간에 대한 성호의 믿음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상가들에게 언제나 이념의 세계는 멀리 있었고 현실은 앞을 가로막는 단단한 벽과 같았다.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세계 사이에서, 성호는 여전히 인간을 사회 변혁의 주체로 내세운다. 더 나은 세계를 만들어나가는 건 결국 신(神)도 법(法)도 아닌 인간의 몫이라는 것과 이념을 향해 현실을 바꿔 나가는 역동적인 능력[命]이 인간에게 있다는 주장은 인간을 적극적인 정치 주체로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들어가는 말 1 2. 선행연구 분석 및 논문 구성 7 가. 명 개념 관련 선행연구 분석 7 나. 성호의 제도개혁론 관련 선행연구 분석 10 다. 논문의 구성 및 진행 방향 12 Ⅱ. 정치개념으로서의 명(命) 15 1. 유가적 천명 개념의 등장 15 가. 공자 이전의 천명 개념 변천 15 나. 전통적 천명 개념의 계승 17 다. 전통적 천명 개념의 변화 20 라. 지천명에 대한 종합적 해석 22 2. 명과 왕도정치 25 가. 맹자의 과제 25 나. 사명과 운명의 구분 27 다. 사명과 운명의 합일 29 라. 입명과 왕도정치 31 Ⅲ. 정치 개혁론적 관점에서의 명 36 1. 천도(天道)와 인간의 역할 36 가. 천리(天理)와 성선(性善) 36 나. 성(性)에 대한 성호의 해석 39 다. 성호의 천인분리관과 조명(造命) 43 2. 조명에서 제도개혁론으로 47 가. 성호의 조명론 47 나. 제도개혁론의 근거로서의 명 51 다. 성호의 조명과 제도개혁론 54 Ⅳ. 조명 관점에서 본 성호의 제도개혁론 58 1. 제도개혁론의 이념으로서의 조명 58 가. 성호의 문제의식 58 나. 제도개혁론의 이념과 조명 60 2. 정치사회구조 개혁론 62 가. 신분제도 62 나. 과거제도 66 3. 경제구조 개혁론 60 가. 토지제도 70 나. 조세 및 진휼제도 73 다. 상업 및 화폐제도 76 Ⅴ. 결론 80 참고문헌 83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59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星湖의 造命論과 制度改革論-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Yi-ik’s Jomyeong (造命) Theory and Institutional Reform Theory-
dc.creator.othernameKim, Min kyung-
dc.format.pageviii, 89 p.-
dc.contributor.examiner이규성-
dc.contributor.examiner이지애-
dc.contributor.examiner김선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