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옥경-
dc.contributor.author정다운-
dc.creator정다운-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1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99-
dc.description.abstract臺諫은 諫諍·彈劾·時政 등의 言論機能을 수행함으로써 정치권력의 견제와 균형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조선의 정치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대간제도의 운영과 대간의 실제 언론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당시 조선의 정치 상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司憲府와 司諫院은 각각의 독립된 기구와 제도상으로 부여된 고유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言官으로서의 성격으로 인해 대간이라는 하나의 정치집단으로 묶여 인식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간의 언론활동을 분류하고 주체를 구분하여 그중에서도 사헌부 탄핵활동의 변화상을 분석함으로써 태종대 사헌부와 王權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대간 언론에 대한 억압만을 왕권의 강화와 연결시켰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고자 한 시도이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대간제도의 근간이 된 兩司制度의 성립은 太宗 元年(1401)에 이루어졌다. 태종은 즉위를 전후로 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위한 여러 차례의 官制 改革을 추진하였는데, 양사제도 역시 왕권 강화를 위한 태종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었다. 그리고 양사제도의 성립과 운영으로 인해 사간원은 상대적으로 위상이 하락하고 간쟁권이 위축되었던 반면, 사헌부는 위상이 공고해지고 臺官으로서의 고유한 역할인 탄핵권이 강화될 수 있었다. 이는 태종대 사헌부의 탄핵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종은 大司憲을 매개로 사헌부와 연결되어 있었는데, 대사헌에 자신의 측근을 임용함으로써 정치적 목적에 맞게 사헌부를 운영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태종은 사헌부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사헌부가 탄핵의 주도권을 확보하여 태종대 탄핵활동이 증가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양사제도의 확립 이후 태종대 사헌부는 언론활동에서 점차 비중을 늘려가고 있었는데, 특히 대간의 언론활동 증가가 사헌부에 의한 탄핵활동의 급증에 상당 부분 기인하고 있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태종대 탄핵활동의 전개는 왕권 강화를 위한 태종의 정국 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태종은 왕권에 대한 위협세력의 제거라는 정치적 필요로 인하여 탄핵을 통해 정치세력의 재편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탄핵대상으로는 외척세력의 제거를 시작으로 점차 공신세력의 견제를 위해 탄핵대상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었다. 특히 外戚·功臣과 같은 특정 대상에 대한 집중적인 탄핵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점은 태종대 특징적인 현상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헌부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탄핵활동을 통해 탄핵언론을 공론화시킴으로써 정치세력의 제거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사헌부의 탄핵활동을 통한 정치세력의 견제는 태종 개인의 의지가 아닌 公論에 따른 결정으로 귀결될 수 있었다. 이는 태종이 왕권 강화를 위해 제도를 통한 公的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名分을 확보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즉, 태종대 사헌부의 탄핵활동은 태종의 의도에 부합하였던 측면도 존재하였지만, 제도의 정립을 통한 공적 시스템의 영향력 하에서 사헌부의 탄핵활동을 활용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The Daegan(臺諫) played an important role in Joseon’s political system as an institutional device for checking and balancing political power by performing various media functions involving remonstration(諫諍), impeachment(彈劾), and current political affairs(時政). Hence examining the operation of the Daegan system and its actual media activities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in Joseon. However, even though the Saheonbu(司憲府) and the Saganwon(司諫院) were mutually independent organs institutionally endowed with their own separate functions, they were lumped together and perceived as one political group called the Daegan due to their shared character as media offices. Thus this study classifies the media activities of the Daegan according to their issuing organ, and analyzes changes in the impeachment activities of the Saheonbu.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heonbu and royal power during King Taejong(太宗)’s reign. This thesis is therefore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the prevailing view that links only the suppression of the Daegan’s media activities with the strengthening of royal power. The Yangsa system(兩司制度),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Daegan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year (1401) of King Taejong’s reign. Around the time of his ascension to the throne, King Taejong had pursued a number of administrative reforms to build a political system centered around the king, and the Yangsa system was also an institution that reflected the king’s intention to strengthen royal power.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Yangsa system, the Saganwon showed a decline in relative status and curtailment of its rights to remonstration, whereas the Saheonbu consolidated its status and gained stronger rights to impeachment, which was its distinctive role as the office of inspection. Furthermore, King Taejong was connected to the Saheonbu through its minister(大司憲). The king sought to operate the Saheonbu in accordance with his political aims by appointing his close associates to the position of the Saheonbu. Thus King Taejong was able to form a tight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Saheonbu, and the Saheonbu secured the initiative in carrying out impeachment, which had a big impact on the increase of impeachment activities during King Taejong’s reign.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Yangsa system the Saheonbu under King Taejong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its share of media activities,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increase in the Daegan’s media activities was due in large part to the surge in impeachment activities conducted by the Saheonbu. The unfolding of these impeachment activities during King Taejong’s reign was close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political situation aimed at strengthening royal power. This is because King Taejong sought to reorganize the existing political forces out of the political need to remove the threats to royal power. Thus impeachment activities began with the elimination of the maternal relatives(外戚), and showed a gradual expansion in scope to check the power of the meritorious officials(功臣).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of King Taejong’s reign that specific targets like maternal relatives and meritorious officials were singled out for intensive impeachment. And the Saheonbu contributed to the elimination of political forces by publicizing its impeachment views through repeated and continuous impeachment activities. Consequently, the checking of political power through the impeachment activities of the Saheonbu can be derived from public opinion(公論) and not from the individual will of King Taejong. This means that King Taejong used public methods that were institutionally sanctioned to strengthen royal power, and that he was able to justify himself through this process.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impeachment activities of the Saheonbu under King Taejong’s rule accorded with the king’s intentions, it may be true at the same time that these impeachment activities were intended to be carried out under the guidance of a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public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太宗代 臺諫制度의 정비와 司憲府 5 1. 태종대 兩司制度의 성립 5 2. 양사제도의 운영에 나타난 사헌부 탄핵권 강화 9 Ⅲ. 사헌부 彈劾活動의 활성화 16 1. 大司憲의 임용과 사헌부-태종의 관계 16 2. 사헌부의 탄핵활동 증가 23 Ⅳ. 주요 탄핵활동과 그 정치적 의미 30 1.私兵 革罷에 반발한 李居易·李佇 축출 32 2. 세자 지지세력의 제거 34 3.佐命功臣의 숙청과 공신세력 견제 38 Ⅴ. 결론 45 참고문헌 48 부록1. 太宗代 臺諫의 전체 言論活動 상황 54 부록2. 太宗代 大司憲의 임명 상황 55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81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太宗代 司憲府 彈劾活動의 강화와 그 정치적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engthening of the Impeachment Activities of the Saheonbu during King Taejong’s Reign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dc.format.pageiv,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