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인균-
dc.contributor.advisor김지은-
dc.contributor.author최예지-
dc.creator최예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2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3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95-
dc.description.abstract서론: Cloninger 등(1993)은 유전적으로 타고나서 일생 동안 안정적으로 표현되는 기질과 환경과 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생 동안 발달하는 성격을 포함한 기질 및 성격 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질 및 성격 특질 중 초기 인성 모델에서 처음 제안된 세 가지 기질은 신경생물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신경생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추가된 한 가지 기질 및 세 가지 성격 특질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셀기반 형태분석법(voxel-based morphometry, VBM)을 이용하여 기질 및 성격에 따른 회색질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 및 비교하여, 기존에 검증된 기질뿐만 아니라 선행 연구가 부족한 기질 및 성격 특질과 뇌 영역 간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신 및 신체가 건강한 젊은 성인 남녀 52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고, 복셀기반 형태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기질 및 성격검사의 평균 점수를 고려하여 양 군의 수가 비슷하도록 절단점을 정하고 각 기질 및 성격점수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이분하였다. 각 군의 회색질 부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two-sample unpaired t-test)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고, 다중 비교(multiple comparison) 문제를 보정하기 위해 AlphaSi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순열검정(random permutation test)을 시행한 뒤, 보정된 p value가 0.01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각 기질 및 성격 점수가 높은 군과 낮은 군 간의 회색질 부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극추구 점수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도파민이 관여하는 후측 대상이랑의 부피가 크게 나타났고, 하측 측두 영역은 작게 나타났다. 반면 위험회피 점수가 높은 군은 후측 대상이랑의 부피가 작았는데, 이 영역에는 세로토닌의 수용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민감성 점수가 높은 군은 동정심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설전부의 부피가 더 컸으며, 인내력 점수가 높은 군은 후측 대상이랑 및 대상곁이랑, 전측 대상이랑의 부피가 유의하게 컸다. 인내력 기질이 높은 군이 자기참조 처리 능력이 높음을 시사한다. 성격 특질에서는 자율성 점수가 높은 군이 자기통제 능력에 관여하는 전두엽 부위가 컸고, 측두 영역의 부피는 작았다. 연대감 점수가 높은 군은 사회적 협력과 관련이 있는 내측 전두피질 및 측두 영역이 크게 나타났고, 설전부 영역은 작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초월 점수가 높은 경우, 종교성에 관여하는 설회 및 해마곁이랑 등 측두 영역에서 부피가 크게 나타났다. 고찰: 신경생물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제안된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의 경우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 성격은 Cloninger가 묘사한 각 특징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뇌 영역과 관련성을 보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구조적 차이 외에도 기능적, 화학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다각도의 뇌 영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Introduction: Cloninger et al. (1993) suggested the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cluding four temperaments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and three characters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self-transcendence). Since the Cloninger's first personality model , which categorized temperaments based on the genetic system, proposed only three temperaments including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reward dependence, various neuroimaging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in regions and these three temperaments. Subsequently, there are only few neuroimaging studies that have examined all four temperaments as well as three charact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ray matter volume (GMV) differences related to each temperament and character using voxel-based morphometry (VBM). Method: The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es were acquired using 1.5-Tesla GE MR scanner. Fifty-two young healthy adults were assessed using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high score group (HG) and the low score group (LG) of the seven traits based on the cut-off score of each trait. The VBM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GMV between the HG and the LG of each trait.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sample unpaired t-tests. Multiple comparisons were performed with a random permutation test using AlphaSim program. After the correction, clustered voxels were calculated and those with P values lower than 0.01 alpha level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GMV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significant at each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HG of novelty seeking had greater GMV of the posterior cingulate gyrus which is involved in dopamine system and lesser GMV of the inferior temporal areas, as compared with LG in novelty seeking. However, the posterior cingulate gyrus where the serotonin receptors are mainly located showed lesser GMV in the HG than in the LG of harm avoidance. In terms of reward dependence, the HG showed greater GMV of the precuneus which is known for involvement in empathy. In the persistence group, the HG showed greater GMV of the posterior cingulate gyrus, paracingulate gyrus, and anterior cingulate gyrus, which are engaged in self-referential processing. Compared to the LG, the HG of self-directedness had greater GMV of the frontal areas which are related to self-control and lesser GMV of the temporal areas. In the cooperativeness group, the HG showed greater GMV of the medial frontal cortex and temporal area and lesser GMV of the precuneus than the LG. The greater GMV of the temporal areas including the lingual gyrus and parahippocampal gyrus which are related to religiosity was found in the HG of self-transcendence relative to the LG. Discussion: The GMV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ree temperaments showed consistency with the earlier findings. In addition, the HG and the LG of persistence and three characters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self-transcendence) showed significant GMV differences in the brain regions that are known for relationships with each trait. Further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not just GMV differences, but also other aspects of the brain characteristics such as connectivity or neurochemical profiles that are related to different temperaments and charact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의 목적 및 가설 25 Ⅱ. 연구 방법 27 A. 연구참여자 27 B. 뇌 자기공명영상 자료 획득 29 C. 뇌 회색질 복셀기반 형태분석 30 D. 통계 분석 33 Ⅲ. 연구 결과 35 A. 연구참여자의 특성 35 B. 기질 및 성격검사 결과에 따른 집단 구분 37 C. 기질 및 성격 특질에 따른 회색질 부피 차이 38 Ⅳ. 고찰 51 A. 연구결과 요약 및 고찰 51 B. 본 연구의 장점 및 의의 56 C.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 방향 57 참고문헌 58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48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젊은 성인에서 기질 및 성격에 따른 회색질 부피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복셀기반 형태분석-
dc.title.translatedGray Matter Volume Differences Related to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Young Adults : a Voxel-Based Morphometry Study-
dc.format.pagev, 66 p.-
dc.contributor.examiner류인균-
dc.contributor.examiner김지은-
dc.contributor.examiner윤수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뇌·인지과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뇌·인지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