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성별, 성역할정체감, 학교의 성별 구성에 따른 청소년의 위험성향 비교 분석

Title
성별, 성역할정체감, 학교의 성별 구성에 따른 청소년의 위험성향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dolescents' risk attitude according to sex, gender role identity and sex composition of school
Authors
정혜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In our modern society in which uncertainty continually increases, individuals have to make many decisions; among studies on uncertainty and risk, studies on individuals' risk attitud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many studies have concluded that women are more risk averse than men. However, these studies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ith regard to risk attitude with biological sex and neglected gender, which individuals form as they interact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ex, gender, and a school's gender composition can act as an environment for forming their gender effect with regard to risk attitude. Since expected utility theory cannot explain how an individual's decis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Kahneman & Tversky's prospect theory was used to analyze risk attitudes towards gain, loss, and loss aversion. We conducted surveys to gather data about risk attitude and gender role identitie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coeducation, boys', and girls' schoo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women are more risk averse than men. There were also differences with regard to risk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identity type: masculine, feminine, androgynous, and undifferented. In our study, being masculine led to increased risk taking. The mediat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sex and masculinity on risk attitude showed that there is not on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risk attitude, but also that there is som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risk attitude. Among 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attitude between coeducation schools and single-sex schools, bu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emale students group. Female students attending a coeducation school were more likely to avoid risk than female students from a single-sex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glass ceiling phenomenon that prevents women from attaining promotion could be sexual discrimination due to the stereotype that women tend to be more risk averse than men. It can be inferred that gende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seeking to understand the risk attitude of individuals and how their job competency relates to their risk attitude. In addition, the result that girls from a coeducation school were more likely to avoid risk than girls from a single-sex school suggest that the assertion that coeducation school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hould be reconsidered.;불확실성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은 수많은 의사결정을 내려야한다. 불확실성과 위험에 관한 연구들 가운데 개인의 위험에 대한 태도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다수의 연구들은 여자가 남자보다 위험기피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여성과 남성의 위험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생물학적인 성으로 설명하며 개인이 그를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형성하는 젠더의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젠더, 그리고 개인이 성역할정체성을 형성하는 환경으로써의 학교의 성별 분리 교육이 개인의 위험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남녀공학, 남학교, 여학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험성향과 성역할정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대효용이론이 개인의 의사결정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Kahneman 과 Tversky의 프로스펙트 이론을 바탕으로 이익, 손실 상황에서의 위험성향과 손실회피도를 바탕으로 위험성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위험기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정체감 유형-남성성, 여성성, 양성성, 미분화성-에 따른 위험성향의 차이도 나타났다. 남성적 성향은 위험추구성향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남성성이 위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은 위험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남성성을 매개하여서도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위험성향은 남녀공학이나 남학교라는 학교의 성별 구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여학생 집단에서는 남녀공학의 여학생이 여학교의 여학생보다 위험회피성향이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의 임금 격차와 여성의 승진을 막는 유리천장 현상이 여성이 남성보다 위험회피성향이 높다는 고정관념으로 인한 성차별적인 사회현상일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젠더 정체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개인의 위험성향과 그 위험성향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에서의 직무역량을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임을 추론하게 한다. 또한 남녀공학의 여학생이 여학교의 여학생보다 위험기피적이라는 결과는 공학이 양성평등의식의 형성에 기여한다는 주장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