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소현-
dc.contributor.author한수연-
dc.creator한수연-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9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6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66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투자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위험수용성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위험수용성향과 자존감과의 연관성으로 미루어볼 때, 자존감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애착 또한 위험수용성향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정형(Secure), 거부형(Dismissing), 몰입형(Preoccupied), 두려움형(Fearful) 중에서 긍정적인 자아 모델을 가지고 있는 안정형의 위험수용성향이 가장 높을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애착 유형이 안정형인 성인은 다른 유형에 비해 자신이 의존하고 있는 상황과 사람을 안전하고 안정적인 것으로 지각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한 성향이 투자 상황에서도 더 큰 위험을 감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보았다. 애착 이론의 안전 기저의 개념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도 주변 상황을 잘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한 안정형 애착을 가진 성인이 투자를 할 때에 더 큰 위험을 감수할 가능성이 있다. 추가적으로 위험수용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인 성별, 나이, 결혼상태, 교육, 소득 변수와 성인애착유형, 위험수용성향, 자존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136명의 만 18세 이상의 성인이었으며, 성인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친밀관계경험검사(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S),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Self Esteem Scale: SES), 투자자의 위험수용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Grable과 Lytton이 개발한 13가지 시나리오형 질문을 연구자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애착유형 분포를 보면, 안정형이 가장 많았고(30.1%), 다음은 두려움형(29.4%), 거부형(21.3%), 그리고 몰입형(19.1%)로 나타났다. 유일하게 결혼 상태에 따른 애착유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수용성향과 배경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위험수용성향의 차이가 유의했으며, 남성의 위험수용성향 점수 평균이 여성보다 높았다. 소득에 따른 위험수용성향 차이도 유의했는데, 전체적으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수용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 배경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에 따른 자존감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남성의 자존감 점수 평균이 여성보다 높았다. 결혼 상태에 따른 애착불안, 애착회피 점수의 차이 또한 유의했다. 미혼의 애착 불안 점수가 기혼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기혼의 애착회피점수가 미혼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불안 점수와 애착 회피점수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결과가 드러났으나 이 상관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위험수용성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과 소득 변수만이 위험수용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성인 애착과 위험 수용 성향 간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애착과 경제학적 변수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애착과 경제학적 변수 간의 관계는 인간의 생애 초기 경험 또한 경제 행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발달 심리학적 요인에 대한 재조명과 심리학, 경제학 두 분야의 연구 주제 확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or 's attachment and risk toler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tolerance and self-esteem suggests that attachment closely related to self-esteem formation may also be related to risk tolerance.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ecure type who have the positive ego model among the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type could tolerate the highest risk. And adults who belong to the secure attachment type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situation and people as safe and stable compared to other types, and this tendency will allow them to take even greater risks in investment situations. When we look at the concept of the secure base of attachment theory, it is possible that adults with secure attachment may take a greater risk when inv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income variable, adult attachment type, risk tolerance, and self-esteem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adults who live in Seoul. To measure the adult attachment,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S)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Self Esteem Scale (SES) was used. To measure investor's risk tolerance, 13 scenario-type questions developed by Grable and Lytton was used. Attachment type distribution showed Secure type (30.1%) was the most, followed by Fearful type (29.4%), Dismissing type (21.3%) and Preoccupied type (19.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achment type according to marriage status on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tolerance and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tolerance according to sex, and the mean score of male risk acceptance tendency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tolerance according to income. As the income increased, the risk tolerance increased. Whe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sex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mean score of male self-esteem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ttachment-related anxie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attachment-related avoidance scor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Unmarried attachment-related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rried ones, and married attachment-related avoid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unmarried on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related anxiety score and attachment-related avoidance score, but this correlation was low.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risk tolerance, only gender and income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isk tolerance. As a resul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isk acceptanc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economic variables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economic variable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show that early life experiences in humans can also influence decisions of economic 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can re-examine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factors and promote the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in psychology and economic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애착 6 1. 애착 이론 6 2.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8 3. 성인애착과 성인 애착 측정 도구 10 B. 위험 수용 성향 13 1. 위험과 위험 수용 성향 13 2. 위험 수용 성향의 측정과 위험 수용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4 C. 자존감 18 D. 성인 애착과 자존감, 자존감과 위험수용성향 간의 관계 20 1. 성인 애착과 자존감의 관계 20 2. 자존감과 위험 수용 성향 간의 관계 23 Ⅲ. 연구문제 25 Ⅳ.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측정도구 26 1. 성인애착 측정도구 26 2. 자존감 측정도구 27 3. 위험수용성향 측정도구 27 C. 연구절차 28 D. 분석방법 28 Ⅴ. 결과 29 A. 인구통계학적 특징 29 B. 측정 변인에 따른 애착유형의 분포 31 C. 측정 변인에 따른 위험수용성향 차이 33 D. 측정 변인에 따른 자존감 차이 34 E. 측정 변인에 따른 애착 불안, 애착 회피 점수의 차이 36 F. 애착 유형에 따른 위험수용성향 차이 40 G. 애착불안, 애착회피 점수, 위험수용성향 간의 상관관계 40 H. 위험수용성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42 Ⅵ. 논의 44 참고문헌 47 부록1. 설문지 5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53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1-
dc.title투자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위험수용성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ors’ Adult attachment and Risk tolerance-
dc.format.pagev,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