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김민아-
dc.creator김민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1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1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40-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를 맞이하여 지식과 정보가 기업의 부와 가치 창출의 핵심요소가 되었다. 전통적으로는 개인적 차원에서 지식을 창출, 축적, 활용하는 인적 자본을 기업가치로서 중요시 여겼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주목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의 핵심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는 개인의 네트워킹 행위를 통해 구축된다. 즉, 네트워킹 행동은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복잡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따라 기업의 학습 패러다임의 변화로 기존의 형식학습(formal learning)을 넘어 무형식학습(informal learning)이 대두 되고 있다.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계속해서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주도성을 가지고 지식이나 정보를 획득하고 조직에 적응해 가는 무형식학습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말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조직 내의 인간관계, 즉 네트워킹이 무형식학습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네트워크를 강도, 밀도, 범주, 크기 등으로만 분석하였고,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네트워킹 행위와 무형식학습 관계에 대한 실증한 연구는 아직 없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의 비중이 크다 할 수 있는 비서직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구조가 아닌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학습자 개인의 네트워킹 행동이 무형식학습 결과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려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서의 내부 및 외부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의 내부 네트워킹 행동이 무형식학습에 관계가 있는가? 둘째, 비서의 외부 네트워킹 행동이 무형식학습에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현직 비서 대상으로, 판단표집(judgemental sampling)과 스노우볼 표집을 병행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면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2016년 10월 27일부터 11월 10일까지 15일간, 현직 비서 대상으로 총 247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 7부를 제외하고, 총 240부가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설문의 내용분석을 위하여 SPSS 23.0(ver.)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다증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 네트워킹 행동 중 수직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학습 결과의 업무지식 획득, 조직적응 및 맥락이해, 관계형성, 자기개발능력 함양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내부 네트워킹 행동 중 수평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학습 결과의 업무지식획득과 관계형성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낸 반면, 조직적응 및 맥락이해, 자기개발능력 함양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관계관리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학습의 하위변인과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친교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학습 중 업무지식 획득에만 부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학습 결과의 하위변인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비서직의 경우 무형식학습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 안에서는 상사를 대상으로 한 수직적 네트워킹 행동과 동료 및 부하를 대상으로 한 수평적 네트워킹 행동에 전략을 세우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조직 밖에서는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을 장려하며, 친교적 네트워킹 행동에 무형식학습의 방해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직 내외의 네트워킹 행동의 차별적인 전략을 통해 무형식학습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비서의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기존의 비서학 연구에서 상사와 비서간의 관계에 한하여 LMX이론을 적용한 연구에서, 비서의 대인관계를 조직 내의 상사와의 네트워킹, 동료 및 부하직원과의 네트워킹, 조직 밖의 네트워킹으로 구분하여 다각적 관점으로 비서의 네트워킹 행동을 조명함으로써 비서의 일터 중심의 대인관계를 확장시킨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다른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은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결과의 관계에 대해 비서직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는데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새로운 경력개발 시대에 맞게 비서 개인의 경력관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조직의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 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에 몇 가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법 사용의 한계, 또한 스노우볼 표집(snowlbal sampling)방법과 판단표집(judgemental sampling)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 하에 표본이 선택되기 때문에 표본이 편향될 가능성이 높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한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SNS등의 온라인 네트워킹을 활용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실시간 이메일, 인터넷, SNS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have become key elements of creating assets and values of enterprise. Human capital which creates, accumulates and utilizes knowledge on an individual level, has been highly valued in businesses traditionally. However, social capital accrued through social networks has received attention recently, and the relevant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he social network which is the key factor of the social capital is constructed by the individual networking behavior. That is, networking behaviors build social relationships to form social networks and to increase social capital.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formal learning is emerging as a major issue beyond the formal learning by the learning paradigm shift of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informal learning with the initiative of learners in order to most effectively deal with today's fast-paced work environment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ain factor promoting informal learning is interaction with others. Many studies show that human relationships within an organization, that is, networking, are closely related to informal learning.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spects of network structures such as network strength, density, range, size, etc., the relation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has not been examined directly in prior empirical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es.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es? Second, is ther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7 to November 10, 2016 among 247 incumbent secretaries who were collected by judgement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fter screening the data, 240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y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ertical·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 of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aining knowledge for performance, adapting in the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context, forming relationship and enhancing self-development skill of informal learning.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 of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aining knowledge for performance and forming relationship, bu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apting in the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context and enhancing self-development skill. Second, relationship-maintain networking behavior among the external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formal learning. However, friendship networking behavior among the external behaviors was negatively related only with attaining knowledge for performance. Also, work-related networking behavior among the external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informal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fferentiated strategies of networking behaviors ar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al work. It is effective to establish and strengthen the strategy for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for superior, colleagues and subordinates in the organization and work related networking behaviors for expert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outside the organization. However, friendship networking behavior can take away the opportunity to attain knowledge of performance and lower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Thus, strategies for the differentiation of networking behavior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can effectively enhance the results of informal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The study was the first to show a relation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which has not been examined directly in previous empirical research. It is useful that it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well as secretarial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in the era of boundaryless care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네트워킹 행동 6 1. 사회적 네트워크 6 2. 네트워킹 행동의 정의 및 유형 8 3. 네트워킹 행동의 효과 11 B. 무형식학습 14 1. 무형식학습의 정의 14 2. 무형식학습의 활동 방법 17 3. 무형식학습의 측정 21 C.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관계 23 D. 비서의 네트워킹과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25 1. 비서의 네트워킹에 대한 연구 25 2. 비서의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27 Ⅲ. 연구방법 31 A. 연구모형 31 B. 연구가설 32 C.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38 1. 네트워킹 행동 38 2. 무형식학습 41 D. 설문지의 구성 42 E.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43 F. 자료분석방법 44 IV. 연구결과 46 A. 표본의 특성 46 B.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 48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48 2.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54 C.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비교 55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내부 네트워킹 행동의 차이비교 55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부 네트워킹 행동의 차이비교 58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무형식학습의 차이비교 60 D.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62 E. 가설의 검증 64 1. 내부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관계 64 2. 외부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관계 67 Ⅴ. 결론 및 제언 70 A. 연구결과 및 논의 70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75 참고문헌 78 부록(설문지)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40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비서의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학습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es-
dc.format.pagex, 95 p.-
dc.contributor.examiner황혜진-
dc.contributor.examiner전지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