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옥-
dc.contributor.author강진희-
dc.creator강진희-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65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39-
dc.description.abstract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hanged not only our everyday life but also the way we do busines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is defined as a flexible working style that can process work without the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0). In particular,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e smart work environment has become routinized. Despite the rapidly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there have been no analytical studies 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for legal secretaries. Due to the conservative nature of the law market, delay in the introduction of digital systems is undeniable(Kim Seong-yeol, 201). However, numerous changes are being noted,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electronic lawsuit system in the general legal system. Now, taking the inevitability of smart work into account, studies 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need to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legal secretaries who comprise a large portion of the human resources in law firms(Lee Hye-sook, 2010).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examined the smart work environment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but none on the internal psychological conditions or attitudes of individual employees. A research is needed to predict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employees, including thei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affective commitment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ICT in the smart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 responses from 146 legal secretar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mart work environ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on in the inter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gal secretarie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1.0. The analytical methods included the analysis of frequency,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fulness of the smart work environ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legal secretaries. However, connectivity, complexity, and security risk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the connectivity and security risks of the smart work environ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and useful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 effects on the job stress of legal secretaries. Only complexit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job stress. Third, the usefulness of the smart work environ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affective commitment of legal secretaries. Connectivity, complexity, and security risk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ffective commitment. Fourth, personal innovation ha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effects of usefulness on job satisfaction of legal secretaries. Its moderating effects on all other variables were all dismissed. Such findings suggest that multiple corporations, including law firms could consider the measures to construct a smart work environment from multiple perspectives. Corporate managers could uti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baseline data to develop in-house training sessions 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initial research on legal secretaries in relation to the smart work environment; this study further extended the theoretical base for further researches 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by empirically clarifying the interrelations amo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ffective commitment, and personal innovation.;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조직 내 업무처리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왔는데,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방식을 스마트워크라고 정의한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기기가 활성화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워크 환경의 구현이 일상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업무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법률비서를 대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에 관해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법률시장의 보수적인 측면으로 인해 디지털 시스템 도입이 다소 늦어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김승열, 2013) 법률업무 전반에서도 전자소송시스템의 도입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스마트워크가 불가피한 시대인 점을 감안할 때, 법률회사의 인적 구성요인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법률비서(이혜숙, 2010)를 대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워크 환경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는 많이 있으나 이러한 근무 환경에서 근로자 개개인의 내적 감정 상태나 태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기술 도입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몰입과 같은 개인의 내면을 예측해보고 분석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률비서 14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이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법률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 환경의 유용성은 법률비서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성, 복잡성, 보안위험성은 법률비서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워크 환경의 연결성과 보안위험성은 법률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유용성은 법률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잡성만이 법률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워크 환경의 유용성은 법률비서의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성, 복잡성, 보안위험성은 법률비서의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혁신성은 스마트워크 환경의 유용성이 법률비서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에 대한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는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법률회사를 포함한 다수의 기업에서는 스마트워크 조성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민해볼 수 있으며, 기업의 관리자들은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사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법률비서만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로 그 의미가 있으며,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몰입, 개인혁신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봄으로써 스마트워크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법률비서의 개념과 직무 9 B. 스마트워크 환경 15 C. 직무만족 21 D. 직무스트레스 25 E. 정서적 몰입 29 F. 개인혁신성 32 G. 변수 간의 관계 34 1. 스마트워크 환경과 법률비서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 34 2. 스마트워크 환경과 법률비서의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37 3. 스마트워크 환경과 법률비서의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 40 4.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43 Ⅲ. 연구방법 47 A. 연구모형 설계 47 B. 연구가설 설정 48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50 D. 연구대상 및 자료분석방법 61 Ⅳ. 연구결과 63 A.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3 B. 측정도구 검증 65 C. 상관관계 분석 72 D. 가설 검증 73 Ⅴ. 결론 87 A.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87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7 참고문헌 98 부록 설문지 112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54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스마트워크 환경과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법률비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on in Associations with the Smart-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Affective Commitment : Focusing on Legal Secretaries-
dc.format.pageviii,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