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Title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for Young Children in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Authors
장민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동화텍스트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연령별, 생활주제별, 장르별로 살펴봄으로써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수준 외 적정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후 유아기 동화 선정의 개선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동화 텍스트 수준은 연령별로 어떠한가? 2.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동화 텍스트 수준은 생활주제별로 어떠한가? 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동화 텍스트 수준은 동화장르별로 어떠한가? 연구 자료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에 제시되어 있는 동화 텍스트 216편이었다. 동화 텍스트 수준의 분석은 텍스트 질적 요인 분석과 텍스트 양적 요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텍스트 질적 요인 분석을 위한 도구는 미국 공통핵심교육과정(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CCSS, 2010)에서 제안한 문학텍스트 수준 분석을 위한 교사용 평가 도구(Text Complexity: Qualitative Measures Rubric-Literature)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텍스트 양적 요인 분석을 위한 도구는 Spache 이독성 공식(Spache, 1952)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평균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누리과정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살펴본 결과, 3, 4, 5세 세 연령 모두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동화 텍스트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각 연령별로 2개 연령 수준차가 나는 텍스트가 약 20% 내외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의 유아 수준에 비해 높은 수준의 텍스트가 일정 부분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제 연령 수준의 판단 근거인 글의 구조, 주제, 언어의 명료성 및 관습성 수준, 배경지식의 4개 평가범주별로 3-5세 연령별 텍스트 수준 경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연령별 동화 텍스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3세 동화 텍스트의 대부분은 글의 구조가 연령에 적정한 편이었으며, 4세 동화 텍스트의 대부분은 언어의 명료성 및 관습성 수준이, 5세 동화 텍스트의 대부분은 글의 구조와 주제가 각각 연령에 적정한 편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 외 평가범주에 대한 연령별 동화 텍스트 수준은 연령에 적정하지 못한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3-5세 누리과정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텍스트 양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3, 4, 5세 텍스트 수준은 유아 수준에서부터 초등학교 4학년 수준까지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 수준 사이의 텍스트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3세는 1학년 수준이, 4세와 5세는 2학년 수준의 텍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텍스트의 학년수준 또한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생활주제별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살펴본 결과, 11개의 생활주제 중 7개의 생활주제에서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동화 텍스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와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3개 주제는 다른 생활주제에 비해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동화 텍스트 비중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실제 연령 수준 판단의 근거인 4개 평가범주에 따라 생활주제별 동화 텍스트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적정도 편차가 큰 3개 생활주제는 글의 주제, 언어의 명료성 및 관습성, 배경지식 범주에서 모두 다른 생활주제에 비해 연령 적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생활주제는 ‘나와 가족’, ‘우리나라’ 생활주제에 비해서도 연령에 적정한 텍스트 비중이 더 낮았으며, 그 중에서도 배경지식 수준이 적정한 텍스트 비중이 두드러지게 낮았다. 이와 같은 경향은 텍스트의 주제 또는 소재의 측면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주제는 다른 생활주제에 비해 유아에게 생소하고, 다소 어려운 텍스트의 주제 또는 소재를 많이 다루고 있어 배경지식 수준뿐만 아니라 다른 평가 범주의 복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연간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주제의 흐름에 따른 동화 텍스트 수준 경향을 살펴본 결과, 학기 초부터 학기 말까지 이루어지는 생활주제 순서에 따라 연령별 동화 텍스트 수준의 계열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화는 연령 간 계열뿐만 아니라 동일 연령 내 계열 역시 고려되어 학기 초부터 학기 말까지의 동화 텍스트 수준이 점차적으로 높아질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생활주제별 동화 텍스트가 학기 초부터 학기 말까지 1년의 교육시간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유아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장르별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살펴본 결과, 9개 장르 중 7개 장르에서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동화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7개 장르 중에서도 신화, 역사동화, 정보동화 3개 장르는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텍스트의 비중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4개 평가범주에 따라 장르별 동화 텍스트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적정도가 낮은 3개 장르는 글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 범주에서 다른 장르에 비해 연령 적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특히 평가범주 중에서도 배경지식 수준에 있어서 3개 장르 모두에서 연령에 적정한 텍스트 비중이 두드러지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장르의 텍스트가 다루고 있는 소재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유아에게 생소하고, 추상적인 내용이 많은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CCSS(2010)에서 제안한 텍스트 복잡도 모형을 사용하여 텍스트 질적·양적 요인에 따른 동화 텍스트 수준 및 연령별 유아의 수준에 적절한 텍스트 수준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텍스트 구성요소 측면에서 연령별 유아의 수준에 적정한 특성을 밝히기 위해 유아기 언어이해능력 및 텍스트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연령별 유아의 수준에 적절한 동화 텍스트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동화 제작 주체인 작가 측면에서, 선정 주체인 교사용 지도서 집필진 및 교사 측면에서 각각 유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는 교사를 비롯한 유아교육 전문가 보다는 전문 동화 작가가 글의 구조, 주제, 표현, 맥락 등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되, 유아교육 전문가가 연령별 유아의 수준에 적절한 동화 텍스트를 잘 고려하여 선정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유아교육전문가가 동화 텍스트 구성요소 및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의 수준에 적절한 동화를 선정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과정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유아에게 적절한 동화 텍스트 수준에 대한 연구가 유아기 단계에서 보다 활발히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동화선정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for young children in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age, theme and genre of creative tal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by children’s age? 2. How are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by themes? 3. How is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by gen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16 creative tale text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To examine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actors of text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Measures Rubric for Literature Text Complexity’(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CCSS, 2010) was used for analyzing the text level of qualitative factors of creative tales. The Spache readability formula was used for analyzing the text level of quantitative factors of creative tales.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the text levels of the majority of creative tales for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were not appropriate for their age. Especially, for each age, about 20% of the text was of a level for children that are two years older than the target age group. Meanwhile, in the analysis of the tendency in text level for three-to-five-year-old children based on four criteria that are applied to assessing the age level, i.e. text structure, theme, clarity of the language and level of conventionality, and background knowledg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ale text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ge. Most of the creative tale texts for three-year-old children had an age-appropriate text structure; most of the creative tale texts for four-year-old children had an age-appropriate clarity of the language and level of conventionality, and most of the creative tale texts for five-year-old children had an age-appropriate text structure and theme. By contrast, a high proportion of the remaining criteria for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 age groups. Meanwhile, regarding quantitative factors of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3-5 Nuri System, the text level for the three-, four-, five-year-old children varied widely, from the infant level to fourth-grade level. In particular, most text was between first-grade to third-grade level, with the majority of text for three-year-old children being the first-grade-level; and that for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being the second-grade level. In other words, the text level increased according to the target age group. Second, regarding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according to the theme, in seven out of 11 themes, a high proportion of text of the creative tal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 age. Especially, ‘My Family and I,’ ‘Our Neighborhood,’ and ‘Our Country’ included a considerably high proportion of creative tale text that is not appropriate for the age, in comparison to other themes. Regarding the trend in text of creative tales based on themes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for age level assessment, three themes with a wide deviation of age-appropriateness showed low levels of age-appropriateness in theme, clarity of the language and level of conventionality, and background knowledge, in comparison to other themes. In particular, the theme ‘Our Country’ had a lower proportion of age-appropriate text than ‘My Family and I’ and ‘Our Neighborhood,’ especially in terms of the background knowledge. This trend can be explained by the theme of the text. Because the theme ‘Our Country’ deals with text, theme, or subjects that are unfamiliar and difficult to preschool children, compared to other themes, it influences the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as well as complexity of other criteria.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 order to help writers who create the creative tales and writing staff and teachers who select the tales provide age-appropriate text to preschool children: it is advisable that creative tales for preschool children be written by professional creative tale writers rather 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focusing on the text structure, theme, expression, and contex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select the tales based on the level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to be able to select creative tale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children based on understanding of text components and lingu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for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addition, active research on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appropriate for the age of children must be conducted to propose more objective and specific criteria for selection of creative tale However, regarding the trend in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according to the themes included in the annual curriculum, the sequences of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by age were not consider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mes taught throughout the semester.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needs to be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emester, by taking into account both inter-age sequence but also intra-age sequenc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text of creative tales based on daily life themes do not reflect the level of children that increases gradually throughout the school year. Third, regarding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eacher’s guidebook for the 3-5 Nuri System according to the genre, seven out of nine genres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creative tales tha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 age. Of the seven genres, myth, historical tale, and informational tale had an especially high proportion of text that is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 age. Next, regarding the trend of creative tale text by genre according to the four evaluation criteria, three genres that had a low level of age-appropriateness showed a low level of age-appropriateness in all of the criteria except text structure. Especially, the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was especially inappropriate for the target age in all of the three genr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subjects of the text of these genres include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nd, therefore, are unfamiliar and abstract for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text complexity model proposed by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CCSS, 2010) for understanding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actors and the text levels appropriate for preschool children of different ages. Especially, in terms of components of text, the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linguistic understanding ability and text during infancy to identify characteristics that are appropriate for different ages. Also,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the study analyzed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 and provided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creative tale text that is appropriate for preschool children of different 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