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Title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ays to Improve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uthors
박아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와 보다 다양한 양질의 교육기회를 요구하는 고학력 노인 인구수의 증가로 인해 노인미술교육에서의 전문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현 노인미술교육의 전문성 정도를 진단하고,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요 및 개선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평생교육의 의미, 노인미술교육의 이해,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실행 방안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현 노인미술교육의 전문성을 진단하고,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요 및 개선방향의 모색을 위하여 혼합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이를 위한 연구도구로 설문지와 심층면담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경기도 S시에 위치한 B노인종합복지관에서 노인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참여자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참여자, 강사 및 운영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넷째, 설문지는 SPSS(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량 분석하고, 참여자, 강사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은 귀납적 분석 단계에 따라 정성 분석하였다. 설문지와 심층면담지를 정량·정성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첫째, 계열성 및 계속성의 원리에 입각한 프로그램 개발 및 미술표현과 감상수업이 골고루 분포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현 노인미술교육 전문성을 진단했을 때 프로그램 개발의 전문성이 가장 저조한 실정이었기에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의 전문성 제고는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내용에 있어서 표현수업과 이론수업의 병행과 다양한 표현재료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강사 양성에 있어서 노인의 심리 및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전문 강사 교육과 교육현장 중심의 강사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 대 학생 비율의 축소, 독립적인 미술 공간 마련 및 미술 기구 지원과 같은 기관의 제도·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노인미술교육 전문기관 확보, 전문 강사 확보를 위한 재정 지원 확대와 같은 기관 및 정부의 제도·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 노인미술교육의 전문성 정도를 양적 결과로 제시하고,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요 및 개선방향을 질적 결과로 제시하여 노인미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진행될 노인미술교육 연구와 노인미술교육 전문화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ways to improve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by perceiving the necessity of specialization in senior art education that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aging population and the growth of the well-education elderly population who required education opportunities of various high qualities and by examining the degree of specialty of current senior art education and seeking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nd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followings were carried out. First, theories on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understanding of senior art education and ways to conduct senior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were examined. Second, in order to examine specialty of current senior art education and to seek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nd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in mixed methods research. For this, a questionnaire and an in-depth interview form were developed as tools for the study.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54 seniors who participated in the senior art education program offered by B senior welfare center in S city, Gyeonggi-do.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1 participants, instructors and operators. Fourth, the questionnair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PS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structors and operator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analysis stage.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and in-depth forms are as follows. First, as ways to improve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based on the principle of sequence and continuity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which evenly contain artistic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class should be carried out. As examination of specialty of current senior art education showed the lowest level of specialt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enhancing specialt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content of study, expression class and theory class should be delivered side by side, and study on various expression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terms of the cultivation of instructors, education for specialized instructors who can understand seniors’ psychology and characteristics and the cultivation of instructors based on the education filed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the reduction of the ratio of teacher to students and the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s of institutions such as provision of independent art space and support for artistic institutions should be needed. Fifth, the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s of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such as the increase of financial support for the securement of institutions specialized in senior art education and expert instructors are nee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egree of specialty of current senior art education in quantitative results and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and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ative results, suggesting specific ways to improve specialty of senior art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senior art education and specialization of senior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