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김현희-
dc.creator김현희-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51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5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3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3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121-
dc.description.abstract급속히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유래 없는 정보화와 세계화, 다원화로 정의되는 지식기반사회를 창조하였다. 이 같은 시대적 변화는 교육의 형태에도 영향을 미쳐 스마트교육이란 새로운 교육 체제의 등장을 야기하였다. 스마트교육이란 정보화 사회에 따른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식과 정보의 일상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개별화된 맞춤학습으로 능동적 지식 습득을 가능케 하는 교수-학습 체제이다. 이 같은 스마트교육은 교육계 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미술교육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진행 된 미술교과 내 스마트교육 연구들은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영역 중 하나인 표현을 중심으로 전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대상의 감각적 인지와 작품의 가치 평가를 통한 미술 문화 향유 능력의 향상’이라는 미술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체험 및 감상 영역과의 균형 잡힌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21세기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핵심 역량은 미술교과에 있어 균형 잡힌 교육 형태와 더불어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비판적 사고 과정을 통해 인류의 삶을 이해하는 미술비평 학습으로 배양될 수 있다. 미술비평 교육은 작품을 감상한 후 언어를 매개로하여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이다.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펠드먼(E. B. Feldman)이 제안한 ‘비평적 담화’를 미술비평의 주된 모형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시대에 뒤진 지식의 명제에 기반 한 것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게히건(G. Geahigan)은 펠드먼의 비평 모형을 보완하여 ‘비평적 탐구’라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비평 모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를 적용하여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미술비평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주제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미술과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21세기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함양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교육과 미술비평 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와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각각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미술비평 교육의 현황과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기존에 출시 된 미술감상 및 비평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례와 스마트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의의에 대해 고찰한다. 이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체제를 선정한 후, 작품 탐구 활동, 지식의 재구성 활동, 의사소통 활동이라는 필수 요소를 선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기획 및 설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학습자와 현직 교사에게 제시 및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논의와 결론을 도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본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작품에 대해 탐색할 수 있고, 수동적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을 가능케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둘째, 도판의 크기가 작아 보기 불편하고, 용어 풀이와 사전 등의 추가 기능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셋째, 학습을 완료한 후 일정한 보상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다는 개선점을 가진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과 이상에서 거론된 어플리케이션의 단점 및 개선점을 토대로, 스마트기기의 여러 운영체제에 따른 다양한 방식의 미술비평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The rapidl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have created the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is defined by unprecedented informationization,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After affecting the form of education, such a change in the era has brought about a new education system - smart education. Smart education is the teaching-learning system which enables active learning of knowledge based on interaction of learners and tailored learning through the daily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uch a smart education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throughout the entire educational circle and it is being developed in many different ways by a number of researchers eve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However, the existing smart education studies within the art subject are mostly about expression which is one of the domains of the content system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bal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the experience and appreciation domain is necessary so a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art education -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enjoy art and culture through the sensuous percep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artworks by targets. In 2011,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by suggesting the necessary core competencies to the learners of the 21st century after presenting the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ies. Such core competencies can be cultivated by the art criticism learning that understands the life of humanity through the balanced education form and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of appreciating and evaluating artworks within the art subject. Meanwhile, the art criticism model being used at schools in the modern times is the critical discourse suggested by E. B. Feldman which has the limit of being based on the out-of-date proposition of knowledge. In this light, G. Geahigan developed the critical exploration - the active criticism model based on learners - after supplementing the criticism model by Feldman. Therefore, this study will seek the new direction of the art subject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under the theme 'developing the art criticism appli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after applying the critical exploration by Geahigan and suggest the specific alternative to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which is being required from the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literature studies and the textbooks regarding smart education and art criticism educ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criticism education. Moreover, the study will reflect on the meaning of developing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applications related to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hich have been released and the previous studies on smart education. After selecting the operation system of application based on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application will be planned, designed, and developed after choosing the essential elements - the artwork exploring activity, the activity of reorganizing knowledge, and the communicating activity. Lastly, the discussion and the conclusion of developing application will be drawn from the process of suggesting and verifying the developed application to learners and teacher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is application has the merits of exploring diverse artworks and enabling the active learning by learners after deviating from passive lecture style classes. Second, it has the demerits of being uncomfortable to look at the plate due to small size and needing to hav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ictionary. Third, the application needs to have the element to provide a certain compensation and maintain the interest of learners upon finishing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future studies on developing the art criticism application in various ways based on several operation systems of smart devices have to be conducted after referring to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the experiments targeting learners were not conducted and the demerits and the necessary improvements of the suggested appl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스마트교육의 이해 4 1. 스마트교육의 정의 및 개념 4 2. 스마트교육의 특성 및 유형 9 B. 미술비평 교육의 이해 15 1. 미술비평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 15 2. 미술비평의 유형 및 모형 18 3. 2015개정 교육과정과 미술비평 교육 28 C. 스마트교육과 미술비평 교육 42 1. 미술감상 및 비평 어플리케이션 사례 분석 42 2.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미술비평 교육의 의의 48 Ⅲ.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51 A. 어플리케이션 개발 51 1. 기획 53 2. 설계 55 3. 디자인 61 B. 어플리케이션 평가 68 1. 학생 평가 69 2. 교사 평가 73 Ⅳ. 교수-학습 프로그램 설계 77 A. 교수-학습 프로그램 77 1. 수업 도구 77 2. 평가 도구 90 Ⅴ. 결론 95 참고문헌 98 부록 102 ABSTRACT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969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스마트교육에 기초한 미술비평 어플리케이션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게히건(G.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ing the Art Criticism Appli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 Focused on the Critical Exploration by G. Geahigan-
dc.creator.othernameKim, Hyun Hee-
dc.format.pagevii, 130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