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5-9세 고기능 자폐아동의 대화상대자에 따른 경어법 조율 능력

Title
5-9세 고기능 자폐아동의 대화상대자에 따른 경어법 조율 능력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Honorific Coordinating Skills between of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aged 5 to 9 years old.
Authors
이명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고기능 자폐 아동은 자폐범주성 장애 아이들 중에서도 언어적인 능력이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을 갖고 있으나 제한된 관심사와 반복적인 행동, 의사소통적 결함 등 화용론적 결함이 두드러진다. 특히 고기능 자폐 아동들은 대화상황에서 화자의 나이, 신분, 성별 혹은 대화 상황등의 대화맥락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을 고려하여 자신의 의도를 적절한 방법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 언어는 전통적 사고와 유교적 문화의 영향을 받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언어사용에 있어서 ‘경어법’으로 실현이 되는데, 아동들이 성장함에 따라 만나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면서 적절한 경어법을 사용하는 것은 성공적인 인간관계 여부를 결정 짓기도 한다. 이 외에도 공식적인 상황, 비공식적인 상황 등 에서도 경어법은 자주 사용되므로 우리나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라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표현이다. 현재 고기능 자폐 아동들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대화능력과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경어법의 사용능력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어법이 대화상대자에 따라 잘못 사용되는 경우(존대, 하대)와 경어법의 언어적 (어휘, 형태소)사용이 잘못 되었을 때 고기능 자폐아동들이 이를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는 의사소통 조율 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어법 조율능력 과제에서 나타난 집단간 오류유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생활연령 만 5세에서 9세 고기능 자폐아동 12명, 일반아동 12명, 총 24명 이었다. 고기능 자폐아동들의 의사소통 조율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개발중인 한국아동화용언어능력평가의 하위영역인 대화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과제를 사용하였고,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 및 하대 상황에서 경어법 어휘와 형태소를 잘못 사용하는 20문항, 연습문항 1문항, 아동들이 과제에 익숙해지지 않도록 허위문항2문항을 추가하여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존대 및 하대 상황에 따른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경어법 어휘와 형태소에 따른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집단간 경어법 조율능력 과제에서 나타난 오류유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어법이 잘못 사용된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인식오류, 경어법을 잘못 사용된 상황을 인식은 하였으나 형태소를 잘못 사용한 형태오류, 의미를 잘못 사용한 의미오류, 상황맥락과 관련 없는 말로 표현한 ‘화용오류’로 분류하여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상대자에 따른 경어법 존대-하대 조율능력에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경어법의 존대-하대 조율 능력에 따른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또한 존대-하대조율능력 과제내에서 하대조율능력 과제의 수행력이 존대 조율 능력 과제의 수행력보다 유의 하게 컸다. 더불어 하대 조율능력 과제에서의 일반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의 수행력 차이가 존대 조율능력 과제에서의 일반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의 수행력 차이보다 유의하게 컸다. 둘째, 대화상대자에 따른 경어법 형태소와 어휘 조율능력에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경어법 형태소와 어휘 조율 능력에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경어법의 형태소와 어휘 조율능력 과제 내에서 수행력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경어법 형태소와 어휘 조율능력 과제와 집단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오류유형의 경우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에서 전체 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기능 자폐아동들과 일반아동들은 경어법이 잘못 사용된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인식오류’의 출현이 가장 높았으며, 고기능 자폐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인식오류’에서 높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또한 일반아동은 ‘의미오류’와 ‘화용오류’에서 1%미만의 출현률을 나타낸 반면, 고기능 자폐아동들은 ‘의미오류’와 ‘화용오류’에서 각각 5%와 7%의 출현율을 나타내 오류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기능 자폐 아동은 대화상대자에 따라 경어법을 존대하거나 하대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조율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이며, 경어법 어휘와 형태소를 인식하여 수정할 수 있는 능력에도 어려움을 보인다.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경어법이 잘못 사용된 상황을 인식하는 것 에서부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기능 자폐아동들은 타인과 대화하는 상황에서 경어법을 사용하거나 잘못 사용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고 수정하는 능력에도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조율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경어법의 지도가 필요하며 대화상대자에 따른 존대하는 상황과 하대하는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 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ordinating skills of honorific according to conversational partner between the High-Functioning Autism(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Twelve HFA and twelve TD children aged 5 to 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s of this were as follows: (1) Does the performance of recognizing and adjusting the honorific situations(honorific/non-honorific)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2) Does the performance of recognizing and adjusting the honorific linguistics(vocabulary, morpholog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wo groups? (3) What are the error types of the honorific coordinating skills task in groups? Children were asked to whether the presented honorifics dialogue are correct or not and to correct them. Ten honorific items and(dialogue with older person) and 10 non-honorific items(dialogue with younger person), total of 20 items were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on the wrong use of the honorific vocabulary and morphology in a honorific, 1 practical item, and 2 added questions for children not to familiar with the experimental task. A two-factor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to deter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two groups and within each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FA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honorific coordinating task than normal childre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recognizing and adjusting the non-honorific coordinat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honorific coordinating skills. Second, HFA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of the honorific morpheme and the vocabulary coordination skills than normal children. However, the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morpheme and vocabulary coordination skills assignment of the honorific system wa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honorific morpheme and the vocabulary coordination skil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total of errors, the full frequency error was higher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than normal children. In addition, HF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ecognition error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conclusion, children with HFA have difficulty on the skills of recognizing and adjusting the honorific situation in terms of the honorific system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al partner. They seems to be difficult to recognize and to modify the honorific vocabulary and morpheme. In addition, as seen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ypes of errors, they show difficult in recognizing even the situation when the honorific system has been used wrong. Therefore, children with HFA are expected to have difficulty in the skills of using the honorific system and recognizing and modifying the system when used wro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ildren with HFA need to be trained related to the honorific system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coordinating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