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rt lessons that applied project learning to creative expression of first grade in high school Impact : Focusing on stereoscopic expression
Authors
정미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21세기는 1990년대 이후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식과 정보의 생산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시대가 되면서 정보와 지식이 사회적경제적 교환에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정보와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사회는 다시 한 번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를 준비하고 있으며 2017년 11월 16일 서울 COEX에서 신기술이 미래사회에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할 수 있을지 소개하는 취지로 “2017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이 열릴 것이며“4차 산업혁명체험관”을 운영하여 Robot, Al(인공지능), 드론, 3D 프린팅 등의 제품을 소개하고 4차 산업의 변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또한 지난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 정책토론회’에서 새 교육의 방향이 제안되었는데, 소프트웨어(SW)교육, 창의‧융합교육 등 특화된 교육과 구체적인 학습방법으로 학생이 학습에 대한 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실제 학습한 것을 확산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것은 국내 학교 교육이 교사가 학생들에게 내용을 알려주는 ‘주입식 교육’이 아직 주를 이루고 있고 미래사회는 교육현장에서 유연성과 탄력성 확보가 필요로 하며, 교사가 학습내용을 알려주는 방식으로는 창의성 및 융합능력을 기르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이렇듯 21세기 정보화 시대에서 현대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창의성이다. 개인의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력은 정보화, 창의융합의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많은 정보에 대한 획득 능력보다 필요한 정보를 새롭게 형성해 내는 창의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사회나 환경에 적응하는 교육이 아니라 새로움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성 개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2015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살펴보면,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2015 개정 미술과 교과 역량에서도 미적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제시하고 있어, 창의성 개발 미술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이를 통한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수많은 가능성을 다양한 미술활동을 거쳐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창의적 표현력 개발을 위한 교과 역량의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창의융합 능력으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며, 미술 활동 과정에서 타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연계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다음은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으로 미술 활동에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성찰하도록 하며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21세기 4차 산업의 정보화시대와 2015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미술과 교과역량을 차례로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개발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의 흥미에서 출발하여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창작 교과서 입체 표현 단원의 미술 수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교육과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국내와 국외 문헌의 연구를 통해 개념들의 연계성 및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2009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입체표현 단원 내용을 분석하고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1학년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수업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 D구 소재의 H여자고등학교 1학년 2개의 학습 7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학기 초 실시되는 반 배치고사의 점수를 확인하여 점수 편차가 가장 적고 동일 교육과정의 학습자로써 같은 미술교사의 지도하에 미술수업에 대한 경험이 유사한 학급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9차시에 걸친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때 실험집단에는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창의적 표현력에 대해 창의적 표현력 검사지로 실기 결과물을 평가한 후,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분석하고 실기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를 거쳐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업 처리 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창의적 표현력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창의적 표현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창의적 세부항목으로 보았을 때,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기결과물 질적 평가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셋째, 창의적 세부항목으로 보았을 때,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표현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기결과물 질적 평가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넷째, 창의적 세부항목으로 보았을 때,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조형요소와 원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기결과물 질적 평가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다섯째, 창의적 세부항목으로 보았을 때,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표현재료와 용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기결과물 질적 평가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여섯째, 자기평가지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질문에서 높게 나왔고, 수업에 대한 흥미, 작품에 대한 만족도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변인인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검사지에서 전체 영역과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표현력을 함양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come important resources for social and economic exchange as the Internet technology has developed since the 1990s and the produ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rapidly increased. Based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our society is once again preparing for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on November 16, 2017 at COEX in Seoul, we will introduce how new technologies can be applied and utilized in future society. Technology R &D Daejeon "will be held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 Hall "will be opened to introduce products such as Robot, Al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s and 3D printing, Respectively. In addition, a new educational direction was proposed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Education Policy Debate' hosted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on the 8th of the month,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specialized training including software (SW) As a learning method, we proposed a way for students to plan their own learning and spread the actual learning. This is because the 'in-school education', in which the teacher informs the students about the contents of the domestic school education, is still in the mainstream, and the future society needs the flexibility and resilience in the education field. There was a voice that it was difficult to develop fusion ability. In this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cre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that modern society demands. Individual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competencies in modern society, which is the age of informationization, creativity and convergence, and dem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form new information more than information acquisition ability.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that can create newness should be done not education that adapts to existing society or environment.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curriculum are presented as 'people who create new things by fusing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of various specialized fields based on a wide range of basic knowledge'. In the 2015 revised art subject curriculum, Creativity and art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 many potentials that are potentially present to human beings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And the lik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 competence for developing creative expressive ability. First, it expresses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creativity by using various media in creative and convergence ability, Technology, and experience in order to enhance their ability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The next is to encourage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by participating voluntarily and actively in art activities through self-directed art learning, and in the process,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respect, consider and cooperate.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creativity and development, and then, from the interest of learners, to project planning and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rt class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high school freshma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rt lesson using project learning model o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high school 1st grade students. Firs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creativity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Second, we analyzed contents of stereoscopic expression unit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developed the teaching tool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first grade class in high school applying project learning. Third, 70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of H - girl high school in Dongdaemun - gu, Seou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of the same curriculum were checked for the score of class placement test We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the two classes with the least deviation.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9 experimental sessions. At this time,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 applying the project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Finally, after evaluating the actual results of the creative expressive ability test on the experimental expressive power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program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e study after class processing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 group with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 applying the project learning, and the creative expressive power was further improved. Second, as the creative subcategories, the experiment group with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 applying the project learn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got a better evaluation in the realistic result quality evaluat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tereotypical expression class applying project learn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on method than the control group, and got a better evaluation in realistic result quality evaluation. Fourth, considering the creative detail, experimental group with stereoscopic expression teaching using project learn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ative factor and principl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got better evaluation in realistic result quality evaluation. Fifth,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tereoscopic expression teaching using project learn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ve materials and equipmen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valuation of practical performance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Sixth, the learn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in all ques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elf - evaluation place, and it was helpful to the interest of the class and satisfaction of the wor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tal area and the detailed items in the test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rt lesson applying the project learning model positively influences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