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6 Download: 0

국어와 음악의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한 소설 창작 수업방안 연구

Title
국어와 음악의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한 소설 창작 수업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Fiction Writing Based on Korean Language-Music Integrated Curriculum.
Authors
김지안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현행 문학교육에서는 ‘문학의 수용과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창작교육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소설 창작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은 제한된 시간, 창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글쓰기를 대하는 학생들의 부담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소설 창작에 대한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된 경우가 드물며, 이것이 수업에서 실제 창작으로 이어지기보다는 이론 수업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창작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소설 창작수업이 실행되기에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7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창작교육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되어 왔고 이를 반영한 제재가 ‘비누인형’이었으나, 교과서 속 교육내용이 배제되면서 학습자들에게 소설 창작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했다. 소설 창작이 교육적으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활동이라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설 창작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학습자들에게 소설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는 국어와 음악의 통합교육에 바탕을 두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설 창작수업을 진행하여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음악을 결합한 소설 창작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음악을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과 국어 두 과목에 동일한 힘의 균형이 주어지도록 하였다. 이는 국어와 음악의 공통된 요소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두 교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활성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나면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여름방학 전, 겨울방학 전 각각 일주일 총 2주간의 소설 창작수업을 진행했다. 포가티(Fogarty)의 통합교육, 그 중에서도 ‘공유형’의 방식을 채택하여 국어와 음악의 공통요소를 중심으로 한 소설 쓰기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음악을 바탕으로 한 소설 창작은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의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이를 통해 성취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Ⅱ장에서는 본고에서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개념인 ‘통합교육’과 ‘소설 창작교육’을 연결하기 위해 통합교육의 개념 및 유형을 살펴보고, 국어과와 음악과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통합교육의 유형 중 포가티(Fogarty)의 통합교육 방법을 택하였고, 이 중에서도 교과 간 통합의 방법인 ‘공유형’을 선택하여 국어와 음악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고 음악을 활용하여 소설 창작교육을 실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현행 문학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소설 창작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2007 교육과정부터 2015 교육과정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과 이러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한 문학교과서를 검토해보았다. 교육과정에서는 창작교육에 대해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나, 실제 교과서에는 창작의 기회가 제공되는 것이 다소 부족했으며, 한 편의 소설 창작에 중심을 두기보다는 기존에 제시된 작품을 재구성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국어와 음악의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소설 창작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한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음악의 다양한 요소 중 선율과 가사를 택해, 선율을 중심으로 한 소설 창작과 가사를 중심으로 한 소설 창작을 진행하여 분석해보았다. 다음으로 본 수업의 긍정적인 사례와 부정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업 상황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학습자들에 대한 발견으로 교사의 기대 효과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글을 통해 예술성, 심미성, 창의성, 감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소설 창작수업에서 중점을 두어 지도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고민해봄으로써 본 수업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가 함께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수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한 소설 창작교육의 대안과 앞으로의 소설 창작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수업이 통합교육 중 하나의 수업 형태를 제시한 것이기에 ‘소설’을 중심에 두고, 음악과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방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소설 창작이 다른 교과와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소설 창작의 중요성에 대해서 재확인하고, 음악과 소설 창작의 결합이라는 시도를 통해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동기와 흥미를 제공하는 수업으로써 의미가 있으며, 소설 창작의 기회를 갖는 것만으로도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수업 상황에서 기존에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학습자에 대한 재발견과 이해, 새로운 수업을 시도하기 위한 고민과 설계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업의 비연속성으로 인한 문제, 연구결과의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등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습자들에게 소설 창작의 기회를 바탕으로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와 같은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자들이 전인적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가 앞으로 펼쳐질 논의의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Teaching creative writing is being highlighted in the current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cy, but schools are not yet practising it. The slow activation of writing fictions in Korean school system are caused by time constraint, teachers' short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creative writing, and students' burden to write. There are also few relevant activities described in textbooks, In addition, Contents of writing fictions are rarely handled or mentioned in school textbooks. Many times writing fictions are taught just theoretically rather than real practice. Therefore, eve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e writing is not making it easy to teach fiction writing in reality. Since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 creative writing has ceaselessly been studied, which was reflected in Soap Doll, a material for students' creative writing in a textbook, only to be excluded from the textbook later and fail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write fiction. Because it is a shared idea that writing fiction is an educationally valuable and meaningful activity, this study is going to re-identify the importance of writing fiction to offer an opportunity to write a story to learners. Therefore, the researcher planned to give high school students a new type of fiction writing lesson based on curriculum integration. Korean language was integrated with music in the class for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research, and their roles were tried to be made even instead of using music as a mere tool. Because the researcher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was interested in music as well, the key elements of music were also planned to be explored at least to some extent. It sims to extend understanding of both subjects and activating them by offering direc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common factors of Korean Language and Music. The researcher taught fiction writing to high school students at their schools, for a week before summer vacation and for another week before winter vacation, therefore, two weeks in total. Significant results tried to be obtained through fiction writing focusing on common factors of Korean Language and Music by adopting 'shared type' method. Writing Music-oriented fiction seemed to reduce burden feel of students, provoking interest and motivations. In Chapter II, to associate 'integrated education' and 'writing fiction education' which are handled mainly in this paper, concept and types of integrated education have been review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Korean Language and Music was also considered. Based on them, among different integrated education types, Fogarty's integrated education method was adopted. Among these, Inter-subject 'shared type' was selected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and Music. And using Music, expected effect to be gained by executing writing fiction education was also reviewed. Next,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s from 2007 to 2015 and their literature textbooks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eaching fiction writing in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while the curriculums underlined teaching creative writing, the textbooks didn'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to create, remaining at the level of recreating existing works rather than focusing on writing a new story. Chapter III, explored the results of planning and conducting fiction writing class based on the Korean language-music integrated curriculum. The class consisted of writing two stories, of which one was based on melody and the other on lyrics, to utilize mainly those two key elements of music and analyse the outcomes. Next, both positive and negative cases of this clas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some learners who hadn't stood out in the existing class context turned out to be good in this context, which gave an opportunity to enhance teacher expectancy effect. The learners' artistry, aesthetic sense, creativity, and sensibility were also identified from their writings. Moreover, trying to determine what part of this class should be mainly focused on created an opportunity for learners and a teacher to grow together. In Chapter IV, taking one step further from this class, the directions of writing fictions education and its alternatives were reviewed. Since this class suggested one type of class among integrated educations, different directions were also tried to review, locating 'fiction' in the center in order to integrate it with Music. In addition, from literary education view, possibility to integrating writing fictions with other subjects was also reviewed.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writing fiction and examined the procedure and results of a new attempt to integrate fiction writing and music in the classroom. It was identified that this integrated curriculum was meaningful as it motivated learners to learn and was enjoyable and that having an opportunity to write a story itself had educational value. Furthermore, the possibilities of teachers to grow together with learners by re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who hadn't stood out under the original curriculum and planning and designing a new curriculum. Despite the limitations such as the discontinuity of the class and th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objectively, this research makes the students feel achievement due to the opportunity of writing fictions. Through such experience,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arrange base to make the students develop holistically. At the moment seeking integrated education, I expect this research to be a beginning of new future discu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