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중학교 국어과에 나타난 갈등 해결 교육의 실제성 구현 양상 분석

Title
중학교 국어과에 나타난 갈등 해결 교육의 실제성 구현 양상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aspects of authenticity implemen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lass : focusing on listening and speaking learning activities
Authors
정윤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고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갈등의 노출에 대해 현명하게 해결하기 위한‘갈등 해결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실제성을 갖추어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와 실제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상호의존이 증가하는 사회 속에서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공존 방법이 필요하며 본고는 그것을 ‘갈등 해결 교육’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음성언어를 통한 ‘갈등 해결 교육’이 실천적 교육으로서 자리매김 되기 위해 중등 국어 교과서의 양상을 검토하고 분석함을 토대로 본고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리는 가정뿐만 아니라 학교, 사회 집단 속에서도 갈등에 노출되어 오고 있으며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건설적인 방안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 교육을 배우지 않았다. 이에 노출된 갈등에 대해서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역량이 부족하다. 대부분 언어적 의사소통으로부터 그 갈등이 시작되며 갈등이 이루어져오는 과정 속에서 복합적인 요소들이 뒤엉켜 갈등이 증폭된다. 이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시작점 또한 의사소통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듣기·말하기 교육을 통한 ‘갈등 해결 교육’이 현 국어교육에서 필요한 지도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의 지도가 학습자들에게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해 실질적 점검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갈등 해결 교육은 문학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해당 갈등의 제시와 갈등 해결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작품 속에서 주인공들이 처해 있는 갈등 상황과 이에 따른 해결 방식이다. 이는 갈등해결이 학습자들에게 작품을 통한 재체험을 하게 만들며 이는 실천적 영역으로서의 갈등 해결 교육이라 볼 수 없다. 실천적 영역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화법 교육에서 ‘갈등 해결 교육’이 실천되어야 한다. 실제성 검토를 위해 14종 국어교과서의 귀납적 검토를 통해서 구조와 내용의 두 양상을 기준으로 실제성을 분석하였다. 구조의 실제성 분석을 위해 단원 구성과 학습활동의 체계 구성을 검토하였으며 내용의 실제성 분석을 위해 학습 활동의 제재 및 내용과 구체적인 갈등과 갈등 해결 제시 양상을 검토하였다. 해당 기준을 토대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검토를 할 수 있었다. 첫째, 국어교과서의 학습활동에는 단편적으로 ‘갈등 제시 – 갈등 해결 방안 제시’의 순서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갈등 해결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둘째, 예외적이지만 갈등 해결의 전 과정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제시하는 학습활동을 구성하였을 때 학습자들로 하여금 집중적인 갈등 해결 교육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국내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화법을 통한 갈등 해결 프로그램이 자리 잡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은 힘의 갈등과 잠재적 갈등에 대한 갈등 해결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학습자들이 가정과 학교 내 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겪게 될 갈등까지 포함하여 본고에서는 갈등의 유형을 분류 할 수 있었다. 사실 관계, 이해관계 갈등, 관계상 갈등, 구조적 갈등, 가치관 갈등, 힘의 갈등으로 갈등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으나 교과서에서는 친구와의 갈등과 가정 내의 갈등이 주로 제시가 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듣기·말하기 유형(장르)에 제한된 현실 전이 가능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말하기 유형의 성격이 현실 전이가 가능한 제재 혹은 내용을 제시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해‘갈등 해결 교육’이 실천적 영역으로써 그 의미를 가지기 위해 실제성을 갖춘 학습활동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에 본고는 현 교과서의 양상을 연구자가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갈등 해결 교육의 실제성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듣기·말하기 영역의 학습자들이 갈등이 부정적인 것이 아닌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기회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는 ‘갈등 해결 교육’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to wisely deal with conflict exposure inevitably encountered i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is applied with authenticit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explore its actual applications. The new coexistence method for solving conflicts in a society where mutual dependence is increasing is called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to situate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through verbal language as practic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ze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Although we are exposed to conflicts in domestic settings, schools, and social groups, we have not learned concrete instructions to solve them through constructive measures when facing problems. Therefore, we lack the capacity to resolve the conflicts peacefully. Most of the conflicts originate from verbal communication, and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flict, the complex elements are intertwined and the conflicts are amplified. Thus, the starting point for resolving the conflict is communication. Accordingly, this paper emphasizes that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through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is highly important for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actical check whether the instructions in the education field can foster the learners '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So far,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has been mainly perform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However, since the presentation of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are related to the conflict situations in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problem-solving in the literature, the learners re-experience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e literature, which cannot be regarded as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as a practical area. In order to teach practical areas,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speech education. Therefore, by examining whether the listening and speaking learning activities are conducted with authenticity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identifies the practical methods. Chapter Ⅰ mention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the speech education, examines previous research, and discusses research methods and design. The previous research review includes the studies on conflict resolution in the domain of speech and the authenticity studies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Chapter Ⅱ includes the theoretical review to analyze the authenticity of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t discusses the concept and meaning of authenticity that can be appli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conflict resolution based on speech. Finally, it suggests the current situ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present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Ⅲ inductively analyzes 14 typ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examine authenticity. The analytical standards are formal composition and content composition. The formal composition includes unit arrangement and unit composition, and content composition includes topics and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textual patterns by types of conflicts, and criteria for the possibility of transferring rea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authenticity in Chapter III, Chapter IV points out the types of conflicts and activities in the practical area that are not covered in textbooks and seeks the solutions. In relation to power conflicts and potential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xposed in real life but not revealed in textbooks, this chapter proposes solutions based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positive dialogue techniques in order to find the solutions with authenticity. By offering learning activities that have authenticity in order to have the implication in the practical area, it is hoped that conflict does not only have negative connotation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mooth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