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8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과 한국인의 반응 연구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과 한국인의 반응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e of Downgrader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Reactions of Koreans
Authors
김민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in part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verbal and non-verbal downgraders of Koreans and thos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investigation of the use of downgrader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in order to pseudolongitudinally clarify whether the downgraders acquisition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s approaching to that of Koreans.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d how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mpt to soften the force of speech with downgraders despite their lack of Korean ability. Secondly, the reactions of Koreans were explored in terms of the types of downgraders used by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verbal downgraders and non-verbal downgraders in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explor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evious studies for deriving research questions. The previous studies include the discussions on the use of downgraders in Korean and English and the responses of native speakers to the use of downgraders by foreign language learners. The two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o understand the verbal(lexical, grammatical, intonational) downgraders and non-verbal(paralinguistic and physical) downgraders use. Research question 2 is to understand the reactions of Koreans according to the types of downgraders used by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is comprised of three sub-questions: research question 2-1 deals with the Koreans’reactions to Type 1 with appropriate verbal downgraders and inappropriate non-verbal downgraders and Type 2 with inappropriate verbal downgraders and appropriate non-verbal downgraders. Research Question 2-2 deals with the Koreans’reactions to Type 3 with appropriate lexical downgraders and inappropriate grammatical downgraders and Type 4 with inappropriate lexical downgraders and appropriate grammatical downgraders. Finally, Research Question 2-3 deals with the Koreans’reactions to Type 5 with appropriate paralinguistic downgraders and inappropriate physical downgraders and Type 6 with inappropriate paralinguistic downgraders and appropriate physical downgraders. Chapter Ⅱ inclu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 concept of hedge, which is the foundation of downgraders, was investigated in the proposition domain and the speech act domain, respectively. Then, the types of downgrader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Moreover, downgraders in the Korean language were identified into the verbal(lexical, grammatical, intonational) and non-verbal(paralinguistic and physical) ones in a basi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is study, and the framework of each level of downgraders was prepared. Furthermore, the functionalist perspective embedded in this study was explained in the cas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cquiring downgraders. Chapter Ⅲ describes research method, including the preliminary experiment data collection tool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the results from the preliminary experiment, and the supplements, experiment participants, experiment tools,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in detail. The main experiment was divided in use experiment and reaction experiment. The use experiment had a total of 60 participants, including 20 Koreans, 20 Chinese learners in the basic level, 20 Chinese learners in the intermediate level, and 20 Chinese learners in the advanced level. The reaction experiment in which a participant watches and evaluates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speech in videos had 30 Korean participants. To collect the use experiment speech, a role-playing was used to perform 6 face-threatening speech acts. The collected speeches were all transcribed in terms of verbal and non-verbal analysis item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transcribed material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via SPSS 23.0 program for statistical test, including Pearson’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hen necessary. For intonational downgraders or paralinguistic downgraders(final lengthening, final weakening) analysis, Praat 6.0.20, an acoustic speech analyzer was utilized. Among the collecte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speech videos for the reaction experiment, the videos related to the six types of downgraders were selected and shown to Koreans. The questionnaires to examine their reactions included the determinations on the problems and the assessments on speech attitudes. In Chapter Ⅳ, the outcomes of the use experiments were described, which wa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 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downgraders use types were analyzed on lexical level, grammatical level, and intonational level in the verbal domain. In the non-verbal domain, the use patterns were analyzed on the paralinguistic and physical lay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patterns of lexical downgraders and grammatical downgraders, it was found that all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had limited use in the types and tokens of downgraders although they showed development of using downgraders. Especially, unlike Koreans, the beginner and the intermediate learners used lexical downgrader apology-types, such as ‘죄송합니다’ or ‘죄송하지만’, at a high frequency. Also, the beginner learners were highly dependent on grammatical downgrader hope-types, such as ‘-고 싶다’, which Koreans do not prefer to use in communication. Such tendency was highly noticeable in the basic level and tended to gradually disappear from the intermediate level to the advanced level. However, even the advanced learners were not able to use various abundant downgraders like Koreans.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although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ould not mitigate utterances with vocabulary or grammar signs, they actively used intonational downgraders and non-verbal downgraders from the basic level.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non-verbally solve the phonetic needs that are not fulfilled verbally. In Chapter Ⅴ, the outcomes of the reaction experiments were described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which wa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 2. The reaction experiment was to ask how Koreans evaluate the use of six types of downgraders.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2-1, Koreans responde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speech that did not use non-verbal downgraders even with appropriate verbal downgraders, while they did not see a problem with the speech that use non-verbal downgraders well despite inappropriate verbal downgarder. The research Question 2-2 was to identify how Koreans feel more problematic between a speech without lexical downgraders and grammatical downgrader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 since the speech used here sufficiently accompanied non-verbal downgraders. Nevertheless, the reaction experiment related to Research Question 2-2 allowed the observation that a speaker's speech attitude perceived by the conversation partner varied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downgraders. Finally,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s 2-3, Koreans evaluated the case of inappropriate physical downgraders than inappropriate paralinguistic downgraders more problematic. Chapter Ⅵ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from Chapter Ⅳ and Ⅴ and suggests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imultanoesly sheds light on the use patterns of intonational downgraders and non-verbal downgraders usually negl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with verbal(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which leads to the overall frame of downgraders acquirement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understanding on the aspects of their phonetic development system. Second, by observing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basic level actively supplemented the lack of verbal downgraders with non-verbal downgraders, the aspects of functionalistic acquirement was also observed. Third, the effects of non-verbal downgraders as well as verbal downgraders on actual speeches were observed through a reaction study. Thus, it was possible to practically verify the influences of the non-verbal mechanism in face-to-face communication. Four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recall the importance of paralinguistic downgraders and physical downgraders as well as verbal downgrad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Fif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can provide concrete teaching items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only, it did no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downgraders use i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since the spee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role-playing situations in which the subjects were in a state of nervous tension,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verbal and non-verbal downgraders in actual speeches.;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한국인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적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완화 장치 습득 양상은 초·중·고급의 숙달도별로 살펴보아,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습득이 한국인의 완화 장치 사용에 가깝게 일어나고 있는지 유사통시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더불어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을 초급부터 살펴보아 한국어 자원이 제한적인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원의 부족을 어떻게 극복하며 발화 강도를 완화하는지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관찰하고자 했다. 둘째,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완화 장치 사용에 따른 한국인들의 반응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적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 완화 장치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도출을 위한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과 영어의 언어적(어휘적, 문법적, 억양으로 실현되는), 비언어적(부차언어적, 신체적) 완화 장치 사용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어, 외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완화 장치 사용에 대한 모국어 화자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위와 같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고안된 연구 문제는 크게 2가지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인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적(어휘적, 문법적, 억양으로 실현되는)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부차언어적, 신체적) 완화 장치의 사용을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완화 장치 사용 유형에 따른 한국인들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는 세 가지의 하위 문제들로 구성되었는데, 연구 문제 2-1은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은 적절했으나 비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이 부적절한 유형 1과 이와는 반대로,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은 부적절했으나 비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이 적절하게 실현된 유형 2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2는 어휘적 완화 장치 사용은 적절했으나 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이 적절하지 않은 유형 3과 이와는 반대로, 어휘적 완화 장치 사용은 적절하지 않았으나 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이 적절한 유형 4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 2-3은 비언어적 완화 장치 중 부차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은 적절했으나 신체적 완화 장치 사용이 부적절한 유형 5와 이와는 반대로, 부차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은 부적절했으나 신체적 완화 장치 사용이 적절하게 실현된 유형 6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완화 장치 개념의 출발이 되는 헤지(Hedge)의 개념을 명제적 차원과 화행적 차원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완화 장치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한국어에 존재하는 완화 장치를 본고의 분류 체계에 따라 언어적(어휘적, 문법적, 억양으로 실현되는)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부차언어적, 신체적) 완화 장치로 규명하였고, 각 층위에서 실현되는 완화 장치의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완화 장치를 습득하는 데에 있어 본고가 견지한 기능주의적 관점을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장에서는 본 실험에 앞서 시행한 예비 실험의 자료 수집 도구들과 실험 과정, 그리고 예비 실험 결과와 이를 통해 도출된 보완점들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고의 연구 참여자, 실험 도구 및 절차, 자료 분석 방법을 상세히 밝혔다. 본고의 본 실험은 크게 사용 실험과 반응 실험으로 나뉘는데, 사용 실험에서는 한국인이 20명,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초급 20명, 중급 20명, 고급 20명으로 총 60명이 참여하였다. 그리고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를 영상으로 보고 평가하는 반응 실험에 참여한 한국인은 30명이었다. 본고의 사용 실험의 발화 수집을 위해서는 6가지 체면 위협 화행을 수행하는 역할극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수집된 발화는 언어적 분석 항목과 비언어적 분석 항목이 모두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는 빈도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통계 검증으로는 SPSS 23.0을 통해 교차 분석이 이루어졌다. 교차 분석에 사용된 검증은 카이제곱 검정, Fisher의 정확 검정이었다. 더불어 t검정도 필요시 사용되었다. 한편 억양으로 실현되는 완화 장치나, 부차언어적 완화 장치(어말 장음화, 어말음 약화)의 분석을 위해서는 음향음성 분석기인 Praat 6.0.20이 사용되었다. 한편 반응 실험을 위해서는 수집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영상 중에서 본고가 고찰하려는 완화 장치 사용 유형 6가지에 해당하는 것을 선별하여 한국인들에게 보여주고 반응을 살폈다. 한국인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문항은 ‘문제 여부에 대한 판단’과 ‘발화 태도에 대한 평가’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따라 실시된 사용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것은 연구 문제 1번에 관련된 실험이었다. 완화 장치 사용 실험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언어적 차원에서 어휘적 층위, 문법적 층위, 억양 충위에서 그 사용 양상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비언어적 차원에서는 부차언어적 층위와 신체적 층위에서 그 사용 양상이 분석되었다. 어휘적 완화 장치와 문법적 완화 장치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숙달도에 따라 발전상을 보여주기는 하였으나 한국인에 비해 완화 장치의 유형과 구현 면에서 모두 제한적인 사용을 하고 있었다. 특히 초급과 중급 학습자들은 사과형 ‘죄송합니다’, ‘죄송하지만’과 같은 어휘적 완화 장치를, 한국인과 다르게 빈도 높게 사용하였고 초급 학습자들은 한국인들은 선호하지 않는 희망형 ‘-고 싶다’와 같은 문법적 완화 장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초급에서 매우 두드러졌으며 중급과 고급으로 갈수록 조금씩 해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휘나 문법 표지로 발화를 완화시키시는 못하였지만 억양으로 실현되는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 완화 장치를 초급부터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언어적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화용적 필요를 비언어적으로 해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따라 실시된 반응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것은 연구 문제 2번에 관련된 실험이었다. 반응 실험은 총 6가지 유형의 완화 장치 사용에 대해 한국인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묻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1과 관련하여 한국인들은 언어적 완화 장치를 잘 사용했더라도 비언어적 완화 장치를 잘 사용하지 못한 발화에는 문제가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반대로 언어적 완화 장치를 잘 사용하지 못했더라도 비언어적 완화 장치를 잘 사용한 발화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2-2는 어휘적 완화 장치가 부재한 발화와 문법적 완화 장치가 부재한 발화 중에서 한국인들은 어떤 발화에 더 문제를 느끼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발화는 비언어적 완화 장치를 충분히 동반하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연구 문제 규명이 어려웠다. 그러나 연구 문제 2-2와 관련한 반응 실험을 통해 어떤 기능의 신체적 완화 장치가 사용됐는가에 따라 대화 상대자가 인식하는 화자의 발화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 2-3과 관련하여서는 부차언어적 완화 장치의 사용이 부적절했을 때보다 신체적 완화 장치의 사용이 부적절했을 때 한국인들은 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Ⅵ장에서는 Ⅳ장과 Ⅴ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고찰하지 못한 억양으로 실현되는 완화 장치와 비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을 언어 형식적(어휘적, 문법적) 완화 장치와 함께 조명했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습득의 총체적 그림을 파악하고 그들의 화용 발달 체계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들은 언어 형식적 완화 장치의 부족을 비언어적 완화 장치를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보완하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함으로써 기능주의적 습득의 한 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언어적 완화 장치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완화 장치가 실제 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 연구를 통해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면대 면 의사소통 가운데 비언어적 기제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를 실제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넷째,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 형식적 완화 장치뿐만 아니라 부차언어적 완화 장치와 신체적 완화 장치의 중요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환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고의 실험 결과는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 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한계점 또한 지니고 있다. 먼저 중국어권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언어권에서 가지고 있는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의 특징을 밝히지 못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역할극 상황에서 발화를 수집, 분석했기 때문에 실제 발화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비언어적 완화 장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