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4 Download: 0

간호사의 아동 임종 간호 수행 시 지지요인, 장애 요인과 이직 의도

Title
간호사의 아동 임종 간호 수행 시 지지요인, 장애 요인과 이직 의도
Other Titles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 of 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Authors
백숙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아동 임종 간호 수행 시 지지요인, 장애요인과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1곳의 대학병원의 어린이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1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동 간호사의 임종 간호에 대한 인식은 Beckstrand 등이 개발한(2010) “The National Survey of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questionnaire”를 번역한 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이직 의도는 윤은자와 김희정(2013)이 개발한 간호사의 이직 의도 도구(Korean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 K-NTI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 백분율, 순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 간호 지지요인, 장애 요인의 인식과 이직 의도는 t-test, one-way ANOVA로, 유의미한 경우 사후검증은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임종 간호 인식 정도와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 간호사의 임종 간호 지지요인과 장애 요인 임종 간호 지지요인의 규모 점수(Perceived magnitude score: intensity ×frequency) 상위요소 다섯 가지는 ‘의사가 가족들과 환아에게 예후에 대해 분명히 설명하는 경우’, ‘생명 유지장치가 중단될 때 부모가 환아를 끌어 안도록 해주는 경우’, ‘가족이 환아의 죽음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갖게 하는 경우’, ‘환아가 죽은 후 가족이 함께 있는 시간을 적절히 허용하는 경우’,‘가족들에게 환아를 애도할 수 있는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경우’의 순이었다. 임종 간호 장애 요인의 인식된 규모 점수 상위요소 다섯 가지는 ‘환아가 회복할 가망이 없는데도 고통스러운 치료나 검사를 지속하는 경우‘, ‘환아의 가족들이 환아가 불치병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인해 환아와 가족에게 적절한 임종 간호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 ‘불안해하는 가족을 상대하는 것’, ‘죽어가는 환아와 슬퍼하는 가족들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병동 내 공간 부족’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 간호 지지요인, 장애 요인과 이직 의도 간호사가 임종간호 수행 시 인식하는 임종 간호 지지요인은 근무 부서(F=5.94, p=.020)와 총 임상 경력(F=3.21, p=.04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간호사가 임종간호 수행 시 인식하는 임종 간호 장애요인은 총 임상 경력(F=3.98, p=.022)와 소아병동 근무 경력(F=3.91, p=.034), 임종 간호 교육(t=-2.02, p=.046)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아동 간호사의 임종 간호 지지요인, 장애 요인과 이직 의도의 관계 본 연구에서 임종간호 수행 시 인식하는 임종 간호 지지요인과 이직 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220, p=.020). 임종간호 수행 시 인식하는 임종 간호 지지요인(r=.287, p=.002), 경험 정도(r=.209, p=.02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지지요인의 하위요소인 인식과 경험(r=.226, p=.017), 장애요인의 하위요소인 인식과 경험(r=.213, p=.025), 지지요인의 인식과 장애 요인의 인식(r=.656, p=.000), 지지요인의 경험과 장애요인의 경험(r=.524, p=.000)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 간호사들이 인식하고 경험하는 임종 간호 지지요인은 가족 간호와 관련된 요인들, 장애 요인은 환자의 상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가족들과 관련된 요인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종 간호 지지요인과 장애 요인은 이직 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 간호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요소들을 보완해주기 위한 간호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가족이 함께하는 임종 간호를 위한 의료기관의 환경개선 등을 통해 양질의 임종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임종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감정적 소진 예방 및 도덕적 고뇌 해소를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아동 간호사들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Mortality rate of children within the hospital have been increased lately. This arouse the needs for nurses given appropriate end of life care in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 of 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using 110 nurses who work at children hospital around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from October 10th to October 18th, 2017.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measured by The National Survey of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lated in korean and turnover intention measured by Korean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 K-NT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to identify ranking, discer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highest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magnitude(PSBM) was ‘Physicians who are compassionate, but very clear about prognosis.’ The next 4 supportive behaviors with PSBM were ‘Allowing parents to hold the child while life support is discontinued.’, ‘Having enough time to prepare the family for the expected death of the child.’, ‘Allowing family members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the child after he/she dies.’, ‘A unit designed so that the family has a place to go to grieve in private’ The highest Perceived obstacle magnitude(POM) was Instigating or continuing painful treatments or procedures when there is no hope of recovery‘ The next 4 obstacles with POM were ‘Families not ready to acknowledge their child has an incurable disease’, ‘. The nurse’s workload being too heavy to adequately care for the dying child and grieving family.’, ‘Dealing with anxious family members’, ‘Lack of nursing education regarding quality end-of-life care.’ 2.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the Intensity of the supportive behaviors(ISB)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 work unit(F=5.94, p=.020), total clinical experience(F=3.21, p=.044).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the intensity of the obstacles(IO) in end of life ca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otal clinical experience(F=3.98, p=.022), children hospital work experience of the nurse(F=3.91, p=.034), education of end of life care (t=-2.02, p=.046) 3. ISB and I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turnover intention(ISB: r=.220, p=.020, IO: r=.287, p=.002). Pediatric nurses’perception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obstacles(FO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turnover intention(r=.209, p=.027). ISB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supportive behaviors(FOSB)(r=.226, p=.017). IO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O(r=.213, p=.025). ISB positively correlated with IO(r=.656, p=.000). FOSB positively correlated FOO(r=.524, p=.000). The results suggest that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 of life care was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loited for nurses to compensate the obstacles giving terminal care, moreover,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is needed to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end of life care to the family. Furthermore, psychological counseling should be offered to nurses to prevent burnout and reduce moral distress which correlates in turnover r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