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여성암 환자의 화학요법 관련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 비교

Title
여성암 환자의 화학요법 관련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n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female cancer patients
Authors
이다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화학요법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의 인식을 각각 조사하고 비교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7년 6월 2일부터 2017년 12월 22일까지 서울시의 A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70명의 간호사와 입원 중인 여성암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Myers 와 Teel(2008)이 개발한 간호사 대상 인지기능 저하 관련 지식측정 도구를 번역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전에 간호사, 환자 대상 설문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검증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들어본 경험(p=.025)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간호사는 56명(80.0%)으로 환자 43명(61.4%)보다 많았다. 2. 인지기능 저하 관련 전문적 문헌을 읽어본 경험(p=.001), 인지기능 저하 관련 비전문적 문헌을 읽어본 경험(p=.012)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 관련 전문적 문헌을 읽어 본 적이 있는 간호사는 10명(14.3%)이었으나 환자는 0명(0.0%)이었으며, 인지기능 저하 관련 비전문적 문헌을 읽어 본적이 있는 간호사는 15명(21.4%)이었지만 환자는 4명(5.7%)으로 전문적, 비전문적 문헌을 읽어본 비율 모두 간호사가 더 높았다. 3.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p=.016)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65명(92.9%), 환자는 54명(77.1%)으로 간호사가 환자보다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4. 간호사가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평가 하거나 평가 받은 적이 있는지의 여부(p=.021)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는 4명(5.7%)만이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평가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환자는 13명(18.8%)이 간호사로부터 평가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간호사가 평가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낮았다. 5.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인식(p=.005)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두 집단 모두 기억력 저하라고 응답하였으나 간호사는 53명(86.9%), 환자는 35명(66.0%)으로 간호사가 환자보다 기억력 저하라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6.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개인적인 중재로 가장 필요한 방법(p〈.001),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p=.023)에서 간호사와 여성암 환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개인적인 중재로 가장 필요한 방법에 대해 간호사는 명상(스트레스 관리)이 43명(63.2%)으로 가장 많았고, 환자는 운동이 28명(54.9%)으로 가장 많아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는 간호사가 35명(50.7%), 환자는 35명(53.8%)으로 두 집단 모두 교육(개별 또는 집단)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사 및 여성암 환자가 임상 현장에서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된 교육을 거의 제공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 대상으로는 전문적인 지식의 제공이 필요하며 인기지능 저하의 중요성, 평가 방법, 관련 문헌에 대한 접근 방법 및 인지기능 저하를 경험하는 암환자의 비율, 관련이 높은 화학요법의 종류, 발생 시기, 효과적인 중재 방법에 대한 정보들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암 환자 대상으로는 기초적인 정보 제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인지기능 저하가 주로 발생하는 영역, 효과적인 중재 방법에 대한 정보도 교육 내용에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중재 시 간호사 및 여성암 환자의 인식을 고려하여 명상(스트레스 관리)과 운동을 포함한 중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임상 현장에서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화학요법을 받은 여성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간호사 및 여성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자료의 마련 및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화학요법을 받은 여성암 환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perceptions of nurses and patients on cognitive impairment secondarily caused by chemotherapy in female cancer patients respectivel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70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70 cancer patients from June 2, 2017 to December 22, 2017. The instrument developed by Myers and Teel (2008) for the nursing knowledge measurement in cognitive impairment was adopted after the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Prior to the data collectio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for nurses and patients were examined, and verified instrument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Fisher's exact test and cross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20.0 program. 1. In terms of experience of hearing about cognitive impairment(p = .02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The number of nurses who had heard about cognitive impairment was 56(80.0%), which wa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43patients(61.4%). 2. In terms of experience of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 on cognitive impairment(p = .001) and reading non-professional literature on cognitive impairment(p = .01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While 10 nurses (14.3%) had read the professional literature on cognitive impairment, none of the patients (0.0%) had the experience. In addition, 15 nurses (21.4%) had read the non-professional literature on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4 patients (5.7%) had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nurses were more likely to read both of the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literature on cognitive impairment. 3. In terms of the perception on stress due to cognitive impairment (p=.01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65 nurses (92.9%) and 54 patients (77.1%) responded that the stress due to cognitive impairment was serious. In other words, the nurs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the stress due to cognitive impairment was more serious than patients. 4. In terms of evaluating cognitive impairment or being evaluated as cognitive impairment by the nurses (p=.02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Only 4 nurses (5.7%) answered that they had evaluated cognitive impairment. on contrary, 13 patients (18.8%) reported that they had received the evaluation from nurses. It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that nurses thought they have evaluated was lower. 5. In terms of the perception on the most frequent symptom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The most common symptom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was answered as memory loss in both groups. Of these, 53 (86.9%) were nurses and 35 (66.0%) were patients. The percentage of nurses who mentioned memory loss was higher than the patients. 6. In terms of the most necessary method for individual intervention for cognitive impairment (p〈.001) and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 impairment (p=.02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Most of the nurses (43 nurses, 63.2%) responded that ‘meditation (stress management)’ was the most necessary method for the individual intervention for cognitive impairment while most of the patients (28 patients, 54.9%) answered ‘exercise’, which demonstr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the most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 impairment, the two groups of 35 nurses (50.7%) and 35 patients (53.8%) both answered ‘education’ (individual or group).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e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were rarely provided with education related to the cognitive impairment in a clinical setting. Offering professional knowledge targeting the nurses is required,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can include the importance of perceiving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method, approach to related literature, percentage of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 cognitive impairment, types of relevant chemotherapy, timing of occurrence, and information o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female cancer patients, basic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bove all; information on the domains in which cognitive impairment mainly occurs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can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raining for intervention methods, such as meditation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in the clinica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tion of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By serving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nurses and female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hemotherapy with cognitive impair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health promotion of female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