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응급실을 처음 내원한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Title
응급실을 처음 내원한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Correlation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f the Stroke-Patient Family Caregiver who First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을 처음으로 내원 한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을 처음으로 내원한 뇌졸중 환자의 보호자 133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 도구는 불확실성을 측정하기 위해 Mishel (1997)이 개발한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Family Member (PPUS-FM)를 오인옥(2012)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도구를 이지예와 김혜숙(201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파워먼트는 Rogers 등(1997)이 개발한 Empowerment scale을 이장범(2012)이 한글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78명(58.6%)이었고, 연령은 20-30대가 35.3%이었고,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61.7%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가 76.7%로 나타났다. 대상자 외에 다른 가족이 간호를 도와주는 경우는 81.2%로 나타났고, 환자와의 관계는 자녀가 58.6%로 가장 많았으며, 동거여부에서 39.8%가 뇌졸중 환자와 동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불확실성의 점수는 155점 만점 중 평균 98.71±12.08점으로 보통정도 수준의 불확실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점수는 60점 만점 중 평균 48.12±6.63점으로 보통정도 수준이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가족지지는 평균 평점 5점 중 4.22±0.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의료인 지지는 4.07±0.61점, 친구지지는 3.74±0.84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임파워먼트 점수는 100점 만점 중 평균 71.96±6.26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는 5개의 하위영역 중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이 평균 평점 4점 중 3.14±0.3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이 2.97±0.43점, 자기존중-자기효능감이 2.96±0.36점, 힘-무기력이 2.64±0.38점, 정당한 분노가 2.18±0.6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t=2.713, p=.008).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교육수준(F=11.145, p<.001)과 직업유무(t=2.124, p=.036), 환자와의 동거유무(t=-2.490, p=.014)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육수준이 중학교 졸업 이하보다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교 졸업 이상이,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직업이 없는 대상자보다, 환자와 살고 있지 않은 대상자가 환자와 함께 살고 있는 대상자 보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교육수준(F=3.739, p=.026)과 직업유무(t=2.222, p=.028), 환자와의 동거유무(t=-3.033, p=.003)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육수준이 대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가 고등학교와 중학교 졸업인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환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임파워먼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 중 자기존중-자기효능 점수는 교육수준(F=3.383, p=.037), 환자와의 동거유무(t=-2.611,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힘-무기력은 연령(F=3.159, p=.02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은 직업유무(t=2.681,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은 환자와의 동거유무(t=-2.693, p=.00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6. 연구대상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불확실성은 임파워먼트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r=.525, p<.001)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의료인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 중 자기존중-자기효능(r=.454, p<.001), 힘-무기력(r=.304, p<.001),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r=.340, p<.001),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r=.386, p<.001)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가족지지와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인 자기존중-자기효능(r=.341, p<.001), 힘-무기력(r=.268, p=.002),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r=.294, p=.001),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r=.346, p<.001)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친구지지는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 중 자기존중-자기효능(r=.340, p<.001),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r=.301, p=.157),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r=.216, p=.013)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응급실을 처음으로 내원한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 보호자들이 갖고 있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간호사가 뇌졸중 환자의 예후 및 응급실에서 진행되는 검사와 처치 절차에 대해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면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subjective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f the family caregiver of a stroke patient who first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33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who first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A. This study used a scale by Oh In-ok (2012) using the uncertainty section of the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Family Member developed by Mishel.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Zimet et al. and translated by Kim. The empowerment section of that scale was translated by Lee, providing a 28-item scale developed by Rogers et 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78 (58.6%) women, and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20–30 years (35.3%).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was higher than a college degree (61.7%) and 76.7% had an occupation. Of the respondents, 81.2% had other family members to help provide care, 58.6% of those in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were children, and 39.8% of caregivers were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2. The scores of uncertainty for study participants were 98.71 ± 12.08 points of 155 points and social support scores were 48.12 ± 6.63 points of 60 points. The support of medical personnel among the subscales of social support was 4.07 ± 0.61, family support was 4.22 ± 0.72 points, and friend support was 3.74 ± 0.84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empowerment was 71.96 ± 6.26 of 100 points. For empowerment, among the 5 subscales,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scored 3.14 ± 0.32 points for the highest score. Optimism and control over the future scored 2.97 ± 0.43 poi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d 2.96 ± 0.36 points, the power–powerless scale score was 2.64 ± 0.38 points, and the righteous anger scale score was 2.18 ± 0.66 points. 3.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or gender, participants showed an uncertainty difference (t= 2.713, p= .008), with men at 102.02 ± 12.55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scores for women. 4. A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in the education level of those providing social suppor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 11.145, p< .001), the existence of an occupation (t= 2.124, p= .036), and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t= -2.490, p= .014), indicating a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5. A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in the education level of those providing empowermen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 3.379, p= .026), the existence of an occupation (t= 2.222, p= .028), and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t= -3.033, p= .003), indicating a correlation with empowerment. A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in the education level of those providing empowerment subscal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F= 3.383, p= .037), and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t= -2.611, p= .010).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 3.383, p= .037), and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t= -2.611, p=. 010), the power–powerl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 3.159, p= .027).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existence of an occupation (t= 2.681, p= .008),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emerged for living with the stroke patient and optimism and control over the future (t= -2.693, p= .008). 6. Correlation emerged on the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r= .525, p< .001). 7. Correlation arose on the social support subscale of medical-professional support and the subscale of empowerment i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r= .454, p< .001), power–powerless (r= .304, p< .001),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r= .340, p< .001), optimism and control over the future (r= .386, p< .001). Correlation emerged on the empowerment subscales of family support and empowermen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r= .341, p< .001), power–powerless (r= .268, p= .002),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r= .294, p= .001), and optimism and control over the future (r= .346, p< .001). Correlation arose for the empowerment subscale for friend support and the subscale for empowermen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r= .340, p< .001),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r= .301, p= .157), optimism and control over the future (r= .216, p= .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empowerment of the family caregiver of a stroke patient who first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status, and living with the patient affected a patient’s social support. Therefore, healthcare personnel should provide an empowerment program based on social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of a patient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men have high uncertain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education to lower uncertainty by involving the participant in their nursing plan, considering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f medical professionals provide a systematic empowerment program,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stroke patient will gain positive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