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문말 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산출 연구

Title
문말 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산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wareness and generation of Korean language leaners on attitude of speaker in terms of boundary tone.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억양의 감정 및 태도 전달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화자의 감정 및 태도에 따른 문말 억양의 인식과 산출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Ⅱ장에서 한국어 억양의 이론적 배경과 한국어 억양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한국어 억양의 이론적 배경은 이호영(1996, 1997)의 이론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기술하고 Ⅳ장에서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 결론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한국어 학습자 집단이 문말 억양에 따른 화자의 감정 및 태도를 인식하는 데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 1을 위하여 연구 도구를 개발하여 인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감정 및 태도는 ‘사무적인, 적대적인’, ‘다정한, 친밀한’, ‘짜증난’, ‘놀란, 의심스런’이며, 연구 대상이 되는 문장 유형은 평서문, 의문사 의문문, 예-아니오 의문문, 되물음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이다. 두 집단간의 점수 차이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한국어 학습자 집단이 화자의 감정 및 태도에 따른 문말 억양을 실현하는 데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 2를 위하여 특정 감정 및 태도가 표출되도록 상황을 구성한 연구 도구를 개발하여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감정 및 태도는 ‘사무적인, 적대적인’, ‘다정한, 친밀한’, ‘짜증난’, ‘놀란, 의심스런’이며, 연구 대상이 되는 문장 유형은 평서문, 의문사 의문문, 예-아니오 의문문, 되물음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이다. 산출된 자료는 모두 녹음하여 Praat으로 억양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말 구사자인 한국어 모어 화자 여성 20명과 TOPIK 4, 5, 6급을 보유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평균 한국어 학습 기간은 3년 2개월, 평균 한국 거주 기간은 1년 4개월로 분절음에 익숙하고 한국어에 많이 노출되었으므로 한국어 억양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식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정답율이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87.6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58.30%로 두 집단의 전체 정답율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감정 및 태도 정답률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정답률은 ‘사무적인, 적대적인’ > ‘놀란, 의심스런’ > ‘다정한, 친밀한’ > ‘짜증난’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장 유형별 감정 및 태도의 정답률은 모든 문항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차이를 보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정답률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정답률보다 낮았으며, 정답률이 절반 수준이거나 그에 미치지도 못하는 경우도 매우 많았다. 산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다양한 문말 억양을 산출하지 않았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주로 낮은 수평조, 가운데 수평조, 높은 수평조를 많이 산출하였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굴곡이 있는 문말 억양을 선호하지 않았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산출은 문장 유형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정 감정 및 태도와 상관없이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은 주로 낮은 수평조로 실현되었으며, 의문사 의문문, 예-아니오 의문문, 되물음 의문문은 주로 높은 수평조로 실현되었다. 인식 실험 결과와 산출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중급 이상의 한국어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문말 억양에 대한 인식과 산출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demonstrated the awareness and generation of boundary tone depending on emotion and attitud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ners focused on that intonation have the function of the delivery of emotion and attitude.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below.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need of research was proposed, and the second chapter reviewed the literatures in term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korean intonation, which the theory that Ho-young Lee(1996, 1997) suggested was applied to.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and literature reviews Research question 1 and 2 were determined. In the third chapter the methods were illustrated in details, the findings of results were yielded in the fourth chapter. The conclusion of research was suggested in the fifth chapter. Research question 1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ners recognizing the emotion and attitude according to boundary tone. The instrument of research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xperiment on awarness for research question 1. The emotion and attitude who were used in the research were `businesslike, hostile', `kind, close',`cross', and `surprised, doubtful' and the types of sentence and attitude who were used in the research were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asking-back interrogative sentence, imperative sentence, and suggesting sentence. Research question 2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ners realizing the boundary tone according to emotion and attitude. For research question 2, the instrument of research that designated the situation the where specific emotion and attitude can be expresse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xperiment of generation. The emotion and attitude who were used in the research were `businesslike, hostile', `kind, close',`cross', and `surprised, doubtful' and the types of sentence and attitude who were used in the research were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asking-back interrogative sentence, imperative sentence, and suggesting sentence. The data that were generated were recorded, and on the data the pattern of intonation was analyzed with Praat. The subjects in the study consisted of twenty women of Korean native speakers used standard (seoul) language and Chinese Korean leaners who had the level 4, 5, and 6 of TOPIK. The average period of learning korean of Chinese Korean leaners was 3 years and 2 months, and the averag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was 1 year and 4 months. It was expected that they had the better understandings of the intonation of korean because they experienced a segmental sounds and were exposed to korean very often. The findings of results of awareness experiement showed as below. First, in Korean native speakers total correct rate was 87.65%, whereas in Chinese Korean leaners was 58.30%, an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identified. Second, in Korean native speakers correct rates of emotion and attitude were suggested in order of `businesslike, hostile'> `surprised, doubtful' >`kind, close'>`cross'. Third,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ners on correct rate of emotion and attitude depending on the type of sentence in all items. The correct rate of emotion of Chinese Korean leaners has lower level than Korean native speakers, especially, indicated either the half level of Korean native speakers or less than the half level very frequently. The findings of results of generation experiement showed as below. First, Chinese Korean leaners did not generate the various and diverse boundary tones. Chinese Korean leaners primarily generated a lot of Low Level, Mid Level, and High Level. Second, Chinese Korean leaners did not favor the inflective boundary tones. The generation of Chinese Korean leaners was particularly affected by types of sentence. Irrespective of specific emotion and attitude, the declarative sentence,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suggesting sentence were realized as Low Level, whereas the interrogative sentence, the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and the asking-back interrogative sentence were realized as High Level. Cnclusively, the findings of both experiments of awareness and generation proposed that although Chinese Korean leaners had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they were very different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erms of the pattern of awareness and generation of boundary t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