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Title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Adnominal case marker ‘ui’ of Thai learners
Authors
Yasotarin, Prawpor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using of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by Thai learners. Korean study in Thailand aims to proceed the ability of students in understanding and proficient using. To reach that point, it is important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which come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by using the teaching methodology and describing in terms of morphological, syntaxical and semantical, and along with correspondent Thai expressions in class.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is usually being taught in a beginner level, but due to the complication of ‘ui’ even the intermediate or advance level students still proceed the error using it. This study will see how Thai students understand and use the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and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of using between Thai learners and Korean. Chapter I composed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xamination of the related advance researches. The advance studies related to this topic included Korean case marker acquisition studies, Korean case marker error using analysis, and Korean case marker education studies. The research problems is stated after the advance researches is reviewed. In chapter II, the theoritical background of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is described in both morphological and syntaxical, and semantical relations. Then, the proper usage of ‘ui’ for foreign students is arranged. Chapter III demonstrates the method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irty-three of Thai learners and twenty-seven of Korean. After testing of Thai learners’ Korean proficiency, grammatical judgement test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 wa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4. The grammatical judgement test is included of two parts, voluntary occurrence condition and obligatory and non-occurrence condition. For voluntary occurrence context, the frequency of the using of ‘ui’ is analyzed by Crosstabulation(Chi-Square Tests). For obligatory and non-occurrence context, Thai learners and Korean’s mean score is compared using T-Test.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reported. The using of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of Thai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voluntary occurrence condition is that they chose it is able to either use ‘ui’ or not use it, but the percentage of the respons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urthermore, through the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ai learners is tend to use ‘ui’ more than Korean native speakers. In obligatory and non-occurrence condition, The result is that Thai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 ‘ui’ different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t. These results come ou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dvance studies, so it is verified that learner’s mother language plays some roles in the acquisition, and also the deficiency in target language are the causes. Lastly, in chapter V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is stated, and also the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as well. This study tried to arrange the suitable usage of ‘ui’ for foreign learners and sort out the using of ‘ui’ in spoken language. This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which is still lack of information and data,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erials that will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rovided information.;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형격조사 ‘의’를 사용하는 실태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태국에서의 한국어 조사 교육은 학습자가 학습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목표로 하여 언어 간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형태⋅통사적 설명과 의미, 그리고 대응 표현을 함께 설명해 주는 교수 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관형격조사 ‘의’와 같은 문법 항목은 초급 단계에서 학습했음에도 불구하고 관형격조사 ‘의’의 복잡한 용법과 불충분한 학습 내용으로 인해 중급이나 고급 학습자 집단까지도 사용 오류 현상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들이 관형격조사 ‘의’에 대한 이해와 사용을 살펴보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사용 실태가 동일한가를 밝히고자 하고 그 원인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어 있으며 한국어 관형격조사 ‘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관형격조사 ‘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게 조사 습득 연구, 조사 사용 오류 분석 연구와 조사 교육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 후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관형격조사 ‘의’에 대한 형태⋅통사적과 의미 관계에 따른 용법을 살펴보고 관형격조사 ‘의’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용법을 정리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3명의 태국인 학습자와 27명의 한국어 모어 화자이다. 한국어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고 선다형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수의적으로 실현되는 ‘의’의 문항 부분과 필수적으로 실현되는 ‘의’와 필수적으로 비실현되는 ‘의’의 문항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관형격조사 ‘의’가 수의적으로 실현되는 경우의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사용 빈도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카이제곱)을 실시하였으며 관형격조사 ‘의’가 필수적으로 실현되는 경우와 필수적으로 비실현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보도하였다. 한국어 관형격조사 ‘의’가 수의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태국인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이 ‘의’를 사용해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고 동일하게 제일 많이 답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율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의 반응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태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관형격조사 ‘의’를 사용하는 추세가 더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관형격조사 ‘의’가 필수적으로 실현되는 경우와 필수적으로 비실현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태국인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사용 실태가 동일하지 않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한 방향이라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그 원인은 모국어로 인한 영향이 있다는 점과 한국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Ⅴ 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결과를 다시 정리하여 요약하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관형격조사 ‘의’의 복잡한 용법과 조건을 외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적합하게 시도해보았고 구어에서의 사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는 의도로 연구하였다. 기존에 있는 자료가 아직 미비한 상태인 관형격조사 ‘의’에 대해서 한국어교육 현장과 교재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된다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