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김현수-
dc.creator김현수-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32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3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6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014-
dc.description.abstractSystematization of a guidance have been raised about urgent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dropout, and adolescent. Reflecting those need, there have been attempted to emphasize on the need of guidance in academic level, to stress on guidance for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in policy level. Furthermore, in practical level, many teachers ask support to solve difficulties from running guidance program in the school. Specifically, in Korea, guidance of theoretical level is directly adopted from the American concept of that which based on counseling model, and this unusual point intensify occurrence of gap between theoretical concept of guidance and practical one in Korea. The American concept of guidance is introduced into Korea since 1945 as Child-centered education is introduced. And the concept of guidance became the alternative to oppressive discipline focused Korean education. As time goes on, through the attempts to systematize school counselor’s role, a concept of guidance had been settled as professional area called school counseling. Despite changes in a concept of guidance in America, a concept of guidance used in Korea has not been changed. For this reason, guidance in Korea has two meanings: ‘professional area of school counselor’ and ‘every educational activity except for teaching subjects’ in everyday concept.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extbook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still adopted intactly the concept of guidance that had been used in America. Therefore, for an effective guidance, practical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needed to be systematized. Through applying systematized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in Korean school to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embarrassment and difficulties of teacher could be mitigated. Also, key concept of guidance that deduced by the semantic analy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flect a practical requirement in school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that perceived by teachers who perform guidance in school and systematize it and to identify the key concept of guidance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at classified by teaching career us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irst, concept mapping methodology has the merit of reflecting stakeholders’ ideas. Specifically, this methodology is appropriate for exploring the area where theoretical system is not well established. Therefor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is used to systematize practical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in Korea in this study. Second,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useful for identifying properties of keywords and relations between keywords by understanding structure of language.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used before had weakness that it omits data that is not related to the focus of concept and it has no statistical method to analysis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groups.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concept mapping methodology,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study with concept mapping methodology,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are systematized.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was accomplished by following stages: 1)developing focus question and conducting pilot test, 2)generating ideas, 3)synthesizing and editing statements, 4)sorting statements by similarity and rating, 5)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focus question that developed in initial stage was confirmed by pilot test with 4 middle school teachers. Then, interview with 13 middle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by focus question. Synthesizing and editing idea statements was accomplished by 2 experts, and 35 statements for contents of guidance and 63 statements for activities of guidance were confirmed for the pilot test as next step with an expert. 21 middle school teachers sorted statements into piles based on similarities of statements and rat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statements. The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wo dimensions on guidance contents, ‘school rule and behavioral norm versus personal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ttitude’ and ‘social development versus personal development’.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ed 7 clusters; 1)school rule compliance, 2)social normative behavior, 3)physical, relational and verbal abuse, 4)interpersonal relationship, 5)psychology and behavior for adjustment, 6)personal competence and attitude, 7)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learning attitude. On the guidance activities, two dimensions are also reveal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internal resource of teacher versus external resource of teacher’ and ‘indirect method versus direct metho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ed 6 clusters; 1)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communication, 2)indirect intervention, 3)direct intervention, 4)connecting with parents and support system, 5)cooperating with teachers in school, 6)using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concept of guidance that teachers perceived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at classified by teaching career was revealed. First, the interview data was used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the form of paragraphs divided by each topic. For conducting analysis,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nd 56 keywords appeared more than 8 times were selected. A co-occurrence matrix was made based on 56 keywords that selected depending on frequency. Keyword of guidance were identified based on words show high centrality. Keywords were as follow: student, teacher, class teacher and parents regarded as main agent; problem, conflict, male student, female student, family linked to contents; concern, talk, conversation, counseling, constantly, understanding related to activities. Also, keywords such as difficulty and worry that were omitted in concept mapping methodology were included. Next, for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at classified by teaching career, each matrix was made for two group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QAP correlation analysis, the two matrix show statistically low correlation. For exploring keywords that make correlation of two matrix and that make difference, centrality―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of high ranking keyword were compared. Keywords that are common between two groups show a change of concept of guidance from the oppressive and discipline-centered one and perceptions that class teacher have accountability in guidance, and guidance is difficult for all groups. Whereas different keywords between two groups show that teacher career effects connection with school counselor, and a group with less than 10 year career more focus on making relationship with student friendly and feel more difficult with guidance than a group with more than 10 year career.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practical concept and method that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were systematized. Second, the necessity of balance that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contents about ‘school rule and behavioral norm’ in ‘school counseling and guidance’ subject that is one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was suggested. Third,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suggested. Forth, necessity of including contents about the attitude and competence of teacher was suggested. Fifth, practical information of contents and activities of guidance was showed. Sixth, necessity of connecting external resources of teachers was suggested. Three implications that deduced by this study were 1)pre-service teacher education, 2)in-service teacher training, 3)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Apply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o education for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could provide a chance to deliberate on practical contents and activities required in the field. Also, various supports for network between teacher and community could be useful for an effective guidance.;학교폭력, 학업중단, 청소년 자살 등이 시급한 교육문제로 부각되면서, 생활지도의 체계화에 대한 요구가 더욱 분명해졌다. 이에 따라, 학문적 차원에서 생활지도의 필요를 강조하고, 정책적 차원에서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생활지도를 강조하는 노력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교사들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이론적으로 다루는 생활지도는 상담 모형에 기반하는 미국의 가이던스(guidance)를 그대로 들여와 그 영역과 활동을 준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한국 학교 현장에서 수행하는 생활지도와 이론상의 가이던스(guidance)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미국에서 들여온 가이던스(guidance)는 1945년 이후 미국의 아동중심 교육사상의 보급과 함께 한국에 유입되어, 강압적인 훈육 중심이었던 한국 교육의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에서는 학교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체계화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여, 기존의 가이던스(guidance)는 학교상담(school counseling)이라는 전문영역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미국에서 사용하는 가이던스(guidance) 개념이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유입된 가이던스(guidance) 개념은 현재 ‘상담자의 전문적인 영역이나 활동’뿐만 아니라 ‘교과지도 이외의 모든 교육활동’을 포괄하는 일상적인 개념으로도 혼용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예비교사 교육에 사용되는 생활지도 교재 역시 이 가이던스(guidance) 개념을 그대로 차용하게 되면서, 여전히 학교 현장과는 동떨어진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위해서, 먼저 현장에서 요구되는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현실에 기반하여 체계화한, 실제적인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예비교사 교육에 활용한다면, 생활지도의 실제에서 겪는 초임교사의 당혹감이나 어려움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생활지도의 핵심 개념 파악 및 시사점 적용을 통해, 학교 현장의 실제적인 필요를 반영하는 예비교사 교육 및 현직교사 연수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생활지도 개념을 분석하여 체계화하고, 이 생활지도에서의 핵심 개념이 무엇이며, 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념도 방법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두 가지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개념도 방법은 이해 당사자의 관점을 최대한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연구방법으로, 특별히 이론의 체계가 충분하지 않은 분야를 탐색하는 데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도 개념에 대한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한국의 ‘실제적인’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체계화하는 데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언어의 구조 파악을 통해, 단어의 속성과 단어들 간의 의미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속성들을 파악하기에 유용한 방법이다. 첫 번째 분석방법인 개념도 방법은 초점 주제와 관련이 있는 내용만 선별적으로 사용하여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 중 누락되는 내용이 있을 뿐 아니라, 집단 간 인식의 차이와 같은 비교분석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 한계를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체 면담 자료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교직 경력 10년을 기준으로 구분한 두 집단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교사가 인식하는 생활지도의 핵심 개념을 파악하고, 경력에 따라 핵심 개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첫째, 개념도 방법을 통해 교사가 인식하는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체계화하였다. 개념도 방법은 1)초점질문 개발 및 예비조사, 2)면담, 3)아이디어 진술문 종합 및 편집, 4)유사성 분류 및 문항평정, 5)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 실시의 절차를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 1인과 교육상담심리 전공 교수 1인이 참여하여 개발한 “교사로서 생활지도를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라는 초점질문은 중학교 교사 4명과의 예비조사를 통해 확정하였다. 이후, 초점질문을 가지고, 중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생성한 아이디어의 종합 및 편집에 본 연구자 1인과 교육상담심리 전공 교수 1인이 참여하였고, 관련 전문가의 진술문 검토 및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사항을 반영하고, 최종적으로 내용 영역 진술문 35개와 방법 영역 진술문 63개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아이디어 진술문의 유사성 분류와 문항평정에는 중학교 교사 21명이 참여하였다. 유사성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지도 내용영역에서는 ‘학교규칙 및 행동규범-심리적응 및 태도’와 ‘사회적 발달-개인발달’의 두 차원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술문의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생활지도 내용은 크게 1)학교규칙 준수, 2)사회 규범 행동, 3)신체, 관계 및 언어폭력, 4)대인 관계, 5)적응 심리 및 행동, 6)개인 역량 및 태도, 7)교사-학생 관계 및 학습태도의 일곱 가지 내용으로 분류되었다. 생활지도 방법 영역 역시,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교사의 내적 자원 활용 방법-교사의 외부 자원 활용 방법’과 ‘비지시적 방법-지시적 방법’의 두 차원을 확인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생활지도 방법은 크게 1)학생 이해 및 소통, 2)간접적 개입, 3)직접적 개입, 4)학부모 및 교내외 지지체제와 연계, 5)교내 교사와 협력, 6)교사 학습 기회 활용의 여섯 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1)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생활지도의 핵심 개념을 파악하고, 2)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는 개념도 방법에서 아이디어 진술문을 종합하고 편집하는 데 사용했던, 면담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때, 면담자료는 주제 단위 문단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면담자료에 언급된 전체 단어 중 출현 빈도가 8 이상인 핵심어를 선정하여, 이 단어들의 주제 단위 문단 내 동시출현 빈도를 바탕으로 행렬을 작성하였다. 전체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중심성 상위 20개 주제어에는, 주체에 해당하는 학생, 교사, 담임교사, 학부모가, 생활지도 내용에 해당하는 문제, 갈등, 남학생, 여학생, 잘못, 가정 등이, 생활지도 방법에 해당하는 관심, 이야기, 대화, 상담, 지속적, 인정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에 포함되지 않아 개념도 방법에서 제외되었던 어려움이나 고민과 같은 주제어도 함께 포함되었다. 다음으로, 경력에 따라 이 핵심 개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면담 자료를 교직 경력 10년 이상인 집단과 교직경력 10년 미만인 교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동일한 절차로, 각 집단의 행렬을 작성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QAP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의 행렬이 통계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두 집단의 행렬에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는 주제어뿐만 아니라, 각 집단의 차이를 가져오는 차별적 주제어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이 두 집단의 공통적 주제어와 차별적 주제어 파악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에서 산출한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상위 20개 주제어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의 공통적인 주제어를 통해, 교직 경력에 상관없이 두 집단은 모두, 생활지도 개념 인식에 과거의 훈육 중심의 강압적 생활지도로부터 변화가 있었고, 기본적으로 생활지도의 책무를 담임교사에게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생활지도는 경력에 관계없이 어렵고 힘든, 또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두 집단의 차별적 주제어를 통해, 경력에 따라 전문상담교사와의 연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직 경력이 낮을수록 학생과의 친밀한 관계에 초점을 두며 상대적으로 생활지도를 더 힘든 영역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 여섯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제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파악하고 체계화하였다. 둘째, ‘상담과 생활지도’ 교직이론과목 구성에 기존의 가이던스(guidance)에서 다루는 내용과 함께 ‘학교규칙 및 행동규범’ 지도 내용을 포함하는, 균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부모와의 협력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넷째, 상담과 생활지도 교과 내용에 교사의 태도와 역량을 강화시키는 내용을 포함할 필요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구체적인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을 정리한 진술문을 통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생활지도에서 교사 외적 자원과의 연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크게 1)예비교사 교육, 2)현직교사 연수, 3)인프라 구축의 세 가지이다. 연구 결과를 예비교사 교육 및 현직 교사 연수에 활용한다면,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외 전문 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다양한 지원은 효과적인 생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한국 학교의 생활지도 7 1. 생활지도의 개념 7 2. 생활지도의 영역 및 방법 14 3. 학교 생활지도의 주요 현안 23 B. 학교 생활지도의 해외 사례 32 1. 종합적 가이던스와 전학교 접근 33 2. 미국과 홍콩의 사례 38 Ⅲ. 연구방법 45 A. 개념도 분석 45 1. 개념도 방법 45 2. 연구참여자 46 3. 연구절차 50 B. 언어 네트워크 분석 64 1.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 64 2. 분석자료 65 3. 연구절차 65 Ⅳ. 연구결과 72 A.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 72 1. 생활지도 내용 72 2. 생활지도 방법 86 B. 생활지도의 핵심 개념 및 경력에 따른 차이 103 1. 생활지도의 핵심 개념 103 2. 경력에 따른 생활지도 핵심 개념의 차이 115 Ⅴ. 논의 및 결론 131 A. 요약 및 논의 131 1. 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 내용과 방법 132 2. 교사가 인식한 생활지도 핵심 개념 및 경력에 따른 차이 143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151 참고문헌 155 부 록 167 부록 1. 연구 참여 및 정보사용 동의서 167 부록 2. 연구 참여자 인적사항 조사지 169 부록 3. 유사성 분류 및 문항평정 조사지 170 부록 4. 전체 언어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202 ABSTRACT 2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07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개념도 및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tents and Activities of Effective Guidance Using Concept Mapp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dc.creator.othernameKim, Hyeon-Su-
dc.format.pagex, 208 p.-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김경년-
dc.contributor.examiner허은정-
dc.contributor.examiner이지은-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