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요청화행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요청화행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the Korean Textbooks by the way of Analysing the Tendency of Request Speech Act among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Korea and China
Authors
LIU, QIA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iscrepancy in a speech act of request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in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pragmatics, and places its aim on discovering the cultural factor that leads to this discrepancy. With the growing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students to communicate competently in Korean is also becoming more critical. Because a speech act of request frequently occurs in daily lives and this kind of speech act may damage one’s pride, the speech act is difficult to practice for Chinese speakers whose cultural background differs from Korean speakers. Therefore, to help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to request appropriately in a given circumstance, a study was conducted among three groups: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native speakers of the Chinese language, and Korean-language learners from China. To improve the competence in the request speech act of the learners, this study restructured the dialogues. As a survey method, Discourse Completion Test, which is frequently used in speech act studies,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current education on request speech acts, dialogues in five Korean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thre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Yonsei University (2014), and Ehwa University (2011), as well as two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such as Standard Korean (2016), and New Standard Korean (2016). For analys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the surveyed data based on groups, circumstances, and variables. In looking at the tendency of request speech act of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circumstances, it was closer to the native Korean speaker group. In looking according to variables, however, the tendency was closer to that of the native Chinese speaker group. In the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ragmatic failure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and the pragmatic failure in social expression is due to values and their ways of thinking. Next,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five Korean textbooks that are used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xtbook did not present a variety of speaker-listener relationships, and that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respective request strategies in the textbook and the real-life usage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The circumstances of request have usually been set with no burden of compliance to the request. Moreover, there was no additional section that compares and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ith respect to this result, the present study reconstructed the dialogues to improve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competence in the request speech act. In reconstructing the dialogues,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ontent should be interesting and draw the learner’s attention; the 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Korean/Chinese should be compared and explained; and the dialogues should match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llows on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a speech act of request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language convention, the ways of thinking, and the way of expres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dicting the tendency of pragmatic failure,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of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and restructuring the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본 연구는 비교 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 사용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차이를 일으키는 문화적 원인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매년 늘어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비롯한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요청화행은 일상 속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청자의 체면을 위협할 수 있는 언어 행위로 한국과 문화가 다른 중국인 화자에게는 실행하기 어려운 화행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게 요청화행을 할 수 있도록 요청화행 교육의 방향과 교재의 내용 구성방안을 설정하기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실제 요청화행의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의 대화문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담화 완성 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로 화행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와 더불어 현재 요청화행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내의『서울대 한국어』(2015),『연세 한국어』(2014),『이화한국어』(2011), 중국 내의『표준 한국어』(2016),『새 표준 한국어』(2016)의 총 다섯 가지 한국어 교재에 실린 대화문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의 결과는 집단별, 상황별, 변인별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중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요청화행 사용 양상은 상황별로 살펴보았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더 가까운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이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더 가까운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학습자 집단의 실패 양상은 모국어 영향을 받아 발생한 화용언어적 실패와 가치관, 사고방식으로 인한 사회화용적 실패 등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교재 분석의 단계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되는 5종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화/청자 간의 상호관계가 다양하게 제시되지 않으며 각 요청 전략이 나타난 빈도가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실제 사용하는 양상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에 설정된 요청 상황은 대부분 요청 부담 정도가 없는 상황이었으며 교재 내 대화문에서 한·중 언어상의 차이에 대해 추가 비교하거나 설명하는 부분이 없다는 문제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청 화용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화문을 재구성하였다. 학습자의 흥미, 주의력을 이끌며 한·중 언어상의 차이를 고려하여‘비교—설명’방식으로 한국어 학습 목표에 맞춰 단계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 요청화행에서의 언어 관습, 사고방식, 표현 방식 등 다양한 측면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어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화용적 실패 양상 예측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대화문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