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6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Research of Synonyms of Personality Adjective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DAI, WENJI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한국어 학습자들, 특히 높은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조차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의 수에 비해 각 어휘가 가진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여 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한국어의 형용사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진, 그림 등을 통해서 제시하기 어려우며, 같은 뜻을 가지고 있더라고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다른 어휘들보다 더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어휘 교육이 어휘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총체적 어휘력 신장을 위해 형용사 중 '사람의 성격'을 뜻하는 형용사를 중심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형용사의 유의어 변별과 성격형용사 등 형용사와 관련된 연구와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형용사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향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형용사'의 개념과 '성격'의 의미를 파악하고 '성격형용사'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성격형용사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24개 초급 성격형용사 어휘를 선정하여 의미 분석하고, 여러 절차를 거쳐 24쌍 성격형용사 유의어군을 예비 선정하였다. 또한, 일반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군을 난이도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선정된 24쌍 성격형용사 유의어군, 즉 93개 성격형용사가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주요 대학에서 출판된 교재를 중심으로 성격형용사의 수록 현황과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라 다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의 어휘 등급으로 재등급화 하였다. 이때 재등급화 작업은 연구자의 평정과 전문가의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성격형용사의 재등급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분석으로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와 중국어 한자어와 한국어 한자어 일치 여부,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에서 제시한 중국어 한자어 등급을 참고하여 일반형용사와 구분하여 성격형용사의 등급을 부여하였다. 이후 2차 분석으로 실제 한국어 교사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1차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의 타당성 평가를 요청하였다. 한국어 교사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성격형용사의 등급을 확정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성격형용사에 대한 분석 결과와 재등급화 결과를 반영하여 성격형용사 유의어의 교육 적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어휘의 의미와 사용 맥락을 중심으로 등급에 따라 유의어군에 속한 유의어를 배열한 후 이에 적합한 교육 내용과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때 유의어 간의 의미 차이를 변별할 수 있도록 성격형용사 유의어군은 그림으로 제시하고, 유의어군에 속한 각각의 어휘들의 사용 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의미를 확인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 중심에 따른 한국어 형용사의 유의어를 추출하고 그와 관련된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에 한국어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 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대상 어휘들의 한자어 비중과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의 비교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있어서 더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하리라고 본다. 나아가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유자재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학습자들에게 길러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한편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라는 특정 대상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기에 모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 교육 내용으로 다루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러 나라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주제'에 따른 어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Korean language learners, especially high-level learners, compared to the size of their vocabular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words they know and using them in practice. Korean adjectives are difficult to present through specific objects, pictures, drawings, etc. and are often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meaning. Therefore, it is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use them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is implies that teaching vocabulary with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should proceed to improve the learners’ vocabulary not only in terms of the quantity, but also in the learners’ quality of vocabulary.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synonyms for personality adjective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adjectives pertaining to “a person’s personal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overall vocabulary. First, in chapter 1,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tudies related to adjectives, such as, distinguishing synonyms of adjectives and personality adjectives and also adjective teach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the research is describ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adjectives” and the meaning of “personality” were researched and studies on “personality adjectives” were review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personality adjectives.” Based on this, 24 basic personality adjectiv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advance and after a selection process, 24 groups of personality adjective synonyms were selected, as well. In addition, synonym groups of personality adjectives classified by the level of difficulty is offered for general Kore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In Chapter 3, we investigate how the 24 groups of personality adjective synonyms selected in Chapter 2 (i.e. 93 personality adjectives) are handl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in textbooks published by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results, we reclassified them as the lexical grading of personality adjective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reclassification proces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searcher and experts. The process of re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adjectives is as follows. In order to reclassify personality adjectives,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analysis of the , , and Korean textbooks, the correspond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hinese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presented in the were used in order to present a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adjectives rather than general adjectives. Next, for the second analysis, we asked actual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from the first analysis;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those who are currently teaching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those who have excellent Korean language abilities. Finally, the final classification of the personality adjectives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analysis. In Chapter 5, we show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content of synonyms of personality adjectives by reflecting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re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personality adjectives found in Chapter 3. First, after selecting the education content with consideration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order of the synonyms belonging to synonym group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centering on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and the usage context. Then,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constructed. At this point, in order for the learner to distinguish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synonyms, the personality adjective synonym groups were presented in pictures and a method was implemented where by presenting cases of each vocabulary belonging to the synonym group in use, the learners could confirm the meaning. In summary, this study classifies synonyms of Korean adjectives according to their “theme” to aid with the education of vocabulary with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presents education content of synonyms on personality adjectives by constructing synonym groups of adjectives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difficulty and classification,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ince this study extracts synonyms of Korean adjectives based on their “theme” and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related to them,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struct content and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were considered by placing an importance on Chinese characters and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presenting the education content can be seen as a more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Furthermore, we believe that the ability to use vocabulary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can be improved for learners through such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providing synonyms of personality adjectives for all Korean language learners because it provides education content for the specific group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of various countries. From this study, we hope that the content and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heme”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