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은경-
dc.contributor.author이새은-
dc.creator이새은-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2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2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4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4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994-
dc.description.abstractRecovering a missing tooth with an implan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a missing tooth, but cases of failure are on a steady rise due to certain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in cases of implant placement in recent 5 years, an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factors that may affect such disease development. The study analyze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and factors which may have affected the disease based on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422 patients(853 implant cases)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ental Center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6. Patient related factors included age, gender, existence of a smoking habit, existence of history of periodontitis and compliance to the treatment program, whereas implant related factors included implant position, existence of edentulism, brand of implant, implant diameter, implant length, staging, Guided Bone Regeneration(GBR) treatment, connection type, prosthetic type, length of the follow-up period, existence of an opposite tooth, existence of an adjacent implant and etc.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ized Estimation(GEE)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peri-implantitis and each element, and the cumulativ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as obtained by using the Kaplan Meier Method. 1. The prevalence rate of peri-implantitis at the patient level resulted in 7.3%(31 patients out of a total of 422 patients), and at the implant level 5.5%(47 implants out of a total of 853 implants). 2. Upon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may affect peri-implantitis, the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5), between peri-implantitis and gender, implant position, existence of edentulism, brand of implant, Guided Bone Regeneration(GBR) treatment, connection type, and length of the follow-up perio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was higher in male patients, implants placed in the maxilla, patient with full edentulism, patients who received GBR treatment, patients who used Osstem implants as compared to Straumann implnats, patients who used Branemark implants as compared to Osstem implants, patients who used screw type implnats, and patients with longer implant follow-up period. (2) The result of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5) between peri-implantitis and gender, history of periodontitis, brand of implant(Neobiotech and Osstem), Guided Bone Regeneration(GBR) treatment, existence of an opposite tooth(implant and natural tooth), and length of the follow-up perio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was higher in male patients, patients with a history of periodontitis, patients who used Osstem implnats as compared to Neobiotech implants, patients who had a natural toot as an opposite tooth, and patients with longer implant follow-up period. 3. Upon analysis of the cumulativ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in terms of implant follow-up period, the fist case of peri-implantitis occurred 19 months after the placement of an implant, an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showed a general rise over time without a hint of a critical poin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surely prove to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peri-implantitis in the future.;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것은 예측할 수 있는 결손치의 대안법이지만, 합병증으로 인한 실패 사례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식립된 임플란트 증례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 평가하는 것이다.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본원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수복을 시행한 환자 422명(853개 임플란트)에 대한 의료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평가요소 중 나이, 성별, 흡연 여부, 치주질환 기왕력, 환자의 치료 협조도를 환자 관련 요소로 조사하였고, 임플란트 위치, 무치악 여부, 임플란트 종류, 임플란트 길이 및 직경, 수술 단계,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시행 여부, 연결부 형태, 보철물 유형, 보철물 부하기간, 대합치, 인접 임플란트 존재 여부 등을 임플란트 관련 요소로 조사하였다. 각 요소와 임플란트 주위염의 통계적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회귀분석(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과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GEE)을 사용하였으며(P<0.05), 관찰 기간 중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은 Kaplan Meier Method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 수준에서 7.3% (422명 중 31명), 임플란트 수준에서 5.5% (853개 중 47개)로 나타났다. 2.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1) 단변량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임플란트 위치, 무치악 여부, 임플란트의 종류, GBR 여부, 연결부 형태, 보철물 부하기간이 유의하게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남성, 상악, 무치악, GBR을 시행한 경우, Straumann 임플란트에 비해 Osstem 임플란트, Osstem임플란트에 비해 Branemark 임플란트에서, 연결부 형태가 screw type인 경우, 보철물 부하기간이 긴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화 추정방정식에서는 성별, 치주질환 기왕력 여부, 임플란트의 종류(Neobiotech와 Osstem), GBR 여부, 대합치(임플란트와 자연치), 보철물 부하기간이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남성, 치주질환 기왕력이 있는 경우, Neobiotech임플란트에 비해 Osstem에서, GBR을 시행한 경우, 대합치가 자연치인 경우, 보철물 부하기간이 긴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3. 보철물 부하기간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보철물 장착 후 19개월째 첫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였고, 이후로 임계점(critical point) 없이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각 요소들과 임플란트 주위염 유병률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임상에 적용한다면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A. 연구 대상 4 B. 연구 방법 5 1.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단 5 2.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5 3. 통계 분석 6 Ⅲ. 연구결과 A.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분포 7 B.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9 C. 단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한 위험요소 분석 11 D.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이용한 위험요소 분석 13 E. 부하기간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도 15 Ⅳ. 고찰 16 Ⅴ. 결론 22 참 고 문 헌 24 ABSTRACT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2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위험요소분석에 관한 후향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itis : A retrospective study-
dc.creator.othernameLee, Sae Eun-
dc.format.pagevii, 34 p.-
dc.contributor.examiner김진우-
dc.contributor.examiner이종빈-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