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부모양육행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양육행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Authors
김단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s incorporated in a well-balanced education. It expands on the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yself and others and it includes the cognitive aspect which enhances motivation and academic accomplishment. This issue has recent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education.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character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has been significant,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which can developed from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will be evaluated in this research reflecting the recent trends and perspective of education in Korea.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a child’s social-emotional competency directly correlates to the parenting behavior they are exposed to at home. Parents are the first people that a child becomes attached to and develops a relationship with. Hence parenting behavior becomes foundational to the development of a child’s emotions and the acquisition of their soci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what influence Korean parenting behavior, which include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trol, has had on the dimensions of self and others on a child’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It aims to clarify whether the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control the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which included 389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angnam-gu, Gangdong-gu, Gwangjin-gu, and Seongbuk-gu, Seoul. First, I carried out a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object of the analysis exclusively focused on children living with both parents. Following the frequency analysis, I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al contro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s’ expectations which are components of parenting behavior and the dimensions of self and others which are component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Lastly, I divided the effects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dependent variables of each factor, into two levels and I conducte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forming the interactive term with the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moderating variable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ll the components of parenting behaviors statistically correlated except for the case of 'psychological control'. In looking at all the coefficients that make up 'psychological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supportive parent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in the ‘self’dimension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of ‘others’dimension and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 expectation'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y all were unaffirmative, indicating that the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we found that 'psychological control' among parental parenting behavior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ther candidate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pportive parenting and behavioral control in parenting behavior, and the dimension of self and others in social-emotional competency both have a relevant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control has a negative effect with social-emotional competency on self-dimension and it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thers-dimension. Thirdly, regarding the regul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it i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supportive parenting on the dimensions of self and others in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significantly impacts the enhancement of a child’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and the regulation effect of existing parental expecta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parent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are, the more positive outcomes parents will have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contrast, since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ing behavior on the self and others- dimension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there is no regulation effect of parental expectations. These results prove that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are a protective factor for supportive parenting of parenting behavior. Consequently, this study affirms both the influence of parents’parenting behavior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the importance of parental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In addition, results of the moderating effect investigation are noteworthy because it identifies that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is the protective factor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 that parents need to recognize that appropriate parenting behavior is of utmost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petencies in the areas of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awareness and relationship-management, which essentially makes up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It also suggests that the further development and continual practice of the parenting education at a national and systematic level is a necessity.;최근 우리나라에서 인성교육과 도덕교육의 통합에 대한 필요성이 두드러짐에 따라 사회정서학습을 다룬다는 것은 시대적 흐름과 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정서학습은 학업성취감과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자기효능감 형성을 돕거나 자기조절능력을 기른다는 점에서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까지 아우른다. 더불어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향상과 같은 사회적 측면의 중요성도 강조하고 있으므로 전인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정서학습의 과정에 있는 아동들은 사회정서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데, 아동이 이를 잘 계발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가정에서 부모의 적절한 양육행동이 매우 중요하다. 부모는 아동이 태어나서 애착 및 사회적 관계를 맺는 첫 대상이며, 부모의 양육행동은 아동이 성장하면서 아동의 정서와 사회성 기술 습득 등에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양육행동의 지지적 양육, 행동적 통제,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 차원과 타인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기대가 부모양육행동과 사회정서역량의 관계에서 조절하는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강남구, 강동구, 광진구, 성북구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 14명을 제외하고 총 37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실시 이후 양 부모 모두와 동거하는 연구대상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의 하위구인인 지지적 양육, 행동적 통제, 심리적 통제와, 부모 기대, 그리고 사회정서역량의 하위구인인 자기 차원, 타인 차원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들의 종속변인인 사회정서역량을 두 차원으로 나누어, 조절변인인 지각된 부모 기대와의 상호작용항을 생성하여 검증하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행동 중 ‘심리적 통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상관계수는 모두 정적 상관을 가졌다. ‘심리적 통제’가 포함되어있는 계수를 살펴보면, 지지적 양육과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 행동적 통제와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 차원과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 사회정서역량 중 타인 차원과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 부모 기대와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가 모두 부적으로 나타났다. 즉 공통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 중 ‘심리적 통제’와 나머지 구인들 간에는 부적 관계에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 차원과 타인 차원에서 부모양육행동 중 지지적 양육과 행동적 통제가 사회정서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통제는 자기 차원 영역에서 사회정서역량과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고 타인 차원 영역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 기대의 조절 효과와 관련하여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 차원과 타인 차원에서 부모양육행동의 지지적 양육은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 기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 기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부모가 자녀에게 지지적 양육행동을 많이 할수록 아동은 사회정서역량을 기르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반면, 부모양육행동의 행동적 통제와 심리적 통제는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 차원과 타인 차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부모 기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각된 부모 기대는 부모양육행동의 지지적 양육에 대한 보호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에게 부여되어야 하는 부모의 지지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조절효과 검증에서 부모의 지지적 양육행동만이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을 계발하도록 도울 수 있는 보호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인식능력, 관계관리능력의 사회정서역량을 계발하기 위해,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이 필수불가결함을 부모 자신이 잘 인지하는 것과 국가·제도적 차원에서 부모 교육 확대 및 실현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