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국어 화자의 국어인식 양상에 기반한 국어 규범 교육 방안 연구

Title
국어 화자의 국어인식 양상에 기반한 국어 규범 교육 방안 연구
Authors
노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바르고 정확한 국어사용이라는 목표 아래 국어 규범 교육은 국어교육에서 항상 다루어지는 교육 내용이었다. 그러나 바르고 정확한 국어생활을 하게 하는 데에 지금까지의 국어 규범 교육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었는지 여부는 재고해 보아야 할 문제다. 또한 그동안 국어 규범 교육이 오로지 ‘바르고 정확한’ 국어사용이라는 목표에만 매몰되어 있었던 것은 아닌지, 국어 규범 교육을 다른 관점에서 접근할 수는 없을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현재의 국어 규범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인터넷 공간에서 실제 국어 화자들의 국어인식이 드러난 댓글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국어 규범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지금까지의 국어 규범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국어 규범 교육은 교과서 지식으로만 머무르고 실제 국어 화자들의 규범적 국어생활에 기여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국어 규범 교육은 규범적 국어생활을 하도록 하는 목표를 강조하여 규범의 다양한 속성에 주목하지 못하였으나, 국어 규범 역시 다양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 규범이 지닌 다양한 성격을 다각적으로 조망하는 국어 규범 교육의 확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어 댓글을 통한 인터넷 소통이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인터넷 소통에 주목하는 것이 국어교육에서 어떤 의미가 있을지 살폈다. 댓글을 통한 인터넷 소통은 소통 참여자가 매우 다양하며, 본문의 화제와 관련 없는 새로운 화제로 발산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수신자와 송신자 간 소통이 쌍방향적이며 소통 결과에 따라 작성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에 의해 인터넷 소통은 자연스러운 국어인식 활동의 장(場)이자, 상호 교섭과 의견 및 표현의 조정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적으로 살펴 볼 의미가 있다. Ⅲ장에서는 인터넷 댓글에서 나타나는 규범과 관련한 국어인식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규범과 관련한 국어인식은 먼저 어떤 오류를 인식한 것인지 그 댓글 내용에 따라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댓글 내용에 따른 국어인식 유형은 단순 철자 오류에 따른 국어인식, 어문 규정에 따른 국어인식, 어휘 사용의 적절성에 따른 국어인식으로 분류되었다. 단순 철자 오류에 따른 국어인식은 다시 고유어 철자 관련 국어인식, 한자어 철자 관련 국어인식으로, 어문 규정에 따른 국어인식은 한글 맞춤법 관련 국어인식, 표준어 규정 관련 국어인식, 외래어 표기법 및 로마자 표기법 관련 국어인식으로 분류되었다. 어휘 사용의 적절성에 따른 국어인식 역시 의미적 맥락 관련 국어인식과 사회적 맥락 관련 국어인식으로 하위분류가 가능했다. 규범에 대한 국어인식의 양상은 크게 수준에 따른 국어인식과 방향에 따른 국어인식으로 분류되었다. 수준에 따라서는 포착-정정 부재, 정정-설명 부재, 정정-설명 부연 단계로 세분화되었다. 방향에 따라서는 규범적 국어인식, 비판적 국어인식, 창의적 국어인식, 전략적 국어인식 양상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 규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어 규범 교육은 의사소통 맥락을 고려하여 규범성을 판단하도록 하고, 학습 공동체의 자유로운 소통을 통해 규범성 해석하도록 하며, 언어 사용 오류에 대한 자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에 따라 문법 규칙,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이라는 규범에 대한 국어인식의 준거를 확인하고, 다양한 방향의 복합적인 국어인식에 의해 규범성을 판단하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경험을 제공하며,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규범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국어 규범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였다.;Korean normative education has been dealt with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view to using the language correctly and accurately. However, it is an issue to reconsider how much Korean normative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so far in correct and accurate use of the language. Besides, it is required to ponder upon whether Korean normative education has been committed to its objective 'correct and accurate use of the language' only and whether there may be an approach on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r not. Hence, this paper aimed at examining the present Korean normative education and analyzing comments by actual language speakers showing their language awareness to prepare a plan for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In the ChapterⅡ, this study conducted a critical analysis on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so far. Korean normative education so far may not be effective in contributing to a normative language life of actual language speakers, merely staying at the knowledge on a textbook. Besides, emphasizing its aim for a normative language life, Korean normative education failed in paying attention to various attributes of a norm but it should be expanded for viewing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norms in a multilateral manner since they also diverse attributes. Next, this research examined what characteristic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has and what meaning consideration for Internet communication ha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has characteristics of very various participants in communication, divergent communication to a new topic unrelated to that of a text,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sender and receiver and correction of a written tex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muni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above, Internet communication has significance to be examin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t it may be a place for both natural language awareness and education by mutual negotiation and adjustment of opinions and expressions. In the Chapter Ⅲ, this research analyzed aspects of the language awareness related to norms shown from comments on Internet.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related to the norm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ents of comments.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contents of comm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a simple spelling error, language regulation and the adequacy of vocabulary use.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a simple spelling error were classified again into the language awareness on a native word spelling and Sino-Korean word spelling.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a language regul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language awareness on Hangeul orthography,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loanword orthography and Romanization.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the adequacy of vocabulary use were also subdivided into the language awareness on semantic and social contexts. Types of the language awareness according to the norm were classified into the language awareness in a level and direction. According to a level, it was subdivided into steps of capture-correction absence, correction-explanation absence and correction-expatia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it showed aspects of the normative, critical, creative and strategic language awareness. Finally, In the Chapter Ⅳ,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es in the Chapter Ⅲ. Firstly, in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norms should be judged with considerations on a communicative context and interpreted through free communication by a learning community and self-correction capacity for linguistic errors should be improved. Hence, this study identified criteria of the language awareness related to the norm as grammar rules, situation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and prepared contents of the Korean normative education for offering experiences to judge, interpret and use norms of the language awareness in multi-directions and establish a subjective and spontaneous attitude on nor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