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 함양 방안

Title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 함양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istorical literacy development plan utilizing the historic artifacts in the museum
Authors
염영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문해력은 본래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이었으나, 최근에 소통의 매체나 내용이 다양해지면서 그 사용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역사교육에서도 역사적 지식과 내용을 담은 다양한 텍스트를 다루는 능력으로 ‘역사적 문해력’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주요 연구자들은 그 개념을 ‘역사적 지식’(D. Ravitch), ‘역사적 방법’(S. Wineburg), ‘역사적 이해/설명’(T. Taylor), ‘역사 의식’(P. Lee)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요소의 관계 속에서 역사적 문해력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역사적 문해력의 개념화를 위한 시도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의미와 범위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다루는 매체를 ‘역사적 텍스트’로 규정하고 그 의미를 구체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기에, 본 연구자도 “역사적 텍스트를 읽고, 추론하여 이를 역사적 설명으로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역사적 문해력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박물관 유물’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의 함양 방안을 ‘읽기-추론하기-표현하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자가 제안한 방안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 사례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와 ‘청자 귀룡형 주자’로 하였다. 그리고 두 유물을 중심으로 3단계의 방안을 적용한 활동지를 제작한 후, 이를 바탕으로 ‘문해’하였을 때 각 유물에 대한 학습자의 역사적 문해력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제 적용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명과 중학교 3학년 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이 작성한 활동지의 결과물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 함양 방안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유물을 설명함에 있어 유물이 가진 다양한 측면과 요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유물에 대한 추론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제시하는 근거가 분명해졌다. 셋째, 학생들이 박물관 유물이 단순히 과거의 물건이 아니라 역사적 맥락을 가진 하나의 텍스트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문해력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박물관 유물이라는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최근 중등역사교육에서 주요한 교과의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는 ‘역사적 문해력’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ough the literacy means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nd is often approached in the national language lesson, its range of use has expanded as the medium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hav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history education put emphasis on the concept ‘historical literacy’ as the ability to handle various text of historical knowledge and contents. Especially, the major theorists tried to explain this concept focusing on ‘Historical knowledge(D. Ravitch)’, ‘Historical methods of investigation(S. Wineburg)’, ‘Historical understanding/explanation(T. Taylor)’, ‘Historical consciousness(P. Lee)’ and continu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elem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historical literacy, its meaning and scope are not clearly defined. However, due to the continuous attempts to define the medium as ‘historical text’ and make concrete meaning,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historical literacy as “the ability to read historical text, deduce and express it through historical explanation.” Specifically, ‘the artifacts of museum’ was chosen as the text and thus, the historical literacy development plan consisted of 3 step process ‘Read-Deduce-Express’ To verify the validity of plan that build up the historical literacy, ‘Mt. Bukhan Monument: Record of King Jinheung’s Inspection’ and ‘Dragon-shaped Ewer Celad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selected as case. The worksheet in which three step process was applied while focusing on these two artifacts was made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historical literacy about each artifact was shown when they ‘read and interpreted’ based this sheet. The actu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8 second-year students in a high school and 5 third-year students in a middle school and the result of worksheets drawn up by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history literacy development plan utilizing the historic artifacts in the museum suggested in this study are shown as below. First, students became to utilize various aspects and elements of artifacts when they explain the artifacts. Second, the proofs or grounds presented by students was clearer when they inferred about the artifacts. Third,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 historic artifacts in the museum are not merely the things of the past but the text with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as this study took concrete form of historical literacy concept, utilized the text, the artifacts of museum and suggested the specific development plan in detail, it established the significant foundation to verify the actual ‘historical literacy’ that was noted for key competence in the secondary school histor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