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고등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indsets on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ted by Grit :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Students Gave Up on Mathematics or Not
Authors
이서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and grit. Also,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were analyzed.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by multi-group analysis not only verifie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and those who have not but also allows us to see how the path coefficients of each group diff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ich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mathematics learning,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7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Of the 458 students selected for the analysis, 312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give up on mathematics and the rest of 146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ave up on mathematic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plus 3.0 program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Nex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mindset and academic self-efficacy. Final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gave up on mathematics or no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rect paths from growth mindset to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path from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found between growth mindset and academic self-efficacy. At la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group of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and those who did not in the path from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The path coefficient of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than i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in the group who did not give up on mathematics, all variabl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significantly. However, growth mindset of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it.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grit played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positiv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academic self-efficacy. Considering that grit is a trait of a person to push oneself to achieve goals,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the amount of effort perceived by an individual improve his or her belief on successfully completing an academic task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effort emphasized continuously in learning situation. Also, in the case of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pursuing goal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was les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the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require positive experience to obtain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help the students to create habit to succeed in mathematics learning and learning skills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effectively. Finally, for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the belief that their own intellectual abilities can be improved did not trigger them to pursue long-term goal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Hence, it is required to provide such stud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support that allows them to cope with failure positively and adaptively.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grit also makes a contribution to an affirmative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the required tasks well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accomplishment result. This fact suggests that both the interest on a goal and the value of endeavor need to be underlined more in the field of learning. Moreover, the study provides concrete and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continuing mathematics learning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it.;본 연구는 첫 번째로 고등학생의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얻는 데 있어 기저를 이루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의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수학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1개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458명의 학생 중, 수학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은 312명이었으며 수학을 포기했다고 응답한 학생은 1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3.0 및 Mplu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수학 포기 여부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학 비포기 집단에 비해 수학 포기 집단의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또한, 수학 비포기 집단에서 각 변인들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관련을 맺었으나, 수학 포기 집단의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은 그 과정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릿이 목표를 향해 포기하지 않고 노력을 기울이는 특성임을 고려할 때, 개인이 해석하는 노력의 중요성과 양이 과제 성공에 대한 믿음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은 학습 장면에서 강조되어온 노력의 중요성을 재검증해준다. 또한,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목적달성을 향한 열정과 노력을 기울이는 태도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그 효과가 미약하였으므로, 수학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경험의 촉진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지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수학학습에서 성공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어려운 과제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기술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 간에는 스스로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장기적 목적을 향한 열정과 노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그러한 학생들에게 보다 실패를 긍정적으로 승화하고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적 및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그릿은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효능감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본 연구는 그릿이 성취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춰 온 기존의 관점과 달리 학습 과제를 잘 해낼 수 있다는 스스로의 긍정적인 믿음에도 그릿이 기여함을 밝혔다. 이는 학습 장면에서 목표를 향한 열정과 노력의 가치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생들의 학력격차를 심화시키는 주 교과인 수학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효능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가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함으로써, 본 연구는 수학학습 지속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