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68 Download: 0

대장내시경 검사 간호대상자의 장정결 교육용 스마트폰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Title
대장내시경 검사 간호대상자의 장정결 교육용 스마트폰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 on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Authors
윤영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 검사 전 장정결을 위한 간호대상자의 교육용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된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K 상급종합병원 소화기내과 외래를 방문하여 대장내시경 검사를 처방받은 만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11일부터 10월 26일까지였으며 대상자 수는 대조군 60명, 실험군 60명으로 총 12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정결을 위한 간호대상자의 교육용 스마트폰 앱의 내용은 대장내시경 검사 전 장정결에 대한 문헌고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의 장정결 교육자료, 임상에서 사용되는 장정결 안내문 및 장정결제 제조회사의 설명문을 토대로 구성한 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스마트폰 앱 구현은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동영상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장정결제 복용과 식이조절에 대한 지식 및 순응도 도구(유삼숙, 2013)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한 후 전문가 검증을 받아 이용하였다. 장정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ronchick bowel preparation scale (Aronchick, 2004)을 이용하였으며 소화기 내시경 전문의 3인이 대장내시경 검사 수행 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Shapiro-Wilk, Mann-Whitney의 U와 Wilcoxon의 W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장정결 교육용 스마트폰 앱을 적용한 실험군은 기존 인쇄물 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장정결제 복용 및 식이조절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장정결제 복용과 식이조절에 대한 지식은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2. 제 2가설 : “장정결 교육용 스마트폰 앱을 적용한 실험군은 기존 인쇄물 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장정결제 복용 및 식이조절에 대한 순응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장정결제 복용 순응도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U=1471.500, p<.01) 식이조절 순응도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 2가설은 일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 “장정결 교육용 스마트폰 앱을 적용한 실험군은 기존 인쇄물 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장정결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U=1431.500, p<.05). 따라서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대장내시경 검사 전 간호대상자를 위해 장정결을 준비하는 교육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제공한 경우가 기존 인쇄물로 제공한 경우보다 장정결제 복용의 순응도와 장정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이용한 장정결 교육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대상자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 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장정결 교육은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 for bowel preparation to evaluate the most effective application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methods of education.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osttest-only design. Data accrued were from August 11, 2017 to October 26, 2017. Participants were between 18 and 65 years of age who had a colonoscopy at K university general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n=60) was asked to use a smartphone application; the control group (n=60) was educated using written and verbal instructions for bowel preparation. The study tool was the knowledge (10-items) and compliance (10-items) questionnaire on diet restrictions and bowel-preparation solutions were evaluated by a tool developed by Yu, based on guidelines provide by the Gastrointestinal Endoscopy Society. The quality of bowel cleansing was evaluated using the Aronchick Bowel Prepar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using technical statistics, 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Shapiro-Wilk, Mann-Whitney U and Wilcoxon W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ros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knowledge of bowel-preparation solutions and diet restriction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compliance with taking bowel-preparation solution (U=1471.500, p<.01).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between the two groups on compliance with diet restrictions. 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ros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quality of bowel cleansing (U=1431.500, p<.05).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 increased compliance with taking the bowel-preparation solution and the quality of bowel cleansing than the current method of education. Therefore, use of an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linical practice and nursing interven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