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초등교사가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 요인 및 도전 요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Title
초등교사가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 요인 및 도전 요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Other Title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ffects and challenges of restorative educ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uthors
허수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학교폭력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들이 심화되면서 학교 구성원들의 피해와 고통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나 학교 문제들이 해결되기보다 오히려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학교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기존의 응보적 교육 패러다임에서 회복적 정의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이 우리 교육 현장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써의 회복적 생활교육이 어떤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정착과 질적 제고를 위하여 회복적 생활교육의 도전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로 탐색된 효과 요인은 더욱 활성화시켜 회복적 생활교육의 정착에 기여하고, 도전 요인은 개선과 보완의 과정을 거쳐 회복적 생활교육의 질적 성장을 가져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제로 학급경영의 한 방법으로 실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7명을 인터뷰하였다. 그 후 인터뷰 대상자 중 6명과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다른 2명의 교사가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자들이다. 진술문 아이디어 수집을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 요인과 도전 요인에 대한 초점질문을 활용하여 개인 인터뷰 또는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후 인터뷰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진술문별과 군집별 중요도 평정을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 요인은 9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학생의 의사소통기술 향상, 군집 2는 긍정적 학급 분위기, 군집 3은 학교폭력 문제의 예방 및 개선, 군집 4는 학생의 전인적(인지·정서·행동) 발달, 군집 5는 교사-학생의 신뢰관계 형성, 군집 6은 학생 간 갈등 감소, 군집 7은 교사 자신의 긍정적 변화, 군집 8은 학부모의 긍정적 변화, 군집 9는 교사의 전문성 강화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도전 요인으로 9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법·제도 제반 미흡, 군집 2는 인식전환의 어려움, 군집 3은 열악한 실천 여건, 군집 4는 적용범위 설정의 어려움, 군집 5는 내면화의 어려움, 군집 6은 동료와 관리자의 인식 및 지지 부족, 군집 7은 적용 초기의 효과성 한계, 군집 8은 체제적 지원의 부족, 군집 9는 교사 개인의 적응 및 준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인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천가들이 어떤 부분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는지와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느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 자료는 앞으로 우리 교육 현장에서 회복적 생활교육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실천과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Schools, as a learning community are supposed to be a place for educational growth of students. So far, retributive way of discipline has been applied to for it. However, retributive disciplining of the matter that concludes a case through punishment does not meet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neither achieves the educational goal to support normal school life among students. It rather makes conflict worse among school members. Schools should not only resolve conflicts but also correct students’ problem behaviors, and build safe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educa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For this, paradigm of discipline needs to be changed from retributive approach to restorative way. It will help for students face their own wrongdoing and understand responsibility of it instead of blaming to authority and punishment given to them. By the way of ‘concept mapping’, the present thesis makes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effects and challenges of restorative education that ar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7 teachers selected as a sample. The subjects all have experienced the restorative education and are located in Seoul. The participants a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collect their responses to the aforementioned the effects and limits of restorative education, asking focal questions. From the interview extracts, the key sentences are excerpted and in turn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have been processed by 8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the restorative education. In addition, they rated the degree of significance of each key sentence. The result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wo dimensions, As for the effects, the X-axis turned out‘the recipients of the restorative education’, the Y-axis ‘the field of the restorative education’s positive effects’, respectively. As for the challenges, ‘the source of the restorative education’is specified as the title of the X-axis, ‘poor foundation for the restorative education practice’ for Y-axis. Meanwhile,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s of restorative education are found in cluster 1 as to improve th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cluster 2 as to make class atmosphere positive; in cluster 3 as to prevent and alleviate school violence problems; in cluster 4 as to develop students’ whole personality; in cluster 5 as to build a trus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luster 6 a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students; in cluster 7 as to make positive changes to teachers themselves; in cluster 8 as to make positive changes to parents; in cluster 9 as to develope the professionalism as an elementary teacher. Among these, the cluster 7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one. The challenges of restorative education are found in cluster 1 as legal system’s absence; in cluster 2 as difficulty of perception conversion; in cluster 3 as harsh conditions for practice; in cluster 4 as difficulty to set applicable scope; in cluster 5 as difficultness to internalize; in cluster 6 as poor support from colleagues and administrators; in cluster 7 as slight effects in the early stage; in cluster 8 as lack of systematic support; in cluster 9 as teacher themselves’ adaptation and preparation problem. Among these, the cluster 9 was scored as the highest on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empirical data by concept mapping method and it explored the effects and challenges of restorative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restorative justice practitioners. Last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background data for establishing restorativ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