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0 Download: 0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 예측모형

Title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 예측모형
Other Titles
A Predictive Model for Self-Management Behavior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uthors
정향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ypothetical model explaining self-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using predictive models of self-management behavior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04 women diagnos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t university hospitals and women’s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who had completed their 20thgestational week. These women engaged in self-management behaviors formore than four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20 to May2, 2017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hypothetical model had 8 factors and 19 pathways and was a modified vers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1996).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goodness of fit index for the hypothetical model in self-management behavior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ad values of 97.828 for χ2(df = 41, p = .000), .835 for AGFI, 0.085 for RMSEA, .877 for NFI, and .921 for CFI. 2. The predictive factors of depression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igher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γ = -.356, p < .001) was lower depression.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was lower depression(γ = -.315, p < .001). These predictors explained 35.3% of variance in the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3. The predictive factor of self-efficac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igher depression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was less influenced by self-efficacy (β = -.432, p .001). However, previous behaviors related with health and perceived health didnot have an influence on self-efficacy. These predictors explained 31.1% of variance in the self-efficacy among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4. The predictive factors of family support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igher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were influenced by perceived family supports positively (γ = 343, p < .001). However, perceived health status did not influence perceived family supports. These predictors explained 19.7% of variance in family supports. 5. The predictive factor of perceived barriers in the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The higher the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γ = -.254, p < .05)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the less influenced they were by the perceived barriers. However, perceived health status did not influence perceived barriers. These predictors explained 18.3% of the variance in the perceived barrier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6. The predictive factor of perceived benefit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Previous behaviors related with health did not influence perceived benefit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These predictors explained 7.8 of variance in prior related behaviors and perceived health. 7. The predictive factors of self-management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dicated a higher level of self-management behaviors (β = -.334, p < .001). Higher level of previous behavior experiences was related to health (γ = 339, p < .05)., and higher level of perceived barrier (β = -.188, p < .05) resulted in effective engagement in self-managements. Additionally, depression influenced self-management behaviors through a parameter of self-efficacy (β = -.149, p < .05).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enefits, and familysupport were not influenced by self-management behaviors. These predictors explained 36.2% of variance in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s crucial factors with regard to increasing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Specifically, the prior related health behaviors and perceived barriers influenced self-management behavior directly. Therefore, based on the pathways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self-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규명함으로써 임신성 당뇨병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2곳, 여성전문병원 8곳, 총 10곳에서 20주 이후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후 자가관리 행위를 최소 4주 이상 시행한 임신성 당뇨병 임부 17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월 20일부터 2017년 5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연구모형은 Pender(1996)의 건강증진 모형(Health Promotion Model)의 변수와 경로를 일부 수정하여 총 8개의 요인과 19개의 경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 중 χ2 통계량은 97.828(df=41, p<.001), Normed χ2 통계량은 2.386, GFI는 .926, AGFI는 .835, RMSEA는 .085, NFI 는 .877, CFI는 .921로 대부분의 권장수준을 만족하여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2.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우울 예측요인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과거 건강관련 행위의 경험이 많을수록 임부의 우울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γ=-.356, p<.001),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임부의 우울은 낮게 나타났다(γ=-.315, p<.001).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35.3%였다. 3.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감 예측요인 임신성 당뇨병 임부가 우울을 많이 느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게 나타났다(=-.432, p<.001). 그러나 과거 건강관련 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은 31.1%였다. 4.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가족지지 예측요인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과거 건강관련 행위 경험이 많을수록 가족지지 의 인식정도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γ=.343, p<.01). 그러나 지각된 건강상태는 가족지지의 인식정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가족지지에 대한 설명력은 19.7%였다. 5.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지각된 장애성의 예측요인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과거 건강관련 행위 경험이 많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게 나타났다(γ=-.188, p<.05). 그러나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장애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지각된 장애성에 대한 설명력은 18.3%였다. 6.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지각된 유익성의 예측요인 과거 건강관련 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지각된 유익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지각된 유익성에 대한 설명력은 7.8%였다. 7.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 예측요인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가관리 행위 실천정도는 높았으며(β=-.334, p<.001), 과거 건강관련 행위 경험이 많을수록(γ=.339, p<.05), 그리고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β=-.188, p<.05), 자가관리 행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울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자가관리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β=-.149, p<.05). 그 외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유익성, 가족지지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 설명력은 36.2%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기효능감, 과거 건강관련 행위와 지각된 장애성은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과거 건강관련 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가관리 행위로 이어지는 인과적 경로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요소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통합적인 중재방안은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임신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안전한 임신·출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