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뇌졸중 환자의 흡연지속 체험

Title
뇌졸중 환자의 흡연지속 체험
Other Titles
The Lived Experience of Continued Smoking Habits after Stroke
Authors
윤정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The survival of patients after stroke has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modern medicine. This has led to earlier recovery after stroke and continuation of pre-stroke lifestyles, such as cigarette smoking, in stroke patients. Cigarette smoking is a very addictive health practice that is difficult to quit. However, it is essential for stroke patients to quit smoking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troke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cigarette smoking after stroke and its meaning and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moking experience of 10 stroke patients by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developed by van Manen. Data were collected using objective sampling and face-to-face or telephone interviews between December 2016 and October 2017. To understand why some stroke patients continue to smoke in spite of their illness, we analyzed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ing etymology, novels, essays, handwriting, and works of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six themes of the experience of continued smoking habits among stroke patients: ‘returning to habitual smoking after recovery’, ‘acting as if a non-stroke patient’, ‘smoking for comfort’, ‘feeling a guilty about having no willpower’, ‘denying the problem of smoking for me’, and ‘rationalizing one’s smoking habits’. At the onset of stroke, the participants reported of not knowing how to manage their stroke symptoms and being concerned about their well-being. As their symptoms improved, they moved from a place to place, such as an emergency room, a intensive care unit, a general ward, and home. Despite their fears, some patients said that immediately began smoking after stroke management and said that only then were they able to regain a sense of comfort.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embarrassed about not being able to quit smoking despite suffering from a stroke. And fearful of others’ rebuke, they often hid this fact from others and acted as if they were healthy. They also showed discomfort towards other stroke patients because of what they saw of themselves in them and refused to accept their illness. Although the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y should quit smoking, they said that the cigarette cravings were extremely difficult to resist. The participants justified their continued smoking habits by telling themselves that smoking was not a serious health risk and that they had decreased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The participants had only an obscure plan to quit smoking and regarded curr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anti-smoking government policies as ineffective and unhelpful. However, they still reported feeling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of stroke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ved experience in continued smoking habits among stroke patients in spite of suffering from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illness. Here, the smoking experiences should inform practitioners in charge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that stroke patients have a misguided sense of well-being after an early post-stroke recovery. Further, practitioners should educate stroke patients about the seriousness of smoking, improving correct health awareness among patients. Our findings reveal that patients who continue to smoke after stroke should be another important subclass of recipients, along with adolescen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designed specifically to motivat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뇌졸중은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고 조기 회복으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이전의 삶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뇌졸중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은 흡연으로 인한 것이다. 흡연은 습관성을 지니고 있어 일반인은 물론 뇌졸중과 같은 중증 만성질환자에 있어서도 금연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건강행위이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에서 금연은 뇌졸중 재발 방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강행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의 흡연지속 체험을 이해하고 뇌졸중 흡연환자를 위한 금연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발병 후에도 흡연경험이 있는 자로 하였다. 목적적 표집을 통해 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였으며 면대면 면담과 전화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심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양한 체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어원의 추적과 시, 소설, 수필, 수기, 예술작품 등을 통해 뇌졸중 발병 후 흡연 지속 체험 관련 자료를 탐색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6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흡연지속 체험은 ‘회복과 함께 자연스럽게 담배를 다시 찾게 됨’ ‘뇌졸중 환자로 보일까 신경쓰여 건강인처럼 행동함’ ‘친구같은 담배에서 위로를 받음’ ‘흡연하면서도 의지박약에 대한 죄의식이 느껴짐’ ‘나에게 만큼은 흡연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짐’ ‘흡연을 합리화하며 자신을 위로함’ 이었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발병 당시 찾아온 낯선 뇌졸중 증상에 대해 어찌할 바를 모르고 망가져버린 몸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증상 발현 이후 증상완화와 함께 응급실, 집중치료실, 일반 병동, 집으로 귀가 등의 공간 이동을 하였으며 공간의 이동에 따라 니코틴의 욕구를 참을 수 없었으며 바로 흡연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시작한 담배 한모금은 언제나 그래왔듯이 친구 같은 든든함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주는 위로가 되는 존재였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진단 이후 흡연을 하는 것에 대해 타인의 시선에 스스로 부끄럽다고 느끼고 죄책감마저 들었다. 또한, 주변에서 환자라 봐주지 않는 말 한마디에 굳이 환자임을 드러내지 않았으며 스스로도 건강인처럼 행동하며 자신의 건강신념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다른 뇌졸중 환자의 모습에서 자신을 투영해서 보기 싫어 애써 외면하게 되었고 듣기 싫은 것에는 눈과 귀를 의도적으로 막고 살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담배와의 인연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은 하나 몸이 저절로 흡연에 반응을 하였으며 흡연의 욕구를 참기가 너무도 어려웠다. 참여자들은 흡연이 지금 현재 당면한 문제가 아니고 나는 흡연을 해도 괜찮다고 스스로 암시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문득 찾아오는 뇌졸중 재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면서 지금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금연을 하겠다고 막연한 생각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스스로 줄담배를 줄인 것에 위안을 삼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연 교육과 정부 정책은 맘에 와닿지 않으며 식상함을 느끼고 현재 흡연상태를 합리화하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 후 흡연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흡연지속 체험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러한 체험의 의미들은 뇌졸중 흡연환자의 금연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에게 조기회복 후 건강인과 다름없다고 느끼며 나에게 만큼은 흡연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뇌졸중 환자의 건강 인식 전환에 중점을 둔 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흡연지속 환자가 금연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자임이 확인되었으며 이 연구 결과를 뇌졸중 환자의 금연교육프로그램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청소년과 일반인 위주의 금연프로그램에서 만성 질환자의 동기부여 중심의 개별화된 금연프로그램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