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5 Download: 0

수간호사의 간호대학생 실습교육 체험

Title
수간호사의 간호대학생 실습교육 체험
Other Titles
The Lived Experience of Head Nurse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uthors
김선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Clinical nursing education is at the core of nursing education. It is a process of incorporating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learned in universities into the clinical setting, integrating knowledge, attitude and technology as nurses embrace them by tending patients and nursing them in person under the guidance of a supervisor in the clinical setting. In this process, the opportunities for involvement with direct nursing experience are being reduced and the clinical instruction is shifting to observation, in line with the social environment where patient’s rights are enhanced and personal information is emphasized. Since the students, clinical instructors and curricula comprise the basi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clinical instructors’ role is critical in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Clinical instructors are either the clinical instruction teachers deployed from schools or the head nurses affiliated with hospitals as the main field supervisors of clinical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se clinical supervisors that constitute one pillar of clinic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head nurses at teaching hospitals, who play an important role as clinical instructors in the clinical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er us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s an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in dep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head nurses working in two hospitals located in K and U cities. All of participants were trained by the university to be clinical instructors and have had the experience of leading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longer than four weeks at the time of March of 2017.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to November of 2017,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ntil the data sufficiently reached saturati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ubdivision method, the selective method, and the holistic method proposed by van Manen in order to focus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even essential themes and 21 subthemes were derived. The first theme is “taking on instructional roles of nursing students in an clinical setting that is not well-prepared for teaching.” The second theme is “troubling to teach due to a big gap between clinical field and school education” The third theme is “arising conflicts from being in charge of the hospital tasks concurrently with the clinical instructing tasks.” The fourth theme is “teaching and thinking the students who will soon return to the clinical setting as nurses.” The fifth theme is “trying in order to teach for the real education based on the know-how accumulated from the clinical experiences.” The sixth theme is “growing together head nurses and students through the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seventh theme is “the realization of the urgent need for nursing education reform to ensure successful adaptation of new nurses into clinical settings upon their grad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broadened ou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head nurses in clinical education. It also has implications in directly reflecting the voice of the field that calls for the need of clinical education systems reform that will allow nurs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their nursing competence as professional nurses through clinical education in order to be able to perform the roles of a nurse on the clinical setting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and to lower their turnover rate. It also considers the need for changes in the role and qualification of clinical instructors and the policies of schools and medical institutions towards clinical education. This may contribute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reform of the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간호교육의 핵심인 임상실습교육은 간호교육자의 지도 아래 환자를 관찰하고 직접 간호에 참여함으로써 학교에서 학습한 간호 지식을 임상현장에 접목하고 간호사로서의 준비를 위해 지식, 태도, 기술을 융합하고 체화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최근 환자의 권리 신장과 개인정보보호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학생들이 직접간호에 참여할 기회가 줄어들고 실습은 관찰 위주로 전환되고 있다. 임상실습교육과정의 기본은 학생과 실습지도자 그리고 교육내용으로, 학생의 학습성과 달성에 실습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임상실습지도자는 학교에서 파견하는 임상실습지도교원과 병원 소속의 임상실습현장지도자로, 임상현장에서는 수간호사가 주로 현장지도자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실습교육에 한 축을 담당하는 임상실습지도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실습교육의 본질적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임상실습교육 과정에서 현장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간호사의 체험을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방법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K시와 U시에 소재한 2개 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로, 2017년 3월 현재 대학으로부터 현장지도자로 위촉받아 4주 이상의 임상실습교육을 한 경험이 있는 자 총 12명을 목적적 표본추출을 통해 모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이며, 자료가 충분히 포화될 때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van Manen이 제시한 세분법과 선택적 방법, 전체론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간호사의 간호대학생 실습교육 체험은 일곱 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실습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로 학생들의 실습지도를 맡게 됨’, ‘임상현장과 학교교육 간의 괴리감이 커 지도가 어려움’, ‘본연의 직무에 부가된 교육업무로 역할 갈등이 생김’, ‘간호사가 되어 곧 현장으로 돌아올 학생들을 생각하며 지도함’, ‘임상경험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 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함’, ‘학생을 가르치며 자신도 함께 성장함’, ‘학생들이 졸업 후 현장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실습교육이 절실함’이다. 참여자들은 낯선 병동에 지도교수도 없이 보내진 학생이 어찌할 바를 몰라 쭈뼛거리는 학생들의 입장이 안타까우나 환자들이 실습대상이 되는 것을 꺼려하고 수시로 발생하는 응급상황으로 학생들의 존재가 부담스러운데 학생들을 위한 교육공간도 부족한 상황에서 실습지도를 맡게 되었다. 의료기술의 빠른 변화에 학교에서 학습한 내용으로는 무엇을 관찰하고 어떻게 현장학습을 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학생에게 임상현장에서 어디까지 가르쳐야 하는지 난감하고,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있고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몰라 답답해하였다. 그런 학생들을 공정하게 실습평가를 하고 싶으나 학교마다 다른 평가도구로 혼란스럽고, 평가기준이 임상현장에서 판단하여 평가하기 어려운 항목들로 되어 있어 자기 나름대로 기준을 세워 평가하면서 평가도구가 현장에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되기를 바라게 되었다. 또한 병동 관리자로서의 업무만으로도 과중하여 버거운데 실습지도를 하게 되어 환자 관련 업무를 우선시하다 보니 실습지도는 뒷전으로 밀려 틈이 날 때 하면서 학생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을 내어 실습지도를 하다보면 바쁜 병동간호사들에게 죄책감이 들어 갈등이 심하였다. 그래서 실습지도가 수간호사의 정당한 업무로 인정받아 시간을 정해 공식적으로 표준화된 지침을 가지고 지도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참여자는 자신의 좋았던 학생경험을 떠올리고, 학생들이 제일 어려워하는 환자, 보호자와 라포를 형성하는 방법을 알려주면서 학생들이 긍정적인 실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실습에 임하여 당당한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가까운 미래의 전문직 간호사 동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지도하였다. 또한 임상현장에서 실습지도를 하면서 시행착오를 통해 습득한 노하우로 나름대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관찰에 의미를 부여하고 생동감 있는 현장의 사례를 이론과 접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역량이 되는 병동간호사의 협조를 받아 학생들이 간호활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실습 지도를 하였다. 실습을 마친 학생들의 평가를 통해 실습지도에 노력한 정도만큼의 평가를 받는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이 학생들의 역할모델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습지도는 참여자 자신에게도 힘이 되었고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다. 그러나 실습지도를 하면서 병동에 배치된 신규간호사가 2~3개월 만에 임상현장을 떠나는 상황을 보며 실습교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 같은 위기감이 높아져 학생들이 졸업 후에 현장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습교육이 필요하다는 절실함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점점 빠르게 변화하는 임상현장과 달리 변화되지 않는 대학의 교육으로 인해 실습교육의 한계를 절감하고 과도한 업무로 인해 지쳐가는 현실에 대한 부담을 표현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수간호사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자부심과 선배로부터 배운 것을 후배에게 돌려준다는 책임감을 갖고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음을 밝혔다. 실습교육을 통해 달라지는 학생들의 태도를 보며 보람을 느끼고 자신 역시 학생들과 함께 성장해 가는 것을 인식하지만, 때로는 그 마음이 흔들릴 정도로 실습현장이 버거워 미래의 간호교육을 위해 대학과 임상현장이 힘을 합해 경직된 실습교육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혁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수간호사의 간호대학생 실습교육 체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데 있다. 또한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간호대학생이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키워 졸업 후 현장에서 간호사로서 빠르게 적응하고 오래 근무할 수 있도록 실습교육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임상실습지도자의 역할과 자격,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학교와 의료기관의 변화의 필요성을 고민함으로써 간호학 실습교육의 개혁의 장에 동참하고 임상실습교육과 관련된 법과 제도적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