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효-
dc.contributor.author지미경-
dc.creator지미경-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15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1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2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22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91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교에서의 소외, 고독, 단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두되는 분위기 속에서 학교공동체 형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교육학의 영역에서 학교공동체는 다각면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학교공동체 논의는 기독교교육에서도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실제로 많은 기독교학교들이 공동체를 지향하고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학교의 공동체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그마저도 규범적 연구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초등학교의 학급공동체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학교의 가치, 관계, 활동적 측면에서 드러난 공동체적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 학급의 활동, 관계, 가치적 측면에서 드러난 공동체적 특성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기독교학교인 G학교와 G학교 내의 T학급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참여관찰과 교사, 학부모, 학생 대상 면담, 기타 인공물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학교의 가치, 관계, 활동의 측면에서 드러난 공동체적 특성은 무엇인가? 먼저, 이 학교의 가치에서 드러난 공동체적 특성은 만남을 통한 공동체적 삶의 강조와 나눔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학교의 교육목표, 교육방향, 교육특징 등 교육의 전반에 공동체로의 지향성이 드러났으며 신앙적 기초 다음으로 관계성을 주요 교육목표로 제시함과 동시에 나눔을 실천하는 공동체를 추구하고자 하는 특성이 드러났다. 둘째, 관계적 특징으로 학교와 교회, 학교와 세상, 학교와 가정을 살펴보았다. 교회는 학교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학교와 세상은 유기적인 관계로까지 발전하지는 못하였으나 꾸준한 노력을 통해 관계가 형성되는 단계에 있다는 특징이 보였다. 학교와 가정의 관계에서 학부모는 학교를 통해 자녀와 함께 성장하고 있었으며 학교를 중심으로 한 학부모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 셋째, 활동적 측면에서 예배, 전체QT, 공동체 활동, 학부모 모임 4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이 활동들을 통해 학교의 가치가 학생과 가정에 공유될 뿐 아니라 가정과의 협력과 지역사회와이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이 학급의 활동, 관계, 가치적 측면에서 드러난 공동체적 특성은 무엇인가? 학급차원에서는 교육철학 등에 대한 문건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에서 활동, 관계적 측면을 먼저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가치적 측면을 알아보았다. 첫째, 이 학급에서의 활동을 살펴보면 수업 장면에서의 신앙활동은 기독교적 가치가 공유되며 삶에 대한 나눔이 일어나는 시간이며, 교과내용학습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책임을 다하며 경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또한 학급특별활동은 하나님의 관점에서 자신을 통찰하고 서로에 대해 알아감으로써 관계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는 특성이 나타난다. 수업 외 장면으로 자유시간에는 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노는 즐거움을 맛보게 되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간식시간에 학생들은 서로 간에 나눔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며 상담시간에 교사는 끊임없이 학생을 기다려주는 교사의 태도를 보였으며 학생들은 상대방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둘째, 이 학급의 관계적인 특징을 보고자 관계의 주체를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교사와 학생 간에는 ‘권위를 가지는’ 관계, ‘따뜻한’ 관계, ‘목자의’ 관계가 형성된다.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에서는 동행적 관계, 수용적 관계, 공감적 관계, 상호수정적 관계가 나타난다. 셋째, 이 학급에서 가치적 측면의 공동체적 특징은 관계 중심의 공동체에 대한 지향성, 진리 안에 함께 거하기, 인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정이다. 이러한 결과를 연결하여 보았을 때, 이 학교의 학급공동체에서 드러난 특징은 이 학교의 공동체성과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공동체적 가치를 실천함에 있어서 학생들은 내적 갈등을 경험하며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 학급공동체는 갈등과 선택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이타적 섬김을 훈련하는 장이 될 수 있으며, 기독교적 진리를 기반으로 정의가 실현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학급공동체는 인성교육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입식 교육이 아닌 도덕적 환경 속에서 실천적인 교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학교와 일반 학교공동체에 대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학교의 공동체성에 대한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독교학교공동체를 제시함에 있어 정의의 공동체가 중요한 특징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은 기독교적 가치를 실천하며 내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학급공동체가 이러한 내적갈등까지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이 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일반학교에서는 공동체 역량을 함양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능력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능력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약함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할 때 더욱 인격적인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se days, isolations in school are becoming one of the big problems and the necessities of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emphasized. The active movement to solve the problem by building school community is occurring and the discussion on school community in educational part is rising. The topic of school community could be also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hristian education because the Christian religion is based on relationships. However, the studies on school community in Christian educat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mmunities in Christian elementary school through descriptive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n aspects of value, activities, and relational features? Second, what ar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in aspects of activities, and relational features, value? For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ten-wee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en-time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artifacts colle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n aspects of value, activities, and relational features? To begin with, the values shared in the school was the emphasis on community and serving others. The school’s philosophy, mission, and goal showed their focus on the community, and one of the major missions of their education is building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and others. Next, there are fore types of activities- worship, QT time, Community time, parent meetings. Worship and QT teach Christian values to students, therefore is the time to share the values of the school and the church. Community activities play a role in linking the local community together. Since the education of the school emphasizes the role of family, parent meetings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connect home with school. Lastly, in terms of relational features, school-church, school-society and school-home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church, the church played a role in maintaining school’s Christia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society could not be closely built ye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home showed that parents were growing up along with their children, and they showed support towards school. Second, what ar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in aspects of activities, and relational features, value? To begin with, through religious activities in this class, sharing of christian values and lives took place. The learning activity of subjects showed that students asserted their opinions without competition. In addition, during special classroom activities, students built the foundation of relationship by gaining an insight of themselves from the perspective of God and through understanding each other. During breaks, students enjoyed playing with each other and maintain their close relationships. During the snack time, students shared what they have brought. During student counseling and guidance, the teacher have patience for them and students could learn how to understand others. Next,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are explored on two asp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between student and student. ‘Authority relationship’, ‘warm relationship’, ‘shepherd’s relationship’ was buil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Companionate’ relationship, ‘receptive’ relationship, ‘emphatic’ relationship and ‘mutual-correcting’ relationship’ were seen in student-student relationship. Finally, the shared values in the classroom are the orientation to the relationship-centered community, dwelling together in the truth and the acceptance of human beings’ imperfect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classroom showed similarity to the school’s sense of community, but in the aspect of community’s value, students were growing up experiencing inner conflicts. Therefore, Christian community can be a place for altruistic service, in a way that the community repetitively experience conflicts and choices. Moreover, it acts as a place where justice takes a hand based on Christian truth. This study gives suggestions to Christian school and public school communities as follows. First, studies on Christian schools’ community have to be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Second, The community of justice needs to be included in Christian school communities. Third, Christian school students experience continuous inner conflicts when practicing Christian values, thus the classroom community needs to be a place where students can talk about it openly. Fourth, punlic schools only consider the abilities to cultivate community competence, but it needs to apply the Christian school community where it is comfortable and acceptable to reveal weakness. In this way, the community will become a more humanistic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5 C. 용어 사용 6 Ⅱ. 이론적 배경 8 A. 학교공동체 8 B. 기독교학교공동체와 학급공동체 23 Ⅲ. 연구방법 36 A. 연구설계: 질적 사례 연구 36 B. 연구참여자의 표집과 진입 37 C.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38 D. 자료수집 45 E. 자료분석방법 53 F. 신뢰도 구축방안 57 G. 윤리적 고려 58 H. 연구의 한계점 59 Ⅳ. 연구결과 61 A. 학교 차원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적 특성 61 B. 학급 차원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적 특성 74 Ⅴ. 결론 및 논의 130 참고문헌 138 부록1. 면담질문지(교사용) 144 부록2. 면담질문지(학부모용) 145 부록3. 면담질문지(학생용) 146 부록4. 자료수집 일정 및 목록 148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18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기독교 대안초등학교 학급의 공동체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치, 활동, 관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community in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 in aspects of value, activity, and relatioship-
dc.format.pagevii, 151 p.-
dc.contributor.examiner옥현진-
dc.contributor.examiner김정효-
dc.contributor.examiner최진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