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역설적 상황을 통한 다층적 재구성

Title
역설적 상황을 통한 다층적 재구성
Other Titles
Multi-layer Reconstruction through Paradoxical Situations : Based on the researcher's work
Authors
윤인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In this study, the artistic reconstruction of multi-layer elements inherent in contemporary situations were analyzed and studied based on situations faced by the researcher as a member of society and existential reflection. By consciousl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engraved in everyday life and by forming a myriad of contact points with societ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world around us as a continuum of multi-layer situations derived from the fluid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objects. Attention was paid to situations, which cannot be overcome by contradictory situations or limitations occurring throughout the various areas of everyday life that are in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this, a series of situations implying the critical awareness of problems was reconstructed by visualizing the various layers of life arising from various directs and indirect experiences in the works. This is to signify the diverse situations faced in everyday life within today’s contemporary society; thereby re-cognizing the paradox of reality and drawing more in-depth insight regarding reality. To pay attention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concept of ‘situation’, proposed as an important critical element throughout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e components of theater and the situational elements of theatricality will be discussed.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 of theatrical situations realized in plays as a form of performing arts based on physical actions differing from paintings and as a traditional form of the arts, acts as a component of the presenta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figures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In order to elucidate this, various works created in the realm of visual arts will be explained by comparing the works of the researcher. Also,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play,’ which is presented as a core concept that leads the narratives of the situations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has set ‘play’ as a type of social behavior which reveals the irrationalities of the world and identifies it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Next, to shed light on their significance the concept of ‘play’ was defined and divided into four properties, i.e. superficiality, semi-facing, non-language and repetitiveness. To clarify, specific cases of example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to explain that ‘play’ is not an amusing act to experience enjoyment, but embodies as a type of sociocultural view. In ‘Multi-layer Reconstruction through Paradoxical Situations (Analysis of Works),’ the aspects of the content of the works of the researcher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for analysis and the methodological aspects are examined. First, ‘Personal Experience and the Variation of Painting Device’ examines two elements dissolved in the works, which are a ‘person’ and ‘form of mass’ embodying the problem in awareness of the researcher, thereby contemplating the issues of human nature. By reconstructing them in the landscapes penetrated with archeological elements, it visualizes that such contemplation has been a continuous process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since time immemorial. Second, ‘The Paradox of Reality and Play’ focuses on the ‘situations’ that give rise to the actions of persons in reality, which implies to the critical awareness of problems. Amidst such situations, while there still exists a mass object, simultaneously the actions of the person are paradoxically characterized by how they become more pronounced in the form of ‘play.’ The appearances of play which can potentially occur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s around us, captures the problems of various magnitudes occurring frequently in today’s society. Lastly, ‘The Superposition of Situations through Image Collage’ deals with the formal methodology of the artworks of the researcher. This is an ‘image collage,’ which is distinctive from the traditional collage of scraps of paper that are cut and pasted. The researcher created a drawn complexity of images on a single screen, as though such images has been cut and attached, to present a reconstructed form of an image which integrates a multi-layer world being difficult to understand from a single viewpoint. Of particular note,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roperties of film, as a medium, in addition to paintings, and expanded upon it as a three-dimensional collage, thereby exploring it in diverse ways. The attempt behind this was to make the illogicality and incomprehensibility of the world prominent by creating illogical significance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y visualizing a series of paradoxical situations, the researcher analyzed an artistic attempt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 problems of human nature and the fluid problems of present-day society continually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By reconstructing and re-cognizing realit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understand contemporary reality, an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affirm the existential position in reality and, simultaneously consol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본 논문에서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연구자가 직면하는 역설적 상황과 이에 따른 존재론적 성찰을 토대로, 동시대적 상황 이면에 내재한 다층적 요소들의 예술적 재구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사회와 무수한 접점들을 형성하고 있는 일상의 기저에 내재된 한계나 모순들을 의식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우리를 둘러싼 세계가 인간들 사이, 그리고 인간과 사물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로부터 파생되는 다층적 상황의 연속임을 강조한다. 연구자는 사회와 맞닿은 일상 곳곳에서 일어나는 모순된 상황이나 한계로 인해 극복될 수 없는 상황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다양한 직간접적 경험으로부터 비롯한 삶의 여러 층위들을 작품으로 시각화하고, 비판적 문제의식을 함의한 일련의 상황으로 재구성한다. 이는 동시대 일상에서 마주하는 여러 상황을 의미화함으로써 현실의 역설을 재인식하고 현실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통찰을 이끌어내고자 함이다. 연구자는 작품 전반에서 중요한 비평적 요소로 제시되는 ‘상황’ 개념에 주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연극의 구성요소와 연극성에서의 상황적 요소들을 논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통 회화와 구분되는 신체 행위에 기반한 수행적 예술로서의 연극에서 구현되는 연극적 상황 개념이 연구자의 작품 속에서 형상들과의 관계를 연출하는 구성적 요소로서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시각예술에서 구현된 다양한 작품들을 사례로 들며 연구자의 작품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에서 상황의 서사를 이끄는 핵심 개념으로 제시되는 ‘놀이’ 개념을 다룬다. 연구자는 놀이를 세계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일종의 사회적 행위로 설정하고, 이를 하나의 사회문화현상으로 파악한다. 다음으로, 놀이 개념을 규정하고, 이를 가면성, 반대면성, 무언어성, 반복성이라는 4가지 속성으로 구분한 뒤 그 의의를 밝힌다. 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구체적 사례들과 함께 논함으로써 놀이가 즐거움을 얻기 위한 유희적 행위가 아니라 일종의 사회문화적 시선을 담아내는 놀이로 형상화되고 있음을 설명한다. ‘역설적 상황을 통한 다층적 재구성(작품분석)’에서는 연구자 작품의 내용적 측면을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루는 방법적 측면을 살펴본다. 첫 번째로, ‘사적 경험과 회화적 장치의 변주’에서는 작품 속에 용해된 두 가지 요소인 ‘인물’과 연구자의 문제의식을 내포한 ‘덩어리 형상’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인간 본연의 문제를 성찰한다. 이들을 고고학적 요소가 침투된 풍경 속에 재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고민이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지속적인 경험과 성찰의 과정임을 가시화한다. 둘째로, ‘현실과 놀이의 역설’에서는 비판적 문제의식을 함의한 현실 속 인물의 ‘행위’가 자아내는 ‘상황’ 그 자체에 주목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는 여전히 덩어리 형상이 등장하며, 동시에 인물의 행위는 역설적이게도 ‘놀이’의 방식으로 구현된다는 특성을 지닌다. 우리 주변의 동시대적 풍경에서 일어날법한 놀이의 모습은 오늘날 빈번하게 발생하는 우리 사회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담아낸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콜라주를 통한 상황의 중첩’에서는 연구자 작품의 형식적 방법론을 다룬다. 이는 오려붙이는 전통적 콜라주와는 구분된 ‘이미지 콜라주’ 기법으로서, 연구자는 하나의 화면에 복합적인 이미지들을 콜라주하여 오려낸 것과 같이 그려냄으로써 하나의 시점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다층적 세계를 통합한 이미지의 재구성 방식으로 제시한다. 특히 연구자는 회화 뿐 아니라 필름이라는 매체가 지닌 속성에 주목하고 3차원적 콜라주로 확장시킴으로써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였음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관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비논리적인 의미작용을 만들어냄으로써 세계의 비논리성과 불가해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연구자는 일련의 상황들을 가시화함으로써 인간 본연의 문제나 동시대 사회의 유동적인 문제들을 지속적으로 성찰하고자 한 예술적 시도를 분석하였다. 현실을 재구성하고 재인식함으로써 동시대 현실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연구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현실에서의 존재론적 위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