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그림의 (불)투명한 침투

Title
그림의 (불)투명한 침투
Other Titles
The (In)transparent Penetration of Paintings : With a Focus on the Medium Condition and the Contemporary Visual Culture
Authors
원정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복제기술의 등장 이후 동시대는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에 있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시각문화는 시대에 앞서 존재하는 것들을 수집하고 재조합하여 다시금 현재로 전유하는 방식을 하나의 시대적 징후로 드러내고 있다. 천재로서 신화화되어온 예술가의 위치는 이제 선(先) 존재들을 전유하는 차원에서 번역가 혹은 편집자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이는 ‘저자의 죽음’ 이후 변화된 예술가 존재의 역사적 변화의 현상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새로운 매체가 지속적으로 발명되는 환경 속에서 이전의 오래된 매체가 종말론에 휩싸이듯이, 회화 역시 새롭게 등장하는 미디어들에 의해 끊임없이 그 존재의 의미에 대해 의문시되며 회화의 종말이 선언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화는 새롭게 등장하는 매체와의 접점 속에서 스스로가 획득할 수 있을 매체 특정성을 발견하며 시각예술사 속에서 갱신의 역사를 쓰고 있다. 이에 본인은 회화를 매체로서 다루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본인의 작품들을 통해 동시대 속에서 회화의 또 다른 가능성과 그 미적 위상을 탐색하고자 한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포스트미디엄 조건(post-medium condition)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담론이 부재한 동시대를 진단하며, 그동안 간과되어온 매체 특정성(medium specificity)에 대해 재고할 것을 주장했다. 이는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urg)가 관철했던 모더니즘의 형식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견지를 유지하면서도, 매체 일반성으로 점철된 시각예술의 일면을 극복하며 ‘매체의 재발명(reinventing the medium)’을 주장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이론적 역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매체로서의 회화를 다른 매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다시금 탐색한다. 본인의 <이곳의 이그조틱>과 그림제작소 <저곳>, 두 프로젝트는 동시대 시각문화 환경에 대해 회화를 매개로 질문한다. 나아가 회화가 변화된 조건 속에서도 하나의 매체로서의 위상을 어떻게 구축해 나가는지 검토하고자 했다. 본인의 두 프로젝트는 예술가의 상이한 주체성을 드러내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곳의 이그조틱>은 본인이 그동안 여러 매체를 통해 습득해온 전형적 풍경의 이미지가 직접 육안으로 목격한 일상의 풍경에 투영되어 보이는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매체를 통해 사전에 습득했던 이미지는 육안으로 목격하며 생경하게 다가왔던 일상의 풍경을 ‘유사’로 시작해 ‘상사’의 단계로 변화시키며, 본인의 인식 속에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인은 이러한 변환의 단계를 주목하여, 서로 출처가 다른 두 이미지가 환영적인 하나의 공간으로 조합되는 화면을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이때 참조되는 두 이미지가 유사적 관계로 인식되는 것은 때때로 다수의 공감을 동반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오직 본인을 통해서만 이해되는 무척 주관적인 과정이었다. 그에 따라 재조합되어 화면에 드러나는 가공의 풍경은 본인의 개인적 인식과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작가적 자율성 아래 진행되는 작업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제작소 <저곳>은 일종의 각색된 ‘그림 의뢰’로서, 회화작품이 나오기에 앞서 의뢰자의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언어를 전제조건으로 삼는다. 이는 <이곳의 이그조틱>과는 달리, 작가로서 대변될 수 있을 본인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형태의 그림제작 방식이다. 여기서 의뢰받아 제작된 그림은 제작과 동시에 의뢰자의 사적인 공간을 목적지로 두며 일상으로 침투된다. 그림이 의뢰를 통해 일상의 공간으로 침투되어 들어가는 양상은 이른바 ‘이발소 그림’이라는 시각문화 현상에서 엿볼 수 있다. 키치의 범주에 속하는 이발소 그림은 순수예술의 주변부인 타자로서 취급되며, 제도권 예술의 바깥에서 그 저급함을 이유로 비판받아왔다. 본인은 이러한 맥락을 경유하여, 기존의 제도권 시각예술로의 진출을 시도하던 <이곳의 이그조틱>과 일상의 공간으로 침투를 시도하는 그림제작소 <저곳>, 두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예술가의 주체성 문제를 다뤄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본인은 스스로가 상이한 주체성을 기획하고 실현하는 능동적인 작업의 형태를 구사하고자 하였다. 이는 그림의뢰 행위가 예술가의 자율성을 제한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저곳>이라는 명시적인 제작소의 운영을 통해 의뢰받은 그림은 오히려 예술가의 주체성을 재고하는 매개로서 전유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The contemporary age following the mechanical reproduction undergoes more rapid changes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images than any other era. Visual culture reveals as a sign of the era the model of collecting and recombining things that exist before an era and own them exclusively. The artist, who was previously mythicized as a creative genius, now also serves as a translator or editor, in that he or she exclusively possesses the preexisting entities. This may be viewed as a contextual characteristic of the era which has undergone changes after the author’s death. Furthermore, with new media invented continuously, old media that has been here meets its doomsday. In visual arts, painting has endlessly had its existence questioned by new media that emerges and thereby had its end declared. Despite the countless doomsday scenarios, however, painting has written the history of renewal in the history of visual arts all the while discovering the medium specificity through the contacts with those newly appearing media. So, treating painting as a medium, I have explored through my work the position that painting can take up in the contemporary era. Rosalind Krauss argued for giving due attention to previously overlooked medium specificity while examining in the post-medium condition the contemporary age where post-modernist discourse is absent. Thus, maintaining her critical stance on the formalist discourse of modernism which Clement Greenburg, she criticized the aspect of visual art which has built on its critiquing that is dominated by medium specificity. Thus, advocating reinventing the medium, Krauss asserted that people should give attention to medium specificity which was neglected in the previous contemporary visual arts. On this basis,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plore painting as a medium in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media. With the two projects of ‘The Exotic Here’ and the picture factory of ‘Place Beyond’,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is questioned by taking painting as its medium. In addition, I have tried to find the contemporary place that painting can take up in the changed conditions of the age as a medium. At the same time, this is an attempt that reveals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artist’s subjectivity through the two projects of ‘The Exotic Here’ and the picture factory of ‘Place Beyond’. First of all, ‘The Exotic Here’ derives from my experience in which those typical scenes that I have acquired through various media are projected as those scenes of daily life that I have witnessed with my own eyes. Here, as for the images that I previously acquired through media, the quotidian scenes are witnessed with naked eyes and transform from ‘similarity’ to ‘homology’, thus being rearranged in my perception. Focusing on such stage of conversion, I have tried to visualize in painting a screen where two differently derived images combine into a single illusory space. Here, the two referenced images are perceived as similar is accompanied by empathy from many people. On the other hand, it is a process involving subjectivity which can be understood only through myself. Therefore, the artificial scene that appears recombined on the screen is a project which starts from personal perception and imagination and proceeds with the authorial autonomy. On the other hand, the picture factory of ‘Place Beyond’ is a kind of adapted ‘painting request’, and presupposes the requester’s words before the appearance of a work of painting. Unlike ‘The Exotic Here’ that proceeded here earlier, this is a mode of picture making that limits my autonomy which may be advocated for an artist. The painting created here at a request targets the private space of the requester and penetrates into the quotidian on its production, unlike the earlier project that eyes an exhibitio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visual arts. The way that a painting gets to penetrate the daily space through a request may trace its origin to the painting of the barbershop. The barbershop painting, which falls into the kitsch, is treated as the Other for pure visual arts, and has been criticized for its typicality and lowliness, while remaining outside the mainstream visual arts. In this context, I have tried to treat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artist’s subjectivity by putting into action the two projects of ‘The Exotic Here’, which attempts to sneak into the mainstream visual arts, and ‘Place Beyond’, which attempts to penetrate into the quotidian space. In the process, I have wanted to demonstrate an active project in which I plan and create different versions of subjectivity. This shows that despite the concern that picture request should limit the artist’s autonomy, a picture which has been reque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an explicit factory of ‘Place Beyond’ may be owned differently as a medium that reviews the artist’s subje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