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새로운 주체를 위한 경계적 사유

Title
새로운 주체를 위한 경계적 사유
Other Titles
Transitional Thinking for New Subject
Authors
최희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는, 이른바 뉴밀레니엄(New millennium)시대라는 과도기에 성장한 본인의 세대는 실재와 가상의 혼재를 경험했다. 온라인의 가상 플랫폼은 인간의 사고방식, 사고의 내용, 그리고 사회적 관계성 등을 크게 변화시켰다. 그렇지만 생산성과 효율성으로 대두되는 기술 발달은 오히려 인간을 더욱 수동적으로 만들고 세상으로부터의 소외를 야기했을 뿐이다. 다시 말해, 기술 발달은 인간에게 주체적인 경험의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인간의 상상력을 획일화된 틀 내에 머물게 할 뿐이었다. 본인은 그러한 미적 소외의 경험을 거치면서 예술가로서 그 대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의 의도와 문제의식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매체의 발달과 함께 우리의 사유방식과 그 내용이 변화하는 이른바 ‘매체적 전회’를 연구한 여러 이론가들의 의견을 고찰하였다. 우선 매체가 스스로 규정하는 주체 또는 주어로서 존재할 수 있다고 본 마샬 맥루언(Herbert Marshall McLuhan, 생산된 이미지가 실제 대상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시뮬라시옹(Simulation)의 전환을 주장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등의 의견을 살펴본다.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예술의 전시가치가 이전의 제의가치보다 더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주장들과 더불어 본인은 예술작품을 인터넷에 게시하여 이전과 다른 감상방식을 요구하는 동시대적 변화를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 가상으로 이루어지는 표면과 피상성을 언급하며 그 구별이 현재에 이르러 더 이상 무의미하다고 본 빌렘 플루서(Vilém Flusser), 이러한 무의미한 구별 안에서 과연 누가 더 빨리 그것을 권력으로 삼는가에 대해 연구한 폴 비릴리오(Paul Virilio) 등도 함께 다룬다. 이어 본인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한 대중문화의 성장을 이야기하며 문화산업 내에서 대중문화의 하향평준화를 우려한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와 미셀 푸코(Michel Paul Foucault)의 의견도 살펴본다. 프랑소와 트뤼포(Francois Truffaut), 레니 리펜슈탈(Leni Riefenstahl), 뱅크시(Banksy)는 정치적 선전물로 이용될 가능성이 큰 대중문화의 위험성의 사례로서 제시된다. 또한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의 글을 인용하며 공장을 떠난 노동자가 결국 자본주의의 또 다른 소비자가 되어 공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설명한다. 나아가 다양한 사회문제를 작가 개인의 예술적 상상력에 기대어 간접적으로 질문한 코키 다나카(Koki Tanaka)와 율리안 로제펠트(Julian Rosefeldt)를 통해 하향평준화 된 인간소외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예술적 상상력의 가치를 논한다. 본문 Ⅲ장에서는 본인 작품의 주된 형식 매체와 표현 전략에 대해 서술하였다. 영상이라는 매체로 재현되는 대다수 본인의 작품에서는 쇼트와 쇼트가 만들어 내는 몽타주(Montage)의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레프 쿨레쇼프(Lev Vladmirovich Kuleshov), 세르게이 M. 에이젠슈테인(Serei M. Eisenstein),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 오슨 웰즈(Orson Wells), 카미유 앙로(Camille Henrot)의 작품을 사례로 들어 장면의 관계효과인 몽타주의 미적 효과를 설명한다. 더 나아가 타인의 사적인 시간에 본인을 대입하는 작품 제작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주체성이 다원적이고 다성적이기 때문에 인과적 층위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본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의 의견을 바탕으로 구로사와 아키라(Kurosawa Akira), 오슨웰즈(Orson Wells), 아이다 마코토(Aida Makoto)의 작품을 연구한다. 본문 Ⅳ장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바를 바탕으로 기술 발달에 의해 소외된 사회의 다양한 모습이 어떻게 본인의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다시 질문될 수 있었는지 작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본인은 먼저 가상공간에서 아우라(Aura)를 잃어버린 여러 이미지들을 회화의 전통적 방식과 영상편집을 거쳐 새로운 맥락에 위치시키고 쉽게 지나쳤던 가벼운 이미지들의 가치를 환기하였다. 또한 문화산업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소재로 삼아 인간소외의 상황들을 새로운 상상력으로 살핀다. 마지막으로 작가로서 타자의 위치에 본인을 대입하는 실험이 경계적 주체로서 본인이 기술발전으로 인해 소외될 수 있는 존재임을 인정하고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을 사유하고자 하는 시도임을 밝힌다.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세상을 다르게 사유할 수 있는 예술가의 가치는 본인에게 매우 특별하다. 예술가가‘사물들을 넘어서는 자유’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하듯이, 본인은 기술발달에 의해 틀 지워진 사회 안에서 그것을 넘어서는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외된 개인을 벗어나 사회적 참여자로서의 새로운 주체적 예술가가 되기를 지향한다.;Raised in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analogue to digital age, generations in the New Millennium have experienced an admixture of the reality and virtual.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the advent of online virtual platforms, has brought about some noticeable changes to humans, such as to their thinking process, contents of their thoughts, and ways they have social relationships. Notwithstanding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overall industrie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eems to have rather alienated humans from the world. The sense of being an autonomous subject shared among people in this era beguiles the fact that even the imaginative cognition of a self is bounded and programmed by a certain structure. As one alienated being myself, I aim to inquire on how I as an artist and subject could endure and cope with this universally spreading phenomenon. In Chapter II, I investigate some theories on “media revolution”, which has remarkably change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oughts. This research deals with Marshall McLuhan who believed that a medium could exist as a self-defining subject both of a life and of a sentence; Jean Baudrillard who theorized “a turn to simulation”, the period in which artificial images have greater influence than real objects. The research also includes Walter Benjamin who asserted that an “exhibition value” of an artwork will become more crucial than its “cult value”; and based on his thought, I provide examples of some art organizations that post the images of collected artworks on their websites. Vilém Flusser who pointed out the meaninglessness of distinctions between the digital virtual and the superficiality of surfaces, as well as Paul Virilio who mentioned the issue of power struggle within that meaningless distinctions are also tackled in the thesis. Furthermore, the chapter introduces the idea of Theodor Adorno who analyzed mass culture in relation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ad concerns of the downward standardization of the culture. And Power Knowledge of Michel paul Foucault is also explained. The works of Francois Truffaut, Leni Riefenstahl, Banksy are mentioned in the chapter to illustrate how mass culture is subject to political propaganda. Quoting Hito Steyerl’s essays, the thesis explains an ironical situation of a laborer who leaves a factory and then returns as one other consumer of the capitalist society. It will als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rtistic imagination coping with the issue of a dumbed-down culture and human alienation, by referring to some works of Koki Tanaka or Julian Rosefeldt that are characteristic of addressing various social agenda based on artistic creativity.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will scrutinize the media and representation strategy utilized in my own artworks. I represent images mostly in film, and it is the montage technic, made with different shorts, that I consider as a most important element of my works. In illustrating further on how my technic creates relational effects and multiple meanings, I refer to the films of Lev Kuleshov, Sergei Eisenstein, Dziga Vertov, Orson Welles, as well as the works of Camille Henrot. In analyzing and concretizing my own representation strategy of putting myself into other’s private moments and situations, I bring Félix Guattari’s viewpoints on the concept of subjectivity – he argued that because subjects are multi-natured, it is difficult to set a causal relation among their plural components. Through Guattari’s argument, I interpreted the works of Kurosawa Akira, Orson Welles, Aida Makoto as further references to my ow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es, Chapter IV explicates how the artistic creativity reflected in my works has re-visualized and re-questioned the contemporary society alienated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image editing, I re-contextualize images collected from a virtual space and are lacking ‘aura(Benjamin)’. Then, I summon the images in museum spaces to recall the value of those used-to-be trivial images. Moreover, by taking socio-political problems raised in cultural industries as the subject matters of my works, I aim to re-imagine – through an artistic viewpoint – the issue of human alienation. Last but not least, I experiment with setting up myself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o others’ positions and situations; such experiences are to be expanded to a recognition of myself as a border-being subject to human alienation caus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well as to a contemplation on possibilities of a new subject-being. Artistic imagin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a thinking outside the box. As artists have always pursued “a freedom beyond things”, I wish to throw questions that goes beyond the societal frame standardiz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opefully my artistic curiosity could resolve the problem of the alienation and inspire me to become an artist both as a social participant and autonomous su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