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학습자의 경영예술 창작 체험이 제품-서비스 혁신 아이디어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학습자의 경영예술 창작 체험이 제품-서비스 혁신 아이디어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defining the fundamentals between artistic stimulation and the creation of a product-service innovation idea
Authors
윤아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근
Abstract
최근 혁신의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혁신의 속도와 종류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혁신 방안을 찾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다. 외부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처하며 효율성,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과거의 경영 방식과는 달리, 현대 기업 경영 환경에서는 내부의 자체적인 혁신 역량이 지속적 성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역량이 되었다. 기업들은 창조적 혁신 역량을 갖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으며, 개인이나 조직이 경영 환경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이전보다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창의적 제품-서비스 혁신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문화예술을 활용한 방법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경영학과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적 자극을 통해 창의성이 개발될 수 있다는 논의를 기초로 예술 기반 경영(Arts Based Management)와 경영예술(Business Art) 연구에서는 예술적 자극을 통해 기업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켜 기업에 필요한 문제 해결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예술을 도구적으로 활용하거나 일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현상의 인과관계 이면의 구체적 원리를 탐색하는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적 자극과 비즈니스 혁신 아이디어 생성 사이의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체험자 내부의 인지적, 정서적 변화를 탐구하는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현상의 인과관계만으로는 포착하기 힘든 현상의 다층적이고 복잡한 실재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혁신 아이디어를 생성하기까지 체험자들의 사고의 흐름과 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예술에 기초한 이우현 & 김효근(2016)의 예술가적 작품 창조 프로그램의 체험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들의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하였다. Giorgi(2004)와 Miles & Huberman(1984)의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해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 내용을 범주화한 결과, 총 20가지 하위 주제와 8가지 대주제, 4가지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각각은 다음과 같다. 1) 합리적 자아와 창조적 자아의 최적화, 2) 예술가 속에 자신을 투영, 중심잡기, 3) 주변을 살피는 여유, 세상을 향한 통찰, 4) Eureka Moment, 경영과 예술의 경계 넘기. 또한, 참여자들은 해당 체험 내용을 경험하면서 1)영역이 점차 확장되며, 2)무질서한 방향성을 지니고, 3) 무형태로부터 실체로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경영창의성을 발현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생소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경영 현상 규명을 시도하였다는 학문적 의의, 예술적 자극을 통해 창의성 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확대했다는 사회적 의의, 경영예술 작품 창작 원리에 기반한 혁신 방법론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혁신 아이디어 생성 프로세스를 규명하기 위한 초석을 제공하고, 경영예술(Business Art) 패러다임을 기초로 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Competition is getting intense due to the recent shortening of the Innovation cycle with the development in speed and types of innovation emanated from technology development. Companies are vehemently contemplating innovation methods to acquire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rapid changing society. Moreover, in an effort to adjus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e self-innovation capacity has become the main factor to promote sustainable growth, in comparison to the past management method which maximizes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Companies are endlessly brainstorming ways to achieve creative innovation capacity and are encouraging the creation of product-service innovation ideas through independent thinking and demonstration of creativity, in order to induce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to overcome business environment issues though the use of creativity. As part of this effort recent researches are involving culture and arts. The Art Based Management areas and Business Art areas have conducted researches which argue that artistic stimulation can foster creativity of the company members’ which will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company,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at artistic stimulation can foster creativity in many fields including business management, philosophy, art among many others. However, such existing studies utilize art as a tool for other purposes or are of one-time nature, and the research exploring the detailed fundamentals behind the causality of a phenomenon has yet to be conducted.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within the participants to define the fundamentals between artistic stimulation and the creation of a business innovation idea. A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a research method of exploring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reality of a phenomenon that is difficult to capture only by its causality,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further analyze the flow and process of the participants’ thoughts to the point of creating the innovation id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articipants of Lee Woo-hyun’s (2016) artistic creation program based upon Business Art, to derive the significance from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upon the attempt to disclose the actual creation process of product-service innovation idea that is not revealed at a superficial level,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partook in the artistic creation program of Lee Woo-hyun (2016)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Max Van Manen (2008) a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Kim Young-Chon (2013). As a result of an analysis upon the statem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Giorgi (2004) and Miles & Huberman (1984)’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total of 21 sub-subjects, 8 main subjects, and 4 essential subjects were found: 1) Optimization of Rational and Creative Thinking, 2) Projecting oneself to the artist, finding balance, 3) Space in mind to view the surroundings, insight into the world, 4) Eureka Moment,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business and art. Also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relevant experience,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 business creativity is manifested through the process of 1) gradual expansion of the area, 2) disorderly directions, and 3) the development from one without form to one with substan The Attempt to identify business phenomena by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regarding the unfamailiarity of the method i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area. Moreover, this study broaden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creativity by art, especially in the business area. Most of all, this study verified the core principles of the “Business Art”, paving the way towards utilization in the real business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