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4 Download: 0

교육과정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화 내용 및 탐구활동 분석

Title
교육과정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화 내용 및 탐구활동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Evolution Units in Science textbooks With the Transition in Learning Curriculum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진화는 생물학 전 분야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통합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학문으로 과학계 및 교육계에서는 그에 합당한 진화교육이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소홀이 다루어져 왔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이 새로 적용될 2018년에는 진화와 관련된 학습내용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과서에서 진화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진화 교육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진화 교육 및 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1차~2015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과서에 나타난 진화 주제 및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 관련 탐구활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따라 제시되는 진화 주제를 분석한 결과 1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서, 2차~2009개정 교육과정은 중학교, 2015개정 교육과정은 고등학교에서 진화교육이 시작되었다. 「진화의 증거」와 「진화 이론」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핵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반복 심화되어 제시된다. 그 외에 개체군, 유전 등 다양한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한 유전자 평형의 붕괴 요인, 종 분화, 생명의 기원 등은 고등학교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진화의 증거」 및 「진화 이론」과 관련된 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진화의 증거」는 화석상의 증거, 비교해부학상의 증거, 발생학상의 증거, 분자·생화학상의 증거, 생물 지리학상의 증거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증거사례들은 교육과정의 변화와 관계없이 유사하였다. 발생학상의 증거와 분자·생화학상의 증거는 점차 최근의 증거사례들이 제시되는 경향이 보이지만 학생의 이해를 위해서는 부족한 편이다.「진화 이론」은 교육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용불용설, 자연선택설, 종합설, 생식질 연속설 등 다양한 이론을 나열하여 설명하던 방식에서 자연선택설, 종합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진화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제시되고 있는 ‘기린의 목이 길어지는 과정’등의 사례는 진화의 기작을 추론하기에 부족하므로 객관적이고 충분한 추가 증거들이 제공될 필요성이 제기되며, 「진화의 증거」와 「진화 이론」은 연계 없이 독립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이론을 설명하는 증거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진화와 관련된 탐구활동을 분석한 결과 탐구활동 유형 중 ‘자료해석’, 탐구과정요소에 ‘추리’와 ‘자료해석’에 편중되어 있으며, 일상적인 문제들을 바탕으로 한 ‘토의’, ‘조사’ 등 다양한 탐구활동 개발이 필요성이 제기된다.;Evolution is an important academic discipline that plays an integral role in understanding the life phenomena in all biological fields. There has been a need for appropriate evolutionary education in scientific community and educational circles. However, it has been neglected in Korea's curriculum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of learning related to evolution will be changed in 2018, which will be new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volu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Korean curriculum and examined the direction of future evolution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volution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quiry activities and the way of presenting the contents and contents of the evolution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1st ~ 2015 revised curriculum. Evolution education star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first curriculum, in middle school in the second~2009 revision curriculum, and in high school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Evidence of Evolution」 and 「Evolutionary Theory」 are treated as key topics in Korea's curriculum and are presented repeatedly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ther topics such as the population, factor of collapse of gene equilibrium, species differentiation, and the origin of life are presented in high school. 「Evidence of Evolution」 is divided into fossil evidence, anatomical evidence, embryological evidence, molecular and biochemical evidence, and biogeographical evidence. The evidence cases presented were similar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Embryological evidence and molecular and biochemical evidence tend to be more and more evident in recent evidence cases, but they are lacking for student understanding. 「Evolutionary theory」 is changing from the way in which various theories such as the theory of use and disuse, natural selection theory, evolutionary synthesis theory are presented and explained in the way of natural selection theory and evolutionary synthesis theory as the curriculum changes . In order to explain the theory of evolu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objective and sufficient additional evidence, such as ‘the process of lengthening the neck of giraffe', which is mainly proposed to explain the theory of evolution. 「Evidence of Evolution」 and 「Evolutionary theory」 are treated independently, and are not enough evidence to explain the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quiry activities, it is focused on ‘interpreting data’ among types of inquiry activities, ‘reasoning’ and ‘data interpretation’ among inquiry process elemen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utilize various inquiry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based on everyday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