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경기 12잡가 中 <소춘향가> 비교연구

Title
경기 12잡가 中 <소춘향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a Small Chun-hyang Song of 12 Gyeonggi Folk Songs : Centered on Bi-chui Ahn·Gye-wol Mook·Eun-ju Yi’s Melody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잡가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서민문화와 양반문화의 융합과정에서 생긴 노래로 지역에 따라 경기, 서도, 남도잡가로 분류된다. 경기잡가에 속하는 12잡가는 열두 마당으로 구성되어 경기12잡가라는 명칭을 갖고 있으며, 스승으로부터 학습과정을 요구하는 전문적인 노래이다. 본 논문은 경기 12잡가 중 최초로 문헌에 실린 <소춘향가>를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197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보유자인 세 명창 중 <소춘향가>의 보전승 책임자인 안비취를 중심으로 묵계월, 이은주의 현존하는 음원을 장단, 사설 붙임새, 출현음, 선율, 시김새를 연구하고자 한다. 세 창자의 곡을 분석함에 앞서 실음에 준하여 채보하였다. 각 창자의 조성은 안비취는 c#단조, 묵계월은 d단조, 이은주는 b단조이며, 비교의 편의를 위해 세곡의 조성(e단조)을 통일하였다. 또한 선율의 하행종지 구성에 따라 총 11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단은 점 4분음표(♩.)기준으로 6박 도드리장단으로 구성하며 총 장단의 수는 안비취 63장단, 묵계월 63장단, 이은주 63장단이다. 제1단락의 제1장단에서 안비취는 18/8박, 묵계월과 이은주는 12/8박으로 점 4분 음표 두 개의 차이가 나타나며, 제1단락의 제2장단부터는 18/8박으로 모든 창자의 박이 통일된다. 안비취는 모든 6박에 장구점이 나타나는데 이에 비해 묵계월은‘기덕’의 채편가락과 3박 도드리 장단이 나타난다. 이은주는 6박을 두 개의 점으로 나누어 12박으로 구성한 것이 안비취와 상이한 점이다. 곡의 빠르기의 경우 세 명의 창자 모두 처음 도입부분에서는 다소 느린 M.M ♩.=20-30의 빠르기로 시작하지만 안비취와 묵계월은 M.M ♩.=46의 빠르기, 이은주는 조금 더 여유 있는 빠르기 M.M ♩.=40으로 점차 바뀐다. 둘째, 사설 붙임새에서 각 단락의 시작 부분과 종지 부분은 세 창자 모두 동일하며, 몇몇 장단에서 안비취와 다르게 이은주는 제3단락 제12장단에서 ‘춤을-(춤-을)’, 제5단락 제8장단에서 ‘녹 이느(녹이-느)’, 제6단락 제4장단에서 ‘속이(속이-)’,제7단락 제2장단에서 ‘계집-(계-)’, 제4장단에서 ‘녹 이느(녹이 느)’, 제10단락의 제7장단에서 ‘가-련(가-련-)’부분에서 상이점이 나타난다. 셋째, 출현음에서 안비취는 a(레), b음(미), d′음(솔), e′음(라), g′음(도), a′음(레), b′음(미), d″음(솔), e″음(라)으로 총 9개이다. 묵계월 또한 안비취와 출현음이 같으며, 이은주는 g음(도), a음(레), b음(미), d′음(솔), e′음(라), g′음(도), a′음(레), b′음(미), d″음(솔)으로 총 9개이다. 세 창자 모두 출현음의 총 갯수는 9개 이지만, 안비취와 묵계월에 비해 이은주는 한 음 더 낮은 g음(도)이 출현하며, e″음(라)이 출현하지 않는다. 넷째, 선율과 시김새의 부분에서 안비취를 중심으로 다른 두 창자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통점과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먼저 공통점은 선율공통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e′음을 중심으로 한 g′음의 꾸밈음, ② b′- b′- a′음의 진행에서 다음박의 g′- g′- e음의 진행까지 이어지는 하행구조 및 마지막 a′음으로의 완전 4도 상행구조, ③ e′– g′- a′음의 단3도와 장2도의 음정관계로 이루어지는 상행구조 및 꾸밈음 a′음을 통한 g′음으로 종결, ④ 각 단락의 마지막 장단마다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종지형 선율구조, ⑤ 종지형 선율구조에 덧붙여 나타나는 연결고리형 음형이다. 상이점은 선율에서의 상이점과 시김새에서의 상이점으로 나눠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선율에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총 4가지이다. ① 각 단락별 시작음에서, 안비취가 제1단락 제1장단 e′음일 때 묵계월은 d′음, 안비취가 제6단락 제1장단과 제7단락 제1장단 a′음일 때 묵계월과 이은주는 b음, 안비취가 제8단락 제1장단에서 g′음일 때 묵계월은 e′음으로 다름이 나타난다. ② 셋잇단음표의 출현에서, 셋잇단음표는 음의 유동성을 나타내며 셋잇단음표의 총 등장 횟수는 각각 안비취 3번, 묵계월 26번, 이은주 11번으로 묵계월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이은주와 안비취의 순이다. ③ 지남음의 출현은 셋잇단음표의 출현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총 횟수는 각각 안비취 1번 묵계월과 이은주는 6번 출현하였다. ④ 쉼표의 출현은 창자의 호흡과 곡의 흐름에 따라 있는데, 총 횟수는 각각 안비취 38번, 묵계월 58번, 이은주20번으로 안비취에 비해 묵계월의 쉼표 사용이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다. 시김새에서의 상이점에 대한 비교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안비취를 중심으로 다른 두 창자의 눈에 띄게 차이를 드러낸 시김새에 한해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제 음에서 평으로 떠는 시김새는 안비취에게 많이 나타났으며 이 시김새는 하나의 음에서 길게 뻗는 부분 혹은 단순한 리듬으로 진행되는 부분 등 전체적인 선율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나 계획된 지점에서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 ② 제 음에서 둥굴게 굴리면서 굵게 길게 떠는 시김새, 제 음에서 호흡을 빼며 떠는 시김새, 제 음에서 위로 던지듯이 올리는 시김새는 안비취에게서만 유일하게 나타난다. ③ 반가성과 가성시김새 또한 안비취에게 자주 등장했으며 이 시김새는 높은음역대에서 등장하는 특징이 있고 화려한 변화가 필요한 음악적 흐름에서 나타난다. 위의 상이점으로 미루어 보아 안비취는 선율의 유동성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시김새의 활용으로 전체적인 곡의 정교함과 화려함 그리고 소리에 긴장감과 활기를 보이는 것을 선호하였다. 안비취에 비해 묵계월은 단조로운 진행이지만 제 음을 밀면서 소리를 낸 뒤 평으로 떠는 시김새로 묵직한 소리의 특징을 보였다. 이은주는 굵게 2~3회 짧게 떠는 시김새를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여 이은주만의 특유 시김새를 발견하였으나 안비취와 비교하였을 때 두 창자 모두 비교적 단순한 진행의 담백한 특징을 보였다. ;A folksong is a song that comes fr people’s culture and the yangban culture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at it is categorized as a folksong of Gyeonggi, the Western and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e 12 folksongs which belong to the Gyeonggi folksongs are composed of twelve madangs and are named as Gyeongi folksongs. This is a professional song that requires a lesson from a teacher. This study focuses on , which was on the literature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12 folk songs. To this end, centering on Bi-chui Ahn, who was responsible for preserving the song among the three folk singers who were appointed as the 57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1975, this study will cover the rhythm, Saseol-buchimsae, the tone of appearance, the melody and Sigimseh of Gye-wol Mook and Eun-ju Yi’s existing sounds. Before analyzing the songs of the three folk singers, the music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tone. Each singer’s tonality is as follows: Bi-chui Ahn – c# minor, Gye-wol Mook – d minor, Eun-ju Yi – b minor, and for convenience of comparison, the compositions of the three singers were unified to e minor. Besides, it was analyzed by eleven paragraphs according to the melody’s going-down and following-up,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hythm is composed of 6-beat of Dodeuri based on a dotted quarter note, and the whole number of the rhythm of Bi-chui Ahn is 63, Gye-wol Mook, 63 and Eun-ju Yi, 63. The first melody in the first paragraph shows two dotted quarter notes‘ differences as Bi-chui Ahn’s is 18/8 and Eun-ju Yi’s is 12/8. Then from the second melody in the first paragraph, the beat of all singers is unified with 18/8. Bi-chui Ahn shows Jang-gu-jeom in all 6-beat, however, Gye-wol Mook shows Chaepyeon-garak of ‘Gideok’ and 3-beat of Dodeuri. Eun-ju Yi composed 12-beat by dividing 6-beat into two dots which is the difference compare to Bi-chui Ahn. In terms of speed of music, all the three singers start with M.M ♩.=20-30 which is a bit slow at the beginning but it gradually changes into M.M ♩.=46 for Bi-chui Ahn and Gye-wol Mook, and M.M ♩.=40 for Eun-ju Yi. Second, in Saseol-buchimsae, the three singers’ beginning part and the ending part of each paragraph are the same, but in some melody, in contrast with Bi-chui Ahn, Eun-ju Yi differentiated in the parts such as the twelfth melody in the third paragraph ‘chumeul-(chum-eul)’, the eighth melody in the fifth paragraph ‘nok i-neu(nok-i neu)’, the fourth melody in the sixth paragraph ‘sok i-neu(sok-i neu)’, the second melody in the seventh paragraph ‘gyejip-(gye-)’, the fourth melody ‘nok i-neu(nok-i neu)’ and the seventh melody in the tenth paragraph ‘ga-lyeon(ga-lyeon-)’. Third, in the tone of appearance, Bi-chui Ahn has a total of nine, a(Re), b sound(Mi), d′ sound(Sol), e′ sound(La), g′ sound(Do), a′ sound(Re), b′ sound(Mi), d″ sound(Sol) and e″ sound(La). Gye-wol Mook has the same tone of appearance with Bi-chui Ahn, and Eun-ju Yi has a total of nine, g sound(Do), a sound(Re), b sound(Mi), d′ sound(Sol), e′ sound(Ra), g′ sound(Do), a′ sound(Re), b′ sound(Mi) and d″ sound(Sol). Even though the whole number of the tone of appearance of the three singers is all nine, unlike Bi-chui Ahn and Gye-wol Mook, Eun-ju Yi presents g sound(Do) which is a tone lower, while not presenting e″ sound(La). Fourth, in the part of melody and sigimse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two singers based on Bi-chui Ahn. First of all, similarities are classified into the common type of melody, and can be summarized into the five types as follows. ⓵ An ornamentation of g′ sound based on e′ sound, ⓶ going-down structure which is led from b′- b′- a′ sound to the next g′- g′- e sound, and going-up structure of 4-degrees of complete melody as the last a′ sound, ⓷ going up structure consisted of interval relationship of 3 degrees of short interval and 2 degrees of long interval of e′- g′- a′ sound and the conclusion of g′ sound through the ornamentation, a′ sound, ⓸ a structure of cadence type of melody which continuously appears in every last rhythm of each paragraph and ⓹ link type sound which appears right after the structure of cadence type of melody. The differences can be organized into two: differences in melody and differences in sigimseh. So first, there are 4 differences in the melody as follows. ⓵ With the beginning note in each paragraph, it shows that when Bi-chui Ahn’s first melody in the first paragraph is e’ sound, Gye-wol Mook’s is d’ sound, and when Bi-chui Ahn’s first melody in sixth paragraph and the first melody in seventh paragraph is a’ sound, Gye-wol Mook and Eun-ju Yi’s are b sound, and when the first melody in eighth paragraph of Bi-chui Ahn’s is g’ sound, Gye-wol Mook’s shows e’ sound as the differences. ⓶ In the appearance of triplet, it shows the flexibility of a note and it appears 3 times from Bi-chui Ahn, 26 times from Gye-wol Mook and 11 times from Eun-ju Yi each that Gye-wol Mook presented it the most times than Eun-ju Yi and Bi-chui Ahn. ⓷ The appearance of appoggiatura does the same role with the appearance of triplet, and the number of appearance is 1 time from Bi-chui Ahn and 6 times from Gye-wil Mook and Eun-ju Yi each. ⓸ The appearance of comma depends on the breath of the singer and the flow of the music, and the number it appears is 38 times from Bi-chui Ahn, 58 times from Gye-wol Mook and 20 times from Eun-ju Yi that Gye-wol Mook noticeably uses it more than Bi-chui Ahn, In terms of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sigimseh can be clarified as follows. Based on Bi-chui Ahn, the other two singers remarkable difference in sigimseh can be categorized as the following three. ⓵ The sigimseh which is normally vibrating in the original note was shown from Bi-chui Ahn the most, and this sigimseh appears when letting out one note for a long while or progressing with simple rhythm and so on, that it has a characteristic of appearing in such part which is not disturbing the flow of the melody or in a planned spot. ⓶ The sigimseh, which is coarsely vibrating for a long while by rolling round in the right tone, the sigimseh, which is letting out the breath in the right tone and the sigimseh, which is lifting up as if throwing the voice upward from the right tone, are presented by Bi-chui Ahn only. ⓷ Half falsetto and falsetto also appeared often from Bi-chui Ahn that it is usually shown in the high register and in the musical flow when a splendid change is need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above, Bi-chui Ahn preferred to show the sophistication and splendor of the whole song and the tension and energy in the sound by using diverse sigimseh. Gye-wol Mook has a monotonous process compare to Bi-chui Ahn, but Mook showed the feature of heavy sound with the sigimseh which is vibrating normally after pushing the sound in the right tone. Eun-ju Yi relatively uses the sigimseh often which is vibrating heavily for a short while 2 or 3 times that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Yi was found, but compare to Bi-chui Ahn, the two singers tend to show a plain characteristic of relatively simple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