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97 Download: 0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Title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web-based program for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디지털 매체의 발달은 기존의 전통적인 리터러시 환경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즉 디지털 매체 기반의 소통능력 교육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술 사용능력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디지털 미디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속성인 소통과 참여의 참된 속성을 일깨우지 못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디지털 미디어 일탈행동을 유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지금까지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밝히고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을 위한 학문적인 근거가 마련되었지만 아직 실행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측면으로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5학년 한 학급 아동 22명이다.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밝힌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정의와 구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6회기 10차시에 걸쳐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및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요소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다섯 가지 구인을 선정하고 재정의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을 기반으로 하여 수정한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다섯 가지 구인을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프로젝트 수행지원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 10차시에 걸쳐 실행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를 이용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고 수업활동 결과물과 수업 후기, 연구자와의 인터뷰, 저널 등을 통해 정성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를 통해 알아본 결과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신장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측정 도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다섯 가지 구인인 가치, 자기 효능감, 정서, 자기 조절, 참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아동들은 자기 조절을 제외한 모든 구인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정성적 분석을 위한 수업활동 결과물과 수업 후기, 연구자와의 인터뷰 기록, 저널 등을 통해서 두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를 통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의 가치, 자기 효능감, 참여의 태도가 충분히 함양되었으며 태도가 행동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준거집단과의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자기조절의 태도를 신장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기조절 태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보다 긴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과제를 찾아 다양한 방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을 위한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태도의 증진은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것은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 적절한 교육을 통한 아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공립 초등학교의 5학년 한 학급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알기 어렵다. 또한 프로그램이 ‘자기조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후에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 프로그램을 다양한 학년의 다수의 학생에게 적용하는 실행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아동의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찾고 이에 따라 ‘자기조절’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실행의 주체인 교사와 부모는 아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증진을 위해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하며 아동의 준거집단이 되어 아동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와 관련한 교육과정은 학급 교육과정 이상의 수준에서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관련 정보와 교수·학습 자료가 함께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전체의 협조와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아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교육을 위한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raditional literacy-related environments, resulting in a proliferation of digital media-based communication skills, namely Digital Literacy. However, the technology-centered Digital Literacy education has caused the us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digital media discourage, failing to awake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digital media;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tudies on th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has been started relatively recently and has led to a study of clarifying the concept and the factor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DLA) and developing the assessment tools to measure DLA. Through a series of studies, there have been academic grounds for implementing DLA education, but implementation studi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So, In this study, a researcher developed the program that can apply to the periods of discretionary time in order to enhance DLA as affective aspects of the Digital Literacy. The subject of study is 22 children in the fifth grade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 Seoul.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the factors of DLA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applied to the 10th hour in 6 session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and goal of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set, and five factors of DLA were selected and redefined as elements of the program's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process was designed to learn the five factors of DLA in a balanced manner according to the modified stages based o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model. Through this process,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executed for a total of six sessions. Level of improvement of the student's DLA was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 examination using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encouraged to enhance DLA. The DLA evaluation tool is configured to measure five factors of DLA; value, self-efficacy, emotion, self-regulation, and participation.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very factor except self-regulation.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with the result materials of the class, the interview and the journals of a researcher, two results were obtained. First, value, self-efficacy, emotion, and participation were fully enhanced and it extended to behaviors. Second, when the interaction with the normative group is impossible, students have difficulty in improving their self-regulation attitude and they seem to need a longer time to improve their self-regulation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the DLA learning program can be developed with various learning projects that encourage students to improve their DLA in a variety of ways. Second, the DLA learning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DLA and the improvement of attitudes extended to the digital literacy behaviors. Developing the DLA learning program and demonstrating its educational effects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materializes the education content of DLA suggesting practical instructional and learning program and demonstrates possibility of improving DLA through the proper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in improving DLA. Since the program was applied to only one class of fifth graders i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it is unable to generalize the result and know the persistence of effects. In addition, the program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gulation attitude. Therefore, a practice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apply the DLA improving program to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different grades and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self-regulation’ should be found in order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to improve 'self-reg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