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느림의 미학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음미하다.」에 관한 연구

Title
느림의 미학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음미하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Appreciate」 Based on Slowness
Authors
허은금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산업화를 이루며 교통, 정보통신, 생명공학 등 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을 발전시켰고 이를 통해 현대인들은 경제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얻게 되었다. 하지만 기술발달만을 위한 고속화로 인해 현대인들은 지나치게 속도경쟁에 치우치게 되어 본연의 속도를 상실하고 심리적인 불안감을 얻게 되는 정신적 문제가 만연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자신의 주체성과 삶의 가치를 잃어버린 채 반복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주체적인 속도의 삶을 되찾기 위한 방안을 느림을 통해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느림의 미학을 바탕으로 안무된 무용창작작품「음미하다.」(2016)에 대한 분석으로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이 이루어졌다. 인간이 풍요로운 삶을 살기위해 필요한 느림의 긍정적 의미를 표현하고 현대사회를 상징하는 빠름의 일반적 통념에서 벗어나 삶을 관조하는 시간이 갖는 다름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총 세 장으로 구성하여 전개시켰다. 작품의 1장에서는 가속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속도경쟁을 하며 반복적인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무대 중앙 뒤 공간을 A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기계적인 인간의 모습을 강조하고자 길 조명을 사용해 공간을 제한적으로 설정하였다. 무용수는 길 조명 안에서 반복적으로 걷고 시선을 전환하는 움직임을 통해 현대인의 초조함 불안함과 같은 심리를 표현하였다. 또한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리듬의 음악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빠르기를 추구하는 인간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2장에서는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사회에서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괴로워하는 모습과 사람마다 상대적인 시간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되며 여유를 찾는 과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무대 하수 앞 공간을 내면의 속도를 인지하는 B공간으로 설정하였고 탑 조명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시간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는 모습을 강조하였다. 무용수는 빠른 스텝과 점프의 동작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무대하수 앞 B공간에 위치한 테이블과 접촉하는 모습을 통해 외부의 속도와 내면의 속도가 충돌하면서 점차적으로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웅성거리는 효과음을 삽입해 타인을 인식하고 타인과 다른 자신만의 속도를 찾아가는 과정을 부각시켰다. 3장에서는 자기만의 주체적인 속도를 인식하고 수용하여 외부에 휩쓸리지 않는 창조적인 삶을 되찾는 내용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과열된 속도 경쟁에서 벗어나려는 긍정적 의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오브제인 빨간색 의상과 스테인리스 그릇을 서로 연계성있게 활용하여 때로는 옷을 시계추의 흔들림같이 사용하거나, 구기거나, 그릇에 담아 연출하면서 그 내용을 강조하였다. 또한 내면의 속도를 수용함으로써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C공간으로 공간상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곡선의 팔 동작, 호를 그리는 다리 움직임과 같은 동작을 통해 속도를 자율적으로 사용하여 음미하는 삶을 살아가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전과 가속화된 문명의 속도로 생겨난 속도경쟁사회에서 삶의 리듬감을 잃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다룬 무용창작작품「음미하다.」(2016)를 통해 조화롭고 창조적인 삶을 영위시켜 진정한 의미의 풍요로움을 찾게 해주는 느림이 가진 본질적인 의미를 강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In today's world, rapid industrialization is underway and high tech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transportation, IT and biotechnology is developing due to economic growth, which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to live affluently and conveniently. However, rapid industrialization focusing on technical development makes people suffer from psychological anxiety losing their own pace. The author of this paper recognizes a problem of people who live falling into a habitual routine without feeling their own identity and life's value and seeks a way to restore life of independent pace through slowness. This study analyzes 「Appreciate」(2016) dance work created based on slowness after classifying it into subject, content, space use, organization according to scenes, dancers' movement and meaning of objet. This study has three chapters which describe positive meaning that slowness has in life so that people can lead am affluent life and significance of time which mediates life breaking away from rapid pace of today's world. In Chapter 1, life of today's people who live falling into a habitual routine competing fiercely each other. In order to express such life, space behind center of stage is set space A, which is expressed in a limited space by using street light to emphasize people's situation who lead a life without vitality. Dancers walk repeatedly in street light and turn their eyes away to express people's anxiety and frustration. Rhythm rising gradually is used to emphasize life of today's people who pursue mechanical pace. In Chapter 2, figure of people who are mentally distressed as they are unable to keep pace with society forcing them to lead a life at a fast pace is expressed. In addition, in Chapter 2, course in which people realize that each man has relative time and feel relaxed is expressed. Front of stage left side is set as space B that recognizes inner pace and top light is used to highlight a figure who recognizes that there is relative time. Dancers contact tables located in space B in a repeated manner by using fast steps and jumps to show a course in which people overcome pressure of fast pace from society. In addition, sound of many voices is inserted to highlight a course in which a person recognizes other people and finds his/her own pace. In Chapter 3, a course which a person recognizes and accepts his/her own pace and restores independent creative life. Red dress and stainless container which are objet are used connected with each other with dress used like swing of pendulum or wrinkled or contained in a container in order to express positive volition to break away from fierce competition. Scope of space is expanded into space C to show a figure that a person gets to lead an affluent life by accepting inner pace. Arm's circular movement and leg's movement showing arc are used to deliver a message which it is desirable to lead a slow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essential meaning that slowness has which allows people to live a harmonious and creative life and to find true richness through「Appreciate」(2016) which addresses figure of today's people who live without feeling a sense of rhythm in a society placing emphasis on speed resulting from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accelerated civi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