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김죽파류와 서공철류 가야금산조의 비교 연구

Title
김죽파류와 서공철류 가야금산조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Gayageum Sanjo between Kim Jukpas and Seo Gongcheols : Focused on Jinyangjo·Jungmori·Jungjungmor
Authors
유승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Kim Jukpa Gayageum Sanjo, which was handed down as the genealogy of Kim Changjo in Jeollanam-do as well as Seo gongcheol Gayageum Sanjo as the genealogy of Han Sukgu. The tune composition was comprehended based on the number of beat, movement, and the present from Jungyangjo to Jungjungmor in Kim Jukpa Gayagum Sanjo, and from Jungyangjo to Whe Jungjongmori in Seo gongcheol Gayageum Sanjo.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ts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with comparison of the two Sanjo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wo Sanjo's Jinyangjo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beat in Kim Jukpas was more than 4 with 100 beat in Jinyangjo than that of 96 beat in Seo gongcheols Jinyangjo. The movement of Kim Jukpas is composed of Uojo, Uojogyemyeonjo, Uojo (Doljang), Pyeongjo, Pyeongjogyemyeonjo, Gyemyeonjobeoncheong, and Gyemyeongjoboncheong, and Seo gongcheols is composed of Uojo, Gyemyeongjo, Pyeongjo and Gyemeongjo. Therefore, this study can see that the Kim Jukpas has more subdivisions than the Seo gongcheols. The results of grasping the tune based on the present were as follows. Kim Jukpas Jinyangjo showed 25% of the basic sound Pyeongjo, 17% of Uojocheong Gyemeonjo, 39% of the basic sound Gyemyeonjo, 5% of b ♭ Uojo and 14% of the sound height Gyemyeonjo. Seo gongcheols Jinyangjo Uojo sound height Gyemyeonjo 5.21%, Uojocheong Gyemyeonjo 17.71%, basic sound Pyeongjo 8.33%, basic sound Gyemyeonjo 67.71% and sound height Gyemyeonjo 1.04%. The two Sanjos were commonly in high gravity in basic sound Gyemyeonjo with Kim Jukpa of 39% and Seo gongcheol of 67.7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were compared as follows. Kim Jukpas and Seo gongcheols did not show the same melody in Jinyangjo, and similar melody was 28, which is 27% of 27 of Kim Jukpas 100 beats and 26.04% of 25 beats in 96 beats of Seo gongcheols. In the case of Kim Jukpas, it appears as overlapping of one beat with 27 beats, and in case of Seo gongcheols, 3 beats are overlapped with 25 be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lodies is 73% for Kim Jukpas and 73.96% for Seo gongcheols, meaning the Jinyang tune of both melodies can be said to be very differ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Jungmori between two Sanjo'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beats in Kim Jukpas Jungmori was 64, which is more than 17 in Seo gongcheols Jungmori’s 47. The movement of Kim Jukpas is composed of Gyeongjo (Gyeongdeureum), Pyeongjo, Gangsanje Gyemyeonjo, Gyemyeonjo, Uojo Gyemyeonjo, Gangsanje, and Gyemyeonjo, and Seo gongcheols of Gyeongdeureum, Gyemyeonjo, (Uojo) Seoleongje, and Pyeongjo. Both of the Sanjos were different in composition, though the starting with Geongdeureum was the same. Kim Jukpas Jungmori‘s Gangsanje, Gangsanje Gyemyeonjo showed musical motif symbolic significance, but not in Seo gongcheols. In addition, the structure that starts with Gyeongdeureum and proceeds to Gyemyeonjo is the same, but Kim Jukpa ends its beat with Gyemyeonjo and Seo gongcheols is with Pyeongjo. The results of grasping the tune based on the present were as follows. The Kim Jukpas Junmori showed 32.81% of the basic sound, 40.62% of the basic sound Gyemyeonjo, 15.63% of Uojo sound height Gyemyeonjo , and 10.94% of the Uojo sound Gyemyeonjo. The Seo gongcheols Jungmori showed 57.45% of the basic sound Pyeongjo and 42.55% of the basic sound Gyemyeonjo. Kim Jukpas has a high ratio from basic sound Gyemyeonjo to basic sound Pyeongjo, while Seo gongcheols has a high ratio from basic sound Pyeongjo to basic sound Gyemyeonj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were compared as follows. Kim Jukpas and Seo gongcheols did not show the same melody, with 12 beats of similar melody, which corresponds to 17.19% of 64 beats in Kim Jukpas 64 chapters and 25.53% of 47 beats in Seo gongcheols. In the case of Kim Jukpas, one beat appears to overlap, meaning 11 beats. It can be said that the Jungmori beat of both melodies is much different with Kim Jukpas of 82.81% and and Seo gongcheols of 74.47%. Thir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Jungmori between two Sanjo'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beat in Kim Jukpas Jungjungmori was 43, with total of 61 beats in Seo gongcheols of 44 beats and 17 beats in Whe Jungjungmori, meaning Seo gongcheols Jungjungmori is more than 1 beat, and 17 beats in Whe jungjungmori. The movement of Kim Jukpas is composed of Gangsan Gyemyeonjo, Uojo Gangsanje, and Gangsanje, and Seo gongcheols Jungjungmori is composed of Gyemyeonjo and Whe Jungjungmori of pyeongjo. Jungjungmori showed totally different movement composition, and Kim Jukpas is composed of added movement in musical motif symbolic meaning as in case of Jungmori, and the movement of Seo gongcheols is composed of the 'Whe Jungjungmomori' which does not appear in other sects after Jungjungmori. The results of grasping the tune based on the present were as follows. Kim Jukpas Jungjungmori showed 18.6% of the basic sound Gyemyeonjo and 81.4% of the basic sound Pyeongjo. Seo gongcheols Jungjungmori showed 100% of basic sound Gyemyeonjo and 100% of basic sound Pyeongjo in Whe Jungjungmori.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were compared as follows. The same melody of Kim Jukpas and Seo gongcheols Jungjongmori showed 2 beats, and 7 beats in similar melody. The same melody corresponds to 4.65% of 2 beats in 43 beats of Kim Jukpas, 3.27% of 2 beats in 61 beats of Seo gongcheols, and the similar melody to 16.28% of 7 beats in 43 beats of Kim Jukpas, and 8.2% of 5 beats in 61 beats of Seo gongcheols. In the case of Seo gongcheols, this study viewed as 5 beats as two beat overlaps. The different melody can be said to be very different in Jungjungmori tune of both melodies with 79.07% of Kim Jukpas and 88.52% of Seo gongcheols. As above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ts by analyzing Kim Jukpa Gayagum Sanjo and Seo gongcheol Gayagum Sanjo, Jinyangjo, Jungmori and Jungjungmori and comparing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The proportion of different melodies was more than 70%, and the same melody and similar melody did not exceed 30% in Jinyangjo, Jungmori and Jungjungmori. Thus this study could find that, although the two sects started in the same category of Gayageum Sanjo, different melodies appeared, and that the melody was changed and developed differently as Sanjos of having each characteristic by the various disciples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ects that,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Kim ChangJo sect and the Han Sukgu sect will become more active through this study.;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의 김창조계보로서 전승되어 온 김죽파 가야금산조와 한숙구계보로서 전승되어 온 서공철 가야금산조를 비교 연구하였다. 김죽파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에서 중중모리까지와 서공철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에서 휘 중중모리까지의 장단 수, 악장, 출현 음을 바탕으로 조 구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두 산조의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살펴보고 두 유파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산조의 진양조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장단 수는 김죽파류 진양조 100장단, 서공철류 진양조 96장단으로 김죽파류가 4장단 많았다. 악장은 김죽파류는 우조, 우조계면조, 우조(돌장), 평조, 평조계면조, 계면조 변청, 계면조 본청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서공철류는 우조, 계면조, 평조, 계면조로 이루어져있다. 이에 김죽파류는 서공철류보다 많은 장의 세분화가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 출현음을 바탕으로 조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 진양조는 우조청 계면조 17%, 기본청 평조 25%, 기본청 계면조 39%, b♭우조 5%, 엇청 계면조 14%로 나타났다. 서공철류 진양조 우조엇청 계면조 5.21%, 우조청 계면조 17.71%, 기본청 평조 8.33%, 기본청 계면조 67.71%, 엇청 계면조 1.04%로 나타났다. 두 산조는 공통적으로 기본청 계면조의 비중이 높았는데 김죽파는 39%, 서공철은 67.71%로 나타났다.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와 서공철류 진양조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사선율은 28장단이 나타났고 이는 김죽파류 100장단 중 27장단인 27%, 서공철류 96장단 중 25장단인 26.04%에 해당한다. 김죽파류의 경우 1장단 겹치는 것으로 나타나 27장단으로 보았으며 서공철류의 경우 3장단 겹치는 것으로 나타나 25장단이라 보았다. 상이선율은 김죽파류 73%, 서공철류 73.96%로 나타나 두 선율의 진양 가락은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두 산조의 중모리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장단 수는 김죽파류 중모리 64장단, 서공철류 중모리 47장단으로 김죽파류가 17장단 많았다. 악장은 김죽파류는 경조(경드름), 평조, 강산제 계면조, 계면조, 우조 계면조, 강산제, 계면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서공철류는 경드름, 계면조, (우조)설렁제, 평조로 이루어져있다. 두 산조 모두 경드름으로 시작하는 것은 같으나 구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김죽파류 중모리의 강산제, 강산제 계면조는 악상기호적인 의미가 나타났으며 서공철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경드름으로 시작하여 계면조로 진행하는 구조는 같으나 김죽파는 계면조로, 서공철류는 평조로 중모리 장단을 맺는다. 출현음을 바탕으로 조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 중모리는 기본청 평조 32.81%, 기본청 계면조 40.62%, 우조엇청 계면조 15.63%, 우조청 계면조 10.94%로 나타났다. 서공철류 중모리는 기본청 평조 57.45%, 기본청 계면조 42.55%로 나타났다. 김죽파류는 기본청 계면조에서 기본청 평조로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서공철류는 기본청 평조에서 기본청 계면조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와 서공철류 중모리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사선율은 12장단이 나타났고 이는 김죽파류 64장단 중 17.19%, 서공철류 47장단 중 25.53%에 해당한다. 김죽파류의 경우 1장단 겹치는 것으로 나타나 11장단으로 보았다. 상이선율은 김죽파류 82.81%, 서공철류 74.47%로 나타나 두 선율의 중모리 가락은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두 산조의 중중모리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장단 수는 김죽파류 중중모리 43장단, 서공철류 중중모리 44장단, 서공철류 휘 중중모리 17장단 총61장단으로 서공철류가 중중모리 1장단, 휘 중중모리가 17장단 많았다. 악장은 김죽파류는 강산 계면조, 우조 강산제, 강산제로 이루어져있으며 서공철류 중중모리는 계면조로 이루어져있고, 휘 중중모리는 평조로 이루어져있다. 중중모리는 전혀 다른 악장 구성이 나타났는데 김죽파류는 중모리의 경우와 같이 강산이라는 악상기호적인 의미로 추가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공철류는 중중모리 이후 다른 유파에서 나타나지 않는 ‘휘 중중모리’악장이 구성되어 있다. 출현음을 바탕으로 조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 중중모리는 기본청 계면조 18.6%, 기본청 평조 81.4%로 나타났다. 서공철류 중중모리는 기본청 계면조 100%, 휘 중중모리는 기본청 평조 100%로 나타났다.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김죽파류와 서공철류 중중모리의 동일선율은 2장단, 그리고 유사선율은 7장단이 나타났다. 동일선율은 김죽파류 43장단 중 2장단인 4.65%, 서공철류 61장단 중 2장단인 3.28%에 해당하며 유사선율은 김죽파류 43장단 중 7장단인 16.28%, 서공철류 61장단 중 5장단인 8.2%에 해당한다. 서공철류의 경우 2장단 겹치는 것으로 나타나 5장단이라 보았다. 상이선율은 김죽파류 79.07%, 서공철류 88.52%로 두 선율의 중중모리 가락은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논문에서는 김죽파 가야금산조와 서공철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를 분석하고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비교하여 두 유파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상이한 선율의 비중이 각 70%가 넘게 나타났으며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에서 각 30%도 넘지 않았다. 이로써 두 유파가 가야금 산조라는 같은 범주 안에서 시작되었지만 상이한 선율이 더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랜 시간동안 여러 제자들에 의해 선율이 다르게 변화, 발전 되어 각각 개성을 가진 산조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본 논문을 통해 김창조 계열과 한숙구 계열에 대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