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57 Download: 0

첫 자녀 출산 예정인 예비부모를 위한 부모존경-자녀존중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Title
첫 자녀 출산 예정인 예비부모를 위한 부모존경-자녀존중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Couple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예정인 예비부모들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부모역할 전환과정에서의 적응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부모 개인의 삶의 만족감을 높이고, 부부관계 측면에서 친밀감의 향상을 도우며, 자녀양육에 있어서는 아동중심적 아동관 및 올바른 양육신념을 가지고, 임신기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부모역할의 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도입, 전개 및 종료의 3단계로 구성된 단계적 프로그램이다. 도입 단계는 강사-예비부모 간 라포 형성과 더불어 임신기 부부관계에 대한 이해를 다룬다. 전개 단계에서는 태아기 및 초기 영아기 아동의 발달적 특징과 부모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하며, 종료 단계에서는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종합한다. 본 프로그램은 한 회기에 두 시간씩 주 1회, 총 6회기에 걸쳐 실시된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사전-사후 조사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및 대구 소재의 임신 4-5개월에 해당하는 임신부와 그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재집단은 32명(16쌍), 대기집단은 46명(23쌍)이었다. 중재집단은 임신 주산기 및 거주 지역을 고려하여 각 집단 별 5-6쌍씩 세 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대기집단은 사전-사후검사 기간 동안 어떠한 프로그램에도 참가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조사도구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중재집단과 대기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목적으로 연구변인들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 별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하여 본 프로그램은 임신기 부모역할로의 전환에서 긍정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 예비부모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론적 근거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부존-자존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집단 별 사전-사후검사 차이에서 중재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삶의 만족감과 부부 친밀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임신기 스트레스는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양육신념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과 환경주의의 양육신념으로 변화되었다. 반면에, 대기집단은 삶의 만족감과 부부 친밀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양육신념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임신기 스트레스는 태아에 대한 스트레스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변화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기간에 걸쳐 중재집단은 삶의 만족감과 부부 친밀감이 증가한 반면, 대기집단은 삶의 만족감과 부부 친밀감이 감소하였고, 아동관도 중재집단은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대기집단은 아동중심적 아동관이 약화되어 집단 간 변화양상이 달랐다. 양육신념 역시 중재집단은 인성/지적성취 강조요인에서는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으로 변화하였지만 대기집단은 지적성취를 강조하는 양육신념으로 변화하였고, 성숙주의/환경주의 양육신념에서는 중재집단은 환경주의 양육신념으로 변화한 반면, 대기집단은 사전-사후검사 변화가 없어 프로그램 실시 기간에 걸쳐 집단 간 변화양상이 달랐다. 임신기 스트레스는 중재집단과 대기집단 모두 프로그램 실시 기간에 걸쳐 감소하였다. 임신기 예비부모교육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 실정에, 본 프로그램은 임신기 예비부모교육이 부모 개인, 부부관계, 자녀양육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부모역할 전환 과정의 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이었다. 본 프로그램은 자녀의 출산 전에 부모역할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에서 예방적 의미가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프로그램은 예비부모들을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가정과 병원 및 공공기관, 지역사회 기관에서 임신기 예비부모들을 도울 수 있는 보다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couple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aims to adjust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xactly, The program aims not only to improve pre-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but also to focus on child-centered views, parenting beliefs, and aims to decrease stress during pregnanc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3 phases: The introduction phase, development phase, and closing phase. In addition, the program is executed through a total of 6 sessions, 1 session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pre-parents who were 4-5 months pregnant couples in Seoul, Gyeonggi, and Daegu. A Total of 16 couples (n = 32)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assigned to 3 sub-groups, and the wating group (n = 46) didn’t participate in any programs.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were calculated based on each person,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in order to test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items of each scale. Before the programs were implemented, independent two-sample t-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variable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waiting group. In addition,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see if each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peated measure ANOVAs were performed for each variable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waiting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 all research variables, the homogeneity of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waiting group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between the pretests and posttests, the couples i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and decreases in stress during pregnancy compared to the couples from the waiting group. Moreover, the couples i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f parental beliefs in respect to personality and nurture. Regarding the changing patterns,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decreased in waiting group. In addition, there was little change in child-centered views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le it was noted that they weakened in the waiting group. Parenting beliefs changed more in regards to personality and nurture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changed more in regards to intellectual achievement in the waiting group. Furthermore, stress during pregnancy was noted to have decreased in both the intervention and waiting group.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couple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determined its own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nterventive effects on adjusting to one’s transition to parenthood. Simultaneously, it could also prevent severe problems in parenting behavior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beneficial program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community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help couples who are transitioning to parentho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