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익중-
dc.contributor.author정수정-
dc.creator정수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5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5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6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824-
dc.description.abstractThe unbalanced life of the children in South Korea is taken for granted, as shown by the fact that as children advance to a higher grade, they spend less time playing on the playground and spend infinite time studying behind a desk. Some argue that this level of academic demands has been the driving force of the rapid growth of South Korea, but it must be remembered that there are only 24 hours in a day, and if one spends much time engaging in some activities, one will have less time engaging in some other activities. It is obvious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may be hampered if they will not get enough sleep or exercise because of the excessive academic demands on them and the need for them to prepare well for the rigid entrance examin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the advocacy of the rights of children by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lifestyle of the children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time use. For this purpose, the children’s time use was categorized into latent typ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outcomes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The stud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urvey on Children’s Time Use in South Korea by ChildFund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students: 271 from elementary school, 361 from junior high school, and 368 from high school. The data were then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multinominal logistic model analysis, and ANOVA via SPSS 22.0 and Mplus 7.31. Below a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First, four latent types of time use by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derived: the average, excessive-study, preference-for-exercise, and excessive-media-use types. Among these latent types, the sleeping time of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was the shortest, and that of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type was the longest. The exercise time of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was the shortest, which confirmed that they spent more time studying and less time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and excessive-media-use types, and that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The children from families with two parent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and the children from other types of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or excessive-study type. Moreover, the childre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and those in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The children living in eup and myeon areas (town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and those living in big cities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The children who considere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good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those with higher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and those who had a higher economic level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Thir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outcomes,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show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ose falling under the excessive-media-use and excessive-study types showed a high level of stress, those falling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type showed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ose falling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showed fine school records. Fourth, in the results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in elementary, junior high, or high school,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average and excessive-media-use types;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average, excessive-media-use, and preference-for-exercise type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too-little-study, excessive-media-use, average, and preference-for-exercise types. Fifth,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in elementary, junior high, or high school, the children who had higher self-esteem, who belonged to a family with two parents, and had a higher economic level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and the male children and the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living standard as high were more likely to fall under the excessive-media-use and preference-for-exercise types. Sixth,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atent types of children’s time use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outcom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in elementary, junior high, or high school,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show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stress, and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average type also showed a high level of stress.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and excessive-media-use types showed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ose falling under the excessive-study type showed fine school records. Below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even though there were children under the average type who appeared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and most of the children in South Korea seem to fall under the average type, the unbalanced time use of the children in South Korea was confirmed because the time for sleeping and exercise was found to be too short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ly recommended standards of time use for such purposes. To address this problem, measures to balance the children’s time use should be prepared from the policy perspective. Second, as there were students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who fell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an intervention for this type should be prepared. When case management services are individually provided to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tailored services by gender have to be suggested. Furthermore, interventions for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excessive-media-use type should be prepared, such as programs for stress management, aggression control, and overcoming depression. Third, interventions for children falling under the too-little-study type, who are consider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give up studying, even just trying to acquire the basic knowledge that should be acquired by school-age children, have to be prepared. Guidance has to be provided for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too-little-study type, coupled with sufficient attention and affection, so that they would not drag behind their peers and would grow healthy as a whole person. Fourth, reasonable time use for exercise purposes is fin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but excessive time use for exercise or physical activities will hamper the healthy and holistic growth of children in the long term. Therefore, interventions have to be made for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type. After checking whether the time use of the children falling under the preference-for-exercise type is leaning too much towards exercise or physical activities, if their school record is under the basic level, guidance for their balanced time use for exercise must be provided to them.;우리나라 아동은 대부분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뛰어 노는 운동시간이 현격히 적어지고 책상 앞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무한대로 길어지는 불균형적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분위기는 이러한 현상을 당연하게 보는 경향이 있으며, 혹자는 이러한 학구열이 우리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으로 제한되어 있기에 특정 활동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다보면 다른 활동에 배분되는 시간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아동의 경우 과도한 학업과 입시준비로 필수적인 수면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적정한 수준의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권리 보장적 측면에서 아동의 생활시간을 잠재계층으로 유형화 해보고, 학교급별 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학교급별 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과 발달결과(development outcome)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아동의 생활시간 분배에 따른 생활양식(lifestyle)의 맥락을 해석하여 아동권리 옹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의 시간활용에 대한 조사(아동생활시간조사)’에서 초 ․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초등학생 271명, 중학생 361명, 고등학생 368명, 총 1,0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는 SPSS 22.0과 Mplus 7.3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 LPA), 다항로짓분석(multinominal logistic model),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등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화는 ‘평균형’, ‘공부 과잉형’, ‘운동 선호형’, ‘미디어 과잉형’ 4개의 잠재계층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잠재계층유형 중에 ‘공부 과잉형’의 수면시간이 가장 적었고, ‘운동 선호형’의 수면시간이 가장 많았다. 운동시간은 ‘공부 과잉형’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공부시간이 많을수록 신체활동이 적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체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운동 선호형’과 ‘미디어 과잉형’에, 여학생은 ‘평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양부모가정의 아동은 ‘평균형’에, 기타가정의 아동은 ‘운동 선호형’ 혹은 ‘미디어 과잉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중학생과 초등학생은 ‘평균형’에, 고등학생은 ‘공부 과잉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읍면에 거주할 때 ‘미디어 과잉형’에, 대도시에 거주할 경우 ‘평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미디어 과잉형’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평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공부 과잉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과 발달결과(development outcome)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미디어 과잉형’은 우울과 공격성이 높았고, ‘미디어 과잉형’과 ‘공부 과잉형’이 스트레스가 높으며, ‘운동 선호형’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공부 과잉형’이 학업성적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 ‧ 중 ‧ 고 학교급별로 생활시간의 잠재계층을 유형화한 결과, 초등학교는 ‘평균형’, ‘미디어 과잉형’ 2개 집단으로, 중학교는 ‘평균형’, ‘미디어 과잉형’, ‘운동 선호형’ 3개의 잠재계층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는 ‘공부 과소형’, ‘미디어 과잉형’, ‘평균형’, ‘운동 선호형’4개 집단으로 잠재계층이 유형화되었다. 다섯째, 초 ‧ 중 ‧ 고 학교급별로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양부모가정에 속해 있고, 가정의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평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남학생이면서 삶의 수준이 높다고 인지하고 있다면, ‘미디어 과잉형’과 ‘운동 선호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여섯째, 초・중・고 학교급별로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과 발달결과(development outcome)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미디어 과잉형’은 우울, 공격성, 스트레스가 모두 높았고, ‘평균형’은 스트레스가 높았다. ‘운동 선호형’과 ‘미디어 과잉형’은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부 과잉형’은 학업성적이 높았다. 본 연구의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형’은 모든 학교급에서 나타나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아동이 속한 유형이지만 국제적 권장생활시간 준거와 비교해보면 수면과 운동시간은 너무 적고 미디어사용시간과 공부시간의 과도한 시간 할당으로 불균형적인 생활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적인 아동생활시간 개선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균형적인 아동생활시간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모든 학교급에서 ‘미디어 과잉형’이 존재하고, 미디어사용에 특히 과도한 시간 할애가 확인되어,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미디어 과잉형’에 속한 아동에게 개별 미디어 사례관리 서비스를 성별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고, 더불어 ‘미디어 과잉형’에 속한 아동의 스트레스 관리, 공격성 조절 교육, 우울증 극복 프로그램 등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령기 아동이라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할 기초지식이 있음에도 고등학교에서 학업 포기자로 볼 수 있는 ‘공부 과소형’이 등장하여 개입이 필요하다.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사회에서 예비낙오자가 되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 ‘공부 과소형’에 속한 아동에게 관심과 애정으로 아동을 지도해야할 것이다. 넷째, 균형적 아동발달을 위해 적절한 운동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운동에만 과도한 시간 배분으로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저해한다면 장기적으로 건강한 성장에 문제가 될 수 있어 ‘운동 선호형’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운동 선호형’에 속한 아동의 시간 배분이 운동시간에만 너무 치우친 것은 아닌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기초수준 이상의 학업성취도가 뒷받침 되지 않았을 때는 전인적 발달을 위한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아동의 생활시간 7 1. 아동생활시간 개념과 활용 의의 7 2. 아동생활시간의 유형 9 B.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의 영향요인 21 C.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과 발달결과 간의 관계 25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분석변수 30 1. 아동생활시간의 문항구성 30 2. 영향요인과 발달결과 33 C. 분석방법 38 Ⅳ. 연구결과 40 A. 전체아동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발달결과 간의 관계 40 1. 아동생활시간 40 B. 학교급별 아동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발달결과 간의 관계 54 1. 초등학생의 생활시간 54 2. 중학생의 생활시간 62 3. 고등학생의 생활시간 72 4. 소결 84 Ⅴ. 결론 및 논의 87 A. 연구결과 요약 87 1. 전체아동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발달결과 간의 관계 87 2. 학교급별 아동생활시간의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발달결과 간의 관계 90 B. 논의 및 함의 93 1. 권장생활시간에 미달인 평균형 93 2. 미디어 과잉형의 위험성 97 3. 고등학교 공부 과소형의 문제 99 4. 운동 선호형의 불균형한 발달 가능성 100 C. 추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언 103 참고문헌 104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50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의 영향요인과 발달결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Factors and Development Outcomes of Latent Types in Children’s Time Use-
dc.format.pageix,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